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jwt.io/

https://brunch.co.kr/@jinyoungchoi95/1

 

JWT(Json Web Token)은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 속에서 나타난 하나의 인터넷 표준 인증 방식입니다. 말 그대로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Token에 담아 암호화시켜 사용하는 토큰인 것이죠.

 

JWT는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자격 증명입니다. 붙여넣는 위치에 주의하세요! 우리는 토큰을 기록하지 않으며 모든 유효성 검사 및 디버깅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수행됩니다.

JSON 웹 토큰이란 무엇입니까?

JWT(JSON Web Token)는 당사자 간에 정보를 JSON 개체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간결하고 자체 포함된 방법을 정의하는 개방형 표준( RFC 7519 )입니다. 이 정보는 디지털 서명되어 있으므로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JWT는 비밀( HMAC 알고리즘 사용)을 사용하거나 RSA 또는 ECDSA 를 사용하는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서명할 수 있습니다 .

JWT를 암호화하여 당사자 간의 비밀도 제공할 수 있지만 서명 된 토큰 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 서명된 토큰은 그 안에 포함된 클레임의 무결성 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암호화된 토큰 은 이러한 클레임을 다른 당사자로부터 숨길 수 있습니다.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토큰에 서명할 때 서명은 개인 키를 보유하고 있는 당사자만 서명했음을 증명합니다.

JSON 웹 토큰은 언제 사용해야 합니까?

다음은 JSON 웹 토큰이 유용한 몇 가지 시나리오입니다.

  • 권한 부여 : JWT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시나리오입니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각 후속 요청에 JWT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해당 토큰으로 허용되는 경로, 서비스 및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싱글 사인온은 오버헤드가 적고 여러 도메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JWT를 널리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 정보 교환 : JSON 웹 토큰은 당사자 간에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JWT에 서명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헤더와 페이로드를 사용하여 서명을 계산하므로 콘텐츠가 변조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JSON 웹 토큰 구조는 무엇입니까?

간결한 형태의 JSON 웹 토큰은 점( .)으로 구분된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 헤더
  • 유효 탑재량
  • 서명

따라서 JWT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xxxxx.yyyyy.zzzzz

다른 부분을 분해해 봅시다.

헤더

헤더 는 일반적으로 JWT인 토큰 유형과 HMAC SHA256 또는 RSA와 같이 사용 중인 서명 알고리즘의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
  "alg": "HS256",
  "typ": "JWT"
}

그런 다음 이 JSON은 JWT의 첫 번째 부분을 형성하도록 인코딩된 Base64Url 입니다.

유효 탑재량

토큰의 두 번째 부분은 클레임을 포함하는 페이로드입니다. 클레임은 엔터티(일반적으로 사용자) 및 추가 데이터에 대한 설명입니다. 클레임에는 등록 , 공개  비공개 클레임 의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 등록된 클레임 : 필수는 아니지만 유용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클레임 집합을 제공하기 위해 권장되는 미리 정의된 클레임 집합입니다. 그 중 일부는 iss (발급자), exp (만료 시간), sub (제목), aud (대상) 및 기타 입니다.
  • JWT가 압축을 의미하는 한 클레임 이름은 단 3자입니다.
  • 공개 클레임 : JWT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마음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충돌을 방지하려면 IANA JSON Web Token Registry 에서 정의하거나 충돌 방지 네임스페이스를 포함하는 URI로 정의해야 합니다.
  • 비공개 클레임 : 사용에 동의하고 등록된 클레임 이나 공개 클레임 이 아닌 당사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생성된 맞춤 클레임입니다.

페이로드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sub": "1234567890",
  "name": "John Doe",
  "admin": true
}

그런 다음 페이로드는 Base64Url 로 인코딩되어 JSON 웹 토큰의 두 번째 부분을 형성합니다.

서명된 토큰의 경우 이 정보는 변조로부터 보호되지만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 JWT의 페이로드 또는 헤더 요소에 비밀 정보를 넣지 마십시오.

서명

서명 부분을 생성하려면 인코딩된 헤더, 인코딩된 페이로드, 비밀, 헤더에 지정된 알고리즘을 가져와서 서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HMAC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려는 경우 서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생성됩니다.

HMACSHA256(
  base64UrlEncode(header) + "." +
  base64UrlEncode(payload),
  secret)

서명은 메시지가 도중에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개인 키로 서명된 토큰의 경우 JWT의 보낸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모두 합치다

출력은 HTML 및 HTTP 환경에서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점으로 구분된 3개의 Base64-URL 문자열이며 SAML과 같은 XML 기반 표준과 비교할 때 더 간결합니다.

다음은 이전 헤더와 페이로드가 인코딩되어 있고 비밀로 서명된 JWT를 보여줍니다. 

JWT를 사용하여 이러한 개념을 실행하고 싶다면 jwt.io 디버거 를 사용하여 JWT 를 디코딩, 확인 및 생성할 수 있습니다.

 

JSON 웹 토큰은 어떻게 작동합니까?

인증에서 사용자가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로그인하면 JSON 웹 토큰이 반환됩니다. 토큰은 자격 증명이므로 보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토큰을 필요 이상으로 오래 보관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민감한 세션 데이터를 브라우저 저장소에 저장해서는 안 됩니다.

사용자가 보호된 경로 또는 리소스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마다 사용자 에이전트는 일반적으로 Bearer 스키마 를 사용하여 Authorization 헤더 에서 JWT를 보내야 합니다. 헤더의 내용은 다음과 같아야 합니다.

Authorization: Bearer <token>

이는 특정 경우에 상태 비저장 권한 부여 메커니즘이 될 수 있습니다. 서버의 보호 경로는 Authorization헤더에 유효한 JWT가 있는지 확인하고 JWT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보호된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JWT에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작업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쿼리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토큰이 Authorization헤더로 전송되면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쿠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음 다이어그램은 JWT를 얻고 API 또는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1.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가 권한 부여 서버에 권한 부여를 요청합니다. 이것은 다른 권한 부여 흐름 중 하나를 통해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OpenID Connect 호환 웹 애플리케이션은 인증 코드 흐름/oauth/authorize 을 사용하여 엔드포인트를 통과합니다 .
  2. 권한이 부여되면 권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 토큰을 반환합니다.
  3. 애플리케이션은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보호된 리소스(예: API)에 액세스합니다.

서명된 토큰을 사용하면 토큰에 포함된 모든 정보가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 또는 다른 당사자에게 노출됩니다. 즉, 토큰 안에 비밀 정보를 넣으면 안 됩니다.

JSON 웹 토큰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SWT(Simple Web Tokens)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Tokens )과 비교할 때 JSON 웹 토큰(JWT) 의 이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

JSON은 XML보다 덜 장황하기 때문에 인코딩될 때 크기도 작아져 JWT가 SAML보다 더 간결해집니다. 따라서 JWT는 HTML 및 HTTP 환경에서 전달하기에 좋은 선택입니다.

보안 측면에서 SWT는 HMAC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공유 비밀로만 대칭적으로 서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JWT 및 SAML 토큰은 서명을 위해 X.509 인증서 형식의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호한 보안 허점을 도입하지 않고 XML 디지털 서명으로 XML에 서명하는 것은 JSON 서명의 단순성과 비교할 때 매우 어렵습니다.

JSON 파서는 객체에 직접 매핑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반적입니다. 반대로 XML에는 자연스러운 문서 대 개체 매핑이 없습니다. 이렇게 하면 SAML 어설션보다 JWT로 작업하기가 더 쉽습니다.

사용에 관해서는 JWT가 인터넷 규모로 사용됩니다. 이는 여러 플랫폼, 특히 모바일에서 JSON 웹 토큰의 클라이언트 측 처리 용이성을 강조합니다.

 인코딩된 JWT와 인코딩된 SAML의 길이 비교

JSON 웹 토큰에 대해 자세히 읽고 이를 사용하여 자체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증을 시작하려면 Auth0에서 JSON 웹 토큰 랜딩 페이지 로 이동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https://kongbiti.netlify.app/index.html

 

콩비티아이 테스트

내가 콩이라면 나는 어떤 콩?: 콩으로 알아보는 성격유형 테스트

kongbiti.netlify.app

반응형
반응형

"어떤 가족을 이루고 살아야 행복할까요?"

 

https://www.jungto.org/pomnyun/view/83606

 

"어떤 가족을 이루고 살아야 행복할까요?" - 스님의하루

2022.2.2 (오후) 수행법회

www.jungto.org

가족의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혼자 사는 것보다는 남녀가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사는 것이 정상적이고 안정적이라는 얘기를 많이 듣습니다. 가족은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가장 도움을 많이 주고 친밀합니다. 하지만 어떨 때는 가족 간에 가장 상처를 많이 받는 것 같기도 하고 힘들 때가 많습니다. 어떤 가족을 이루고 살아야 행복할까요? 그리고 가족 간의 관계에서 제가 어떻게 해야 행복할까요?”

 

스님은 가족의 범위, 가족 개념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문제들, 그에 따라 미래에 새로 나타날 과제와 대안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어떤 가족 관계를 이루고 살면 행복할까 묻는 질문은 돈을 얼마나 가지면 행복할까 묻는 질문과 같습니다. 수행을 하면 혼자 살아도 행복하고 둘이 살아도 행복하고 다섯 명이 살아도 행복하고 열 명이 살아도 행복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어떤 관계를 갖는 게 더 좋다’ 이렇게 단정해서 말할 수가 없습니다. 옛날에 대가족을 이루고 살던 시대에 태어나 당시의 문화 속에서 자란 사람들은 소가족을 이루고 사는 사람들은 보면 ‘왜 저러나’ 하겠죠.

가족의 규모는 산업화가 시작된 근대 초기에 대가족에서 소가족으로 바뀌기 시작해서 현대에 와서는 다시 소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바뀌었습니다. 핵가족은 부부와 그 자녀만 있는 것, 소가족은 거기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있는 것, 대가족은 거기에 사촌까지 같이 사는 경우라고 말할 수 있겠죠.

그런데 요즘은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2020년 통계에서는 1인 가구가 30%라고 했는데, 2021년 통계에는 40%라고 합니다. 1년 만에 정말로 10%가 늘었는지, 통계 기관이나 표본 집단이 달라서 그런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어쨌든 세상이 이만큼 1인 가구 시대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를 가족이라고 할 것인가?

가족의 범위를 정의하기란 참 어렵습니다. 가족을 생물학적으로 정의한다면, 부모가 미성년 자녀를 보호하고 있는 범위까지를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성년이 되면 엄격하게는 가족이 아닙니다. 그런데 인간 사회에서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가족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대가족이 생겨난 거예요. 대가족은 자연스러운 가족의 구성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대가족은 가족이라기보다는 공동체라고 말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가족 구성원의 변화가 특이한 상황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대한민국은 불과 100여 년 만에 봉건 잔재가 남아 있던 구한말에서 농경사회 말기를 지나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화 사회에 이르렀습니다. 그 사이에 가족 관계도 많이 바뀔 수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나이가 70대 이상인 분들은 대가족을 경험했고, 50대와 60대의 대부분은 소가족을 경험했고, 최근에 20대와 30대는 핵가족을 경험했고, 지금은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1인 시대’를 경험하고 있는 겁니다. 이처럼 가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명확하게 규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다시 말하면, 가족이란 해당 사회에서 규정하기 나름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가족의 개념이 이렇게 바뀌어가고 있는 이유, 더 나아가 1인 시대로 변화해 나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혼자 살아도 별 불편이 없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혼자 살기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음식은 대부분 매식하고, 청소는 청소기가 하고, 빨래는 대부분 세탁기가 합니다. 옷도 옛날처럼 직접 만들어 입는 게 아니잖아요. 일도 기계나 컴퓨터로 하기 때문에 육체적 힘이 필요한 게 아닙니다. 일의 성격이 많이 바뀌었고, 혼자서 의식주를 다 해결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래서 남녀가 굳이 협업을 해야 될 필요성도 많이 떨어졌습니다. 다만 성적인 필요성은 아직 남아 있기에 남녀가 같이 사는 경우도 많을 뿐이에요. 그러나 남녀의 역할이 구분되지 않고 혼재가 되니까 갈등이 많이 생겨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연애만 하고 결혼을 안 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굳이 결혼까지 하기에는 부담스럽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또 과거와 달리 요즘은 자녀를 너무 과잉보호하는 추세예요. 옛날에 아이 10명을 키우는 것보다 지금 아이 1명을 키우는 게 더 힘들다고 할 정도로 육아에 대해 느끼는 부담이 엄청나게 커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일부는 ‘내가 살기도 바쁜데 아기를 어떻게 키우느냐?’라고 하기도 합니다. 옛날에 농사짓고 살 때는 아기를 낳기만 하면 그냥 알아서 큰다는 분위기였어요. 그러나 지금은 사회적인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여러모로 아이를 보호하는 법규와 규정이 굉장히 많아졌어요. 이렇게 아기를 키우는 것에 대해 느끼는 부담이 커지다 보니, 결혼을 아예 안 하거나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는 안 가지겠다는 사람들이 갈수록 더 늘어나게 된 겁니다. 이런 추세대로 간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했던 가족 개념이 빠른 속도로 붕괴될 거예요.

또 이혼과 재혼을 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전통적으로 결혼은 사람과 사람의 만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집안과 집안이 맺어지는 일이었기 때문에 이혼과 재혼을 하는 과정에서 가족관계가 굉장히 복잡해지고 있어요. 요즘은 부부가 한 번 결혼하면 죽을 때까지 같이 사는 경우보다 이혼한 후 재혼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습니다. 그 결과 시댁이니 친정이니 하는 개념도 점점 옅어지고 있어요.

가족 개념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문제들

이에 따라 국가가 가족 단위로 혜택을 주는 제도에도 새로운 문제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동거하는 두 사람도 그냥 룸메이트가 아니라 부부처럼 경제적으로 이해관계를 맺고 있다면 가족에 해당하는 혜택을 줘야 하지 않느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요. 남자끼리 살든, 여자끼리 살든, 남녀가 살든, 합법적 결혼이든, 사실상의 결혼이든, 동거 관계이든, 같이 산다면 가족에 해당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 달라는 겁니다. 이미 캐나다에서는 이런 사회적 변화를 반영해서 두 사람 혹은 세 사람이 같이 살면 법적인 가족의 범위 안에 넣어서 주택을 구하거나 세금을 낼 때 여러 가지 혜택을 주는 쪽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지금 대한민국도 전통적인 결혼 관계에 기반한 가족을 우대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다른 형태의 동거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사회 제도가 변화하게 될 거예요.

결혼도 안 하고 자식도 안 낳는 가족, 즉 성적인 문제 때문이 아니라 뜻이 같거나 이해관계 때문에 같이 사는 형태의 새로운 가족이 점점 늘어나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혼자 살기엔 외롭고, 그렇다고 가족을 이루고 살기엔 너무 복잡하니까,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비교적 쉬우면서도 뜻이 맞는 사람끼리 같이 사는 거예요. 이런 현상이 곳곳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습니다.

정토회에서 활동하는 청년들도 크게 다르지 않아요. 두세 명이 집 하나를 구해서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값이 워낙 비싸서 혼자서는 도저히 구할 엄두가 안 나니까요. 그래서 세 명이 같이 집을 구하기도 하고, 네 명이 같이 집을 구하기도 해서 생활합니다.

정토회가 지금 출가해서 수행하는 공동체를 유지하는 이유도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직은 ‘출가’를 우선하다 보니 대중의 생활과 너무 구분되는 경향이 강해요. 그래서 정토회는 이런 사회 변화까지 고려해서 ‘제2공동체’라는 이름으로 어느 정도 개인 생활이 용인되는 공동체를 구성하고자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2공동체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할 거예요. 첫째, 같은 뜻을 향해 활동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어느 정도 개인 생활을 하면서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둘째, 은퇴한 사람들이 일상의 절반은 개인생활을 하고 절반은 공동체 생활을 하는 방식입니다. 두 가지 방식을 모두 고려하고 있어요.

앞으로 점점 더 다양한 가족관계가 만들어질 겁니다. 결혼으로 맺어지지 않은 가족 관계가 점점 늘어나고, 전통적인 가족 개념은 줄어들 거예요. 그렇다 하더라도 아직은 전통적인 가족 개념이 더 우세한 편이라고 할 수 있죠. 사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가족의 개념이 어떻게 변하는 것이 바람직할까요? 이건 사회적인 선택의 문제라고 봅니다.

아이를 낳아 키우지 않으려는 시대, 대안은?

제일 큰 문제는 자녀의 양육, 즉 미래 세대를 우리가 어떻게 키울 것인가 하는 겁니다. 북한에서는 보육원에 아이를 모두 위탁을 해서 전문가들이 키웁니다. 이렇게 사회 제도적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도 있겠죠. 그렇지 않으면 직접 낳아서 키우든 입양해서 키우든 자녀를 키우는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혜택을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자기 부모라도 노인을 모시는 사람에게는 특별한 혜택을 주고 있거든요. 집에서 노인 세 명만 모시면 회사 월급에 준하는 지원금이 나옵니다. 간호사 자격이 있는 사람이 집을 하나 구해서 노인을 세 사람 정도 모시면 집세, 생활비, 월급까지 다 나오는 셈이에요. 양로원이라는 시설을 마련해서 대규모로 노인을 부양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가정으로 책임을 흩어 버리는 거죠.

고아가 된 아이들에 대해서도 비슷한 대안이 나오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고아원에 모아서 돌보다가 입양을 보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인 아이조차 안 키우려고 하니 앞으로 입양이 더욱더 어려워질 거예요. 그렇게 되면 이제 공동 육아를 하게 되거나, 아이를 키우는 사람에게는 특별한 혜택을 주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친자식이든 아니든 아이를 두셋만 키우면 직장 다닐 필요 없이 월급에 준하는 지원금이 나오는 거죠. 나중에는 집에서 아이 키우는 것도 하나의 직업이 되는 제도가 곧 도입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10년 전부터 이렇게 강조했잖아요.

‘아이가 세 살이 될 때까지는 키우는 사람에게 유급 휴가를 줘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예산이 너무 많이 들지 않느냐’ 하고 반대하지만, 이미 일본에서는 이렇게 하기로 정부 방침이 정해졌어요. 저는 아이를 잘 키우는 게 미래 사회를 위한 가장 큰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문제는 앞으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겁니다.

그리고 자기가 낳든 입양을 하든 아이를 두셋만 키우면 그것 자체가 하나의 직업이 될 수 있는 사회가 빠른 시간 내에 오게 될 거예요. 어린이의 육성에 대한 대책이 없으면 우리 사회는 앞으로 큰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의 수가 점점 줄어드는 것은 문제가 아니에요. 아이의 수가 많든 적든 양육을 잘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가족 개념이 바뀌면 이런 문제까지도 다 연달아서 나타날 거예요. 이것은 대한민국의 미래에 중요한 과제입니다.

가족 개념은 앞으로 계속 바뀌어나갈 수밖에 없어요. 여러분들은 이런 사회 변화를 미리 알아서 자녀들에게 조금 앞서가는 부모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고지식해서 말이 안 통하는 부모가 되지 말고요. 간섭하지는 않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충분히 소통해서 관계를 잘 맺어나가는 지혜로운 부모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세상의 모든 위대한 부는
모두 타인에게서 무언가를 얻는 것 보다 자기가 가진 것,
즉 재화나 서비스 혹은 아이디어를 베푸는 데
더 큰 열정을 가진 이들이 이룩한 것이라네.
반면에 주는 것보다 얻는데 열심인 사람들은
위대한 부의 대부분을 탕진해버렸지.
- 밥 버그 & 존 제니비드만, ‘기버’에서


많이 내어줄수록 얻는 것도 많아집니다.
주는 것 없이 받으려고만 하면 남들도 똑같이 대하게 됩니다.
결국 가난에 이르게 됩니다.

“구걸하는 마음 연습하면 거지 종이 되고,
베푸는 마음 연습하면 부자 주인이 된다.” 월호 스님의 말씀입니다.

https://youtu.be/duwdUL-hXsQ

 

반응형
반응형

디아스포라들은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비슷하다.
언제 그리고 왜 한반도 밖으로 향했는지 각자의 이유가
다르고, 자신이 정착한 현지 국가의 정치 체제, 경제 상황,
민족 구성에 따라 자신을 인식하는 방법이 다르다. 하지만
한반도를 떠나면서부터 이민자 혹은 이민자 자녀, 소수자,
이방인이 되었던 그들의 경험은 비슷하다. 낯선 환경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묻고, 자신의 수식어를 찾는 몸부림이 닮아 있다.
그래서 더욱 궁금해졌다. 그들과 나의 존재를 설명하는 여러
수식어들 중 '코리안'이란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닐까.
한반도 밖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대한민국의
한국인들, 아니, 한반도 안의 모든 이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해야 할까.

- 전후석의《당신의 수식어, 더 큰 세상을 위한 디아스포라 이야기》중에서 -


* 갖가지 절박하고 가슴 저리는 사연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재외동포 '코리안 디아스포라'.
그분들이 매일 반복하는 '자기 수식어를 찾기 위한 몸부림'에
마음 한 켠이 먹먹해집니다. 이제는 서로 연대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한반도 안과 한반도 밖에 사는 한국인들이
서로 연결되어 각자의 경험과 지식, 아픔과 외로움을
나누며 새로운 길을 내야 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청소년에 초점을 모아 미래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일에 누군가가 나서야만 합니다.
뿌리를 찾고 정체성을 일깨우는 일만으로
세상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Diaspora

 

고전 그리스어로 파종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본토를 떠나 타국에서 살아가는 공동체 집단, 혹은 이주 그 자체를 의미한다.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객가, 민남 등 남중국계 화교, 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인[1] 타밀 등 남인도인, 그리스인 등이 세계사 속에서 전세계를 누빈 경우이다. 상술한 민족 집단 중 화교와 인도계를 제외하면 본토보다 외국으로 퍼진 후손들이 많은 디아스포라 민족으로 유명하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관순 열사의 절규  (0) 2022.02.09
감정을 다스리는 '15초 법칙'  (0) 2022.02.08
'생각의 각도'를 바꾸자  (0) 2022.02.07
사랑은 그저 거기에 있을 뿐  (0) 2022.02.04
신뢰  (0) 2022.02.03
반응형

어떤 상원 의원이
링컨의 아버지가 구두 수선공이라고 조롱하자,
링컨은 오히려 정중하게 대답했다. "감사합니다, 의원님.
한동안 잊고 지냈던 제 아버지를 떠올리게 해주시니 말입니다.
제 아버지는 정말 완벽한 구두 수선공이셨습니다. 누구든지
제 아버지가 만든 구두에 문제가 생기면 가져오십시오.
아버지 솜씨를 따를 수는 없지만 제가 정성을 다해
수선해 드리겠습니다."


- 이민규의《생각의 각도》중에서 -


* 문제를 해학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유머 감각이 있다면, 자칫 심각해질 수 있는 일도
아무것도 아닌 일로 재치있게 받아넘길 수 있습니다.
화살의 방향을 1도만 바꿔도 목적지가 완전히 달라지듯,
생각의 각도를 1도만 바꾸면 자칫 심각해질 수
있는 일도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을 다스리는 '15초 법칙'  (0) 2022.02.08
코리안 디아스포라, 수식어를 찾는 몸부림  (0) 2022.02.07
사랑은 그저 거기에 있을 뿐  (0) 2022.02.04
신뢰  (0) 2022.02.03
내가 만약에  (0) 2022.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