반응형
반응형

내가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하나다.
적용하고, 수정할 의지를 갖고, 수정할 계획 역시 항상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예측하기 어려워서가 아니라, 예측이 불가능한 세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 대럴 릭비, 베인앤컴퍼니 파트너


모든 게 안정적이었던 과거에는 정확한 예측이 중요했습니다.
심사숙고해서 결정하고, 한번 결정되면 그대로 밀어 붙이는 것이
성공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제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합니다.
정확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한 세상이 되었습니다.
이젠 빨리 결정하고, 빨리 실행하고, 빨리 수정하는 애자일 방식이
새로운 성공 방식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 인간은 참 편을 가르고
상대편에게는 빗장 걸기를 좋아하네
경계를 짓고 울타리를 치는 일들이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아마
인간 삶의 자리 태초부터
아니었을까?


- 김성호, 류해욱 신부의 연작시집 《햇살 속 그리움 그리고
  영성》에 실린 시 <고개 숙인 벼들을 바라보며> 중에서 -


* 인간의 역사 속에
'내 편' '네 편'은 언제나 존재했습니다.
오늘도 편가르기는 피할 수 없는 인간사입니다.
그러나 너도 나도 하나가 되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큰 어려움을 당했을 때입니다. 일단 뭉쳤다가
다시 갈라서도 늦지 않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각성  (0) 2022.11.07
'적정 긴장'  (0) 2022.11.03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31
반응형

성공이란 열정을 잃지 않고 끝없이 실패할 수 있는 능력이다

Success is going from failure to failure without loss of enthusiasm.

 

Winston Churchill's 12-Word Definition of Success May Just Change Your Life

It'll make you laugh; it'll make you cry; it'll make you think. 

"Success consists of going from failure to failure without loss of enthusiasm."

According to the leader who helped the UK get through a war with the actual Nazis, success is not about winning. It's not about popularity. It's not about putting out the best MVP possible.

It's about moving from one failure to the next ... with grace.

반응형
반응형

https://gojs.net/latest/index.html

 

GoJS - Build Interactive Diagrams for the Web

GoJS A Web Framework for Rapidly Building Interactive Diagrams

gojs.net

GoJS in 12 Minutes: JavaScript Diagramming Library Tutorial

 

https://www.youtube.com/watch?v=7cfHF7yAoJE 

 

 

GoJS Samples  https://gojs.net/latest/samples/

 

GoJS Sample Diagrams for JavaScript and HTML, by Northwoods Software

 

gojs.net

Our samples demonstrate how to build several Diagram types and showcase specific features and layouts. You can use the HTML and JavaScript in these samples as the starting point for your application.

If you are done looking around and are ready to experiment with GoJS, read the getting started tutorial.

There is a React sample on GitHub at: gojs-react-basic, and an Angular sample at: gojs-angular-basic. See more at Projects.

If you are looking for examples of a particular GoJS method or property, you can search the source code of all samples and extensions and documentation on GitHub:

 

반응형
반응형

https://news.incruit.com/news/newsview.asp?newsno=435412 

 

인크루트 - 뉴스

보도자료 직장인의 79.5% “우리 회사에 빌런 있다”, 82.8% “하지만 나는 아냐” 등록일: 2022.10.18 09:29 조회수: 463

news.incruit.com

- 직장인 응답자의 79.5%, ‘우리 회사에 오피스 빌런 있다’… 82.8% ‘나는 빌런에 해당 안 돼’
- 오피스 빌런 대응법에 응답자 과반은 ‘티 안 내고 무시한다’는 답변 가장 많아
- 응답자가 꼽은 최악의 오피스 빌런 유형, 갑질·막말형>내로남불형>월급루팡형

회사에서 동료와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말과 행동을 서슴없이 하고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람을 뜻하는 오피스 빌런(Office Villan)이라는 신조어가 있다. 최근 오피스 빌런을 주제로 한 콘텐츠가 유행하고 있다. 경험담을 비롯해 빌런의 유형, 대처하는 방법 등 다양한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사내 오피스 빌런 관련 경험을 들어보기 위해 직장인 8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사내에서 기본적인 에티켓을 무시하고 직원들에게 피해를 주는 오피스 빌런이 주변에 있는지 물어봤다. 그 결과, 응답자 10명 중 8명(79.5%) 정도는 있다고 답했다.

오피스 빌런으로 지목된 당사자는 본인이 지목된 것을 알고 있을까?

그 결과, △스스로 잘 알고 있는 것 같다(7.1%) △대체로 아는 눈치이다(18.9%) △대체로 모르고 있는 것 같다(46.8%) △전혀 알아채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27.2%)고 답했다.

회사생활을 하다 보면 오피스 빌런을 피하고 싶어도 마주할 수밖에 없다. 오피스 빌런과 함께 슬기로운 회사생활을 할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응답자에게 그 방법을 물어봤다. 과반(55.3%)은 ‘티 안 내고 무시’하는 방법을 꼽았다. ‘적당히 선을 유지하고 자극시킬 말과 행동은 일절 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33.1%, ‘그의 말 또는 행동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면 그 부분을 명확하게 이야기한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10.0%였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꼽은 가장 최악의 오피스 빌런은 누구일까?

1위는 부적절한 언행이나 갑질로 직원들을 괴롭히는 동료인 ‘갑질·막말형’(21.1%)이었다. 이어, 프로젝트나 성과가 좋으면 내 탓, 안 좋으면 남 탓하는 동료인 △내로남불형(13.5%), 맡은 직무는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월급만 찾는 동료를 뜻하는 △월급루팡형(13.4%)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손톱을 깎거나 양말 벗고 근무 등 사무실을 집처럼 여기는 동료인 △사무실을 안방처럼형(7.9%), 자신이 검색해보면 되는 내용을 남에게 물어보는 등 동료의 의존도가 강한 동료인 △핑거 프린스/프린세스형(7.4%)도 있었다.

응답자에게 본인은 회사 동료에게 부적절한 언행이나 갑질을 한 적이 없는지, 오피스 빌런에 해당되는 부분은 없는지 물어봤다.

△매우 해당된다(2.2%) △약간 해당된다(15.0%)로 스스로 인정하는 사람은 17.2%에 그쳤다. 반면, △대체로 해당 안 된다(50.7%) △전혀 해당 안 된다(32.1%) 등 인정하지 않는 응답이 훨씬 더 많았다.

그렇다면, 오피스 빌런이 아닌 회사에서 인기 많고 동료에게 호감을 사는 사람은 누구일까?

유형별 확인 결과, 잦은 업무 요청과 질문에도 친절히 알려주는 동료인 △친절왕형(28.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성실하고 일처리가 깔끔한 동료인 △알잘딱깔센(‘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의 줄임말)형(23.2%)이 그다음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2년 10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진행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34%p이다. (끝)

반응형
반응형

사무실 없이 일 잘하는 법 – 자율 근무 문화 가이드북

인류가 한 공간에 모여 일을 하는 방식은 수천 년 전에 탄생했습니다. ‘항상 연결된 세상’을 사는 우리 세대가 일을 더 잘 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은 없을까요? 로켓펀치의 자율 근무는 이 물음에서 탄생했고, 정해진 시간에 같은 공간에 모이지 않아도 일을 잘할 수 있는 원칙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로켓펀치와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그 원칙은 항상 공개합니다.

 

3가지 원칙

 

(1) 더 자주 공유하자 (Always Sharing)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고 일하는 자율 근무에서는 팀의 성과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분위기적’ 요소가 크게 줄어들기 쉽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더 자주 공유해야 합니다.

 

(2) 방해를 줄이자 (With Less Distraction)

‘더 자주 공유하라’는 자율 근무 원칙의 첫번째로 언급될 만큼 중요한 사항입니다. 하지만 그 원칙으로 인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자율 근무의 가장 큰 장점이 사라져서는 안됩니다.

 

(3)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하자 (and Considering the Non-language Communication)

표정, 몸짓 같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은 인간 대화에서 비중이 큽니다.

10가지 방법

 

1) 대화에 ‘1:1 메시지(Direct Message)’ 대신 ‘공개 채널(Public Channel)’ 사용

로켓펀치 팀 내의 모든 업무 커뮤니케이션은, 주제별 채널에서 공개 메시지로 이뤄져야 합니다.

 

2) 문서 작성 시 기본적으로 공유된 문서로 작성

로켓펀치 팀의 기본 문서 작성 도구로 노션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노션은 작성되는 모든 문서를 모든 구성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3) 공개된 대화와 공유된 문서에 대한 리액션

“연기의 85%는 리액션이다” – 영화감독 김지운

 

4) 메시지는 최대한 완결된 단위로 작성

하나의 메시지가 최대한의 완결성을 가지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5) 멘션(mention, @)의 적절한 사용

공개 채널에서 대화를 하되, 그 정보를 반드시 인지해야 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 멘션합니다.

 

6) 쓰레드(Thread)의 적절한 사용

공유된 메시지에 대해서 답변을 할 때는 새로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보다, 쓰레드를 사용합니다.

 

7) 답변은 가능한 빨리

내가 답변을 해야 한다고 지칭된 이슈에 대하여는 가능한 빨리, 아무리 늦어도 24시간 내에 답변합니다.

 

8) 업무 관련 일정 통보도 가능한 빨리

“빨리 알려주는 것은, 천천히 알려주는 것보다 두 배로 좋다”

 

9) 하나의 주제로 메시지가 3번 이상 오간다면, 통화를 시작하기

어떤 주제에 대해서 메시지가 3번 이상 오가는 상황이 온다면, 가급적 통화를 시작합니다.

 

10) 통화 시에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반드시 카메라를 켜기

업무 목적 통화 시에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반드시 카메라를 켜고 이야기 합니다.

 

 

https://blog.rocketpunch.com/2020/01/21/autonomy-culture-guidebook-of-rocketpunch/

 

사무실 없이 일 잘하는 법 - 자율 근무 문화 가이드북 - 로켓펀치 공식 블로그

'항상 연결된 세상'을 사는 우리 세대가 일을 더 잘 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은 없을까요? 로켓펀치의 자율 근무는 이 물음에서 탄생했고, 정해진 시간에 같은 공간에 모이지 않아도 일을 잘할 수 있

blog.rocketpunch.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