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NPS의 개념

NPS(Net Promoter Score : 순수 고객 추천 지수) 란?    고객 순추천 지수 프레임워크

  • 추천 의향 문항을 11점(0~10점) 척도로 측정하여 ‘추천고객 비율(Promoters %)’에서 ‘비추천고객 비율(Detractors %)’을 빼서 NPS를 산출합니다. 
  • 당신은 A 제품/서비스를 친구나 동료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습니까?’ 라는 질문이 기본
  • ‘추천 의향’이라는 단 하나의 문항으로 고객의 서비스 로열티를 측정
  • 이론적으로 점수 범위는 -100점부터 +100점까지
  • 선택적으로 ‘해당 점수를 선택한 이유’를 묻는 문항을 추가하기도 함

NPS는 ‘추천 의향’이란 질문 단 하나로 고객의 실제 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항이 짧아 고객으로부터 답변을 받기도 용이하며, 문항과 척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경쟁사 및 업계 평균을 비교하여 자사의 현재 입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니 NPS를 도입하는 장점이 한가득이죠? 게다가 NPS는 많은 기업이 채택하면 채택할수록 내가 얻는 업계 평균 서비스 만족도 정보도 많아지니 얼른 주변에도 널리 알려주세요.

 

NPS의 3가지 고객 유형

NPS에서는 앞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고객군을 3가지 유형으로 나눕니다. Promoters / Passives / Detractors 입니다. 3개로 나누어지는 고객군을 기반으로 NPS 결과를 분석합니다. 

1. 추천 고객 (Promoters) :
– 9~10점을 준 고객.
– 자신의 만족을 주변에 적극적으로 퍼뜨리는 고객으로 구전 마케팅(Viral Marketing) 효과는 덤 (아싸!)
– 비추천고객보다 더 많이! 더 자주! 구매하는 고객 
– 제품/서비스에 충성도(loyalty)가 높은 고객

2. 중립 고객 (Passives) :
– 7~8점을 준 고객
– 겉으론 ‘만족해요~’라고 말하면서 불만을 감추려는 고객
– 따라서 중립 고객군이 2~3점을 깎아낸 이유를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불만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
– 적극적으로 제품/서비스 홍보를 하지 않는 중립적인 고객

3. 비추천 고객 (Detractors) :
– 0~6점을 준 고객
– 언제라도 선택을 바꿀 수 있는 고객
– 친구 혹은 동료에게 제품 및 서비스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고객
– 충성도가 낮은 고객

 

 

 

https://blog.jandi.com/ko/2018/11/07/what_is_nps/

 

서비스 성과 지표로 고민중이세요? ① NPS 개념알기 - 업무용 협업툴 JANDI 블로그

잔디 CX 팀은 Customer Experience 라는 팀 이름에 걸맞게 '사용자들이 잔디를 추천하는 지수'인 'NPS (Net Promoter Score)'를 저희 팀 만의 서비스 성과 지표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 서비스 성과 지표로 고민

blog.jandi.com

 

반응형
반응형

frontend-evolution

 

https://github.com/ManzDev/frontend-evolution

 

GitHub - ManzDev/frontend-evolution: Frontend Evolution timeline (1995-2019)

Frontend Evolution timeline (1995-2019). Contribute to ManzDev/frontend-evolu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https://velog.io/@teo/full-stack-developer#%ED%92%80%EC%8A%A4%ED%83%9D-%EA%B0%9C%EB%B0%9C%EC%9E%90%EB%9E%80-%EB%AC%B4%EC%97%87%EC%9D%BC%EA%B9%8C%EC%9A%94-%EA%B5%AC%EA%B8%80%EC%97%90%EA%B2%8C-%EB%AC%BC%EC%96%B4%EB%B4%A4%EC%8A%B5%EB%8B%88%EB%8B%A4

 

풀스택 개발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혹시 풀스택 개발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프론트도 재밌고 백엔드도 재밌는데 둘다 하려고 하니 T자형 개발자가 되기 힘들고, 또 "풀스택개발자는 상상속 유니콘이다" 라는 말도 있

velog.io

 

반응형
반응형

jquery ,  sortable, 안에 텍스트는 드래그 가능하게.  bootstrap sortable inner text dragable

 

https://jqueryui.com/sortable/

 

Sortable | jQuery UI

Sortable Reorder elements in a list or grid using the mouse. Enable a group of DOM elements to be sortable. Click on and drag an element to a new spot within the list, and the other items will adjust to fit. By default, sortable items share draggable prope

jqueryui.com

 

Sortable w/ Selectable Text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070749/sortable-w-selectable-text

 

Sortable w/ Selectable Text

Is it possible to be able to have sortable elements, but still allow users to copy/paste the text inside the elements? <div class="sortable"> <div class="pseudo-sortable">Foo</di...

stackoverflow.com

 

What about putting your text in a <span>?

HTML

<ul id="sortable">
    <li><span>Item 1</span></li>
    <li><span>Item 2</span></li>
    <li><span>Item 3</span></li>
    <li><span>Item 4</span></li>
    <li><span>Item 5</span></li>
    <li><span>Item 6</span></li>
    <li><span>Item 7</span></li>
</ul>

jQuery

$("#sortable").sortable({
    revert: true,
    cancel: "#sortable li span"
});

Try it here: http://jsfiddle.net/6uXx8/

반응형
반응형

자바스크립트로 현재시간 timestamp 구하기

console.log( new Date().getTime() );
 

 

반응형
반응형

어린 시절
오산천은 우리들의 최고 놀이터였다.
그러나 다시 돌아온 오산천은 망가지고
있었다. 자연이 주는 무한한 풍요는 사라진 채
곳곳의 악취와 함께 시민들의 주차장으로, 주말에는
삼겹살을 구워 먹는 곳으로 변질되었다. 모든 하천이
직선으로 바뀌었다. 자연하천은 곡선으로 흐른다.
천변에 시멘트를 발라 기괴하게 변한
물길을 보면 내 어린 시절이
뒤틀리는 느낌이었다.


- 곽상욱의《세상에서 가장 넓은 학교》중에서 -


*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의 추억이 있습니다.
흙, 물, 숲, 논, 밭, 자연과 더불어 뛰놀던,
더없이 즐겁고 슬프고 아련했던 추억입니다.
시골에서 자란 사람들은 더욱 그렇습니다. 대도시로
나가 부지런히 뜀박질을 하며 살다 고향으로 돌아오면
뒤틀린 듯 변해버린 모습에 가슴이 아파옵니다.
시멘트 범벅으로 변한 오산천의 물길을
다시 되돌리는 것, 크게 박수받을
아름다운 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신의 대상  (0) 2022.01.17
감춰진 과녁  (0) 2022.01.13
구십이 넘도록 글을 써야지  (0) 2022.01.11
겨울꽃, 고드름  (0) 2022.01.10
나의 일 사랑하기  (0) 2022.01.10
반응형

역사적인 성공의 절반은
죽을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고,
역사 속 실패의 절반은
찬란했던 시절에 대한 향수에서 비롯되었다.
- 아놀드 토인비, 역사학자


군자는 지금 편안할 때가 있다고 해도
언제 위험이 다가올지 모른다는 생각을 잊지 말아야 하고
지금은 존재해 있어도 언제 망할지 모른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몸이 편안해질 수 있고
나라(조직)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아주 오래된 불교 경전 역경(譯經)에 나오는 말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