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가족을 이어주는 제사의 자리에서. 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https://brunch.co.kr/@anhyunjin/562

 

가족을 이어 주는 제사의 자리에서

《논어》, 공자_제4편 리인(里仁) 1.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의 풍속이 인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인한 마을을 잘 골라서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논어》,

brunch.co.kr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의 풍속이 인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인한 마을을 잘 골라서 거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논어》, 공자_제4편 리인(里仁) 1.

 

 

子曰 :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공자가 말했다. "인이라는 마을에 살게 되면 아름답게 된다. 인에 살지 않기를 택한다면 어찌 지혜를 얻겠는가?"


공자는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핵심을 인仁으로 보았지요. 인하지 않고는 군자가 될 수 없다고 보았으니 인과 거리가 먼 사람이 진리를 추구하고 그 과정의 끝에서 지혜를 깨닫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언득지'라고 공자가 말한 까닭입니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090112/8682737/1

 

[한자 이야기]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논어’ 里仁(이인)편의 첫 章(장)이다. 첫 구절 里仁爲美(이인위미)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근대 이전의 사상

www.donga.com

 

‘논어’ 里仁(이인)편의 첫 章(장)이다. 첫 구절 里仁爲美(이인위미)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근대 이전의 사상계에 영향력이 있었던 朱子(주자) 즉 朱熹(주희)는 里(리)를 마을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이 구절은 “마을은 어진 곳이 좋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孟子(맹자)는 里를 처한다는 뜻의 동사로 보았다. 다산 정약용은 이 설에 따랐다. 그렇다면 이 구절은 “인에 처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풀이되고 “인을 행동의 근거로 삼는다”는 뜻이 된다. 爲(위)는 쓰임이 복잡한 글자이다. 여기서는 ‘∼이다’라는 繫辭(계사)로 쓰였다.

擇(택)은 選擇(선택)한다는 뜻이다. 인에 맞는 행동을 할까 말까 고르는 일을 말한다. 處(처)는 처한다는 뜻이니 處仁이란 ‘인의 입장에 있음’을 말한다. 焉(언)은 글 끝에서 종결의 기능을 하지만 글 처음에 오면 의문의 기능을 한다. 焉得(언득)은 ‘어찌 ∼일 수 있을까?’라는 뜻으로, ‘∼일 수 없다’는 뜻의 反語(반어)이다. 知(지)는 智(지)와 통용되며, 知慧(지혜)를 말한다.

조선 후기의 李重煥(이중환)은 擇里志(택리지)를 엮으면서 제목을 여기서 따왔다. 이 책은 조선의 인문지리서로서 가치가 있지만 里仁을 “마을은 어진 곳이 좋다”로 보아 지역차별의 결과를 가져왔다. 孟子가 “仁은 사람의 安宅(안택)이다”라고 정의해서 “인에 처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본 것이 더 좋다.

공자는 이미 “군자가 산다면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라고 했다. 정약용도 “만일 어진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골라서 산다면 이것은 자신을 꾸짖기에 앞서 남을 먼저 꾸짖음이 되므로 가르침일 수가 없다”고 했다. 이 장을 오해해서 지역차별을 합리화한다면 공자에게 미안한 일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반응형
반응형

오쿠다 히데오

 

https://namu.wiki/w/%EC%98%A4%EC%BF%A0%EB%8B%A4%20%ED%9E%88%EB%8D%B0%EC%98%A4

 

오쿠다 히데오

일본 의 소설가 . 생애 1959년 일본 기후현 기후시 에서 태어났다. 기획자, 잡지 편집자, 카피라이터,

namu.wiki

 

쉽고 간결한 문체로 인간을 유머러스하게, 때로는 잔혹할 만큼 리얼하게 그려내며, 작품마다 독특하고 매력적인 인물을 등장시켜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주로 일본사회의 부조리나 모순을 배경삼아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단편으로는 공중그네를 비롯한 이라부 시리즈가 유명하다. 단편은 각 단편집에 제목에 어울리는 남녀 회사원(마돈나, 걸)이나 주인공이 황당한 곤란에 처하게 되는 상황(이라부 시리즈)으로 유명하다.

보통 3명 이상의 주인공이라 할만한 인물을 등장시켜 각각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어느 순간 접점을 만들어서 서로 꼬이게 만드는 전개 방식이 일품이다. <최악>, <한밤중의 행진>, <올림픽의 몸값>, <꿈의 도시>, <방해자> 등 초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장편이 이에 속한다. 단편은 별로 스토리를 꼬지 않고, 주인공 한 명의 당황스러운 상황과 유머에 초점을 맞추는 편.

독특한 스타일과 소재로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작가이며, 버스나 지하철에서 읽을 때 웃음을 참느라 낄낄거리는 자신을 자주 발견할수 있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런 유머는 특히 단편과 단편의 리듬감과 유머를 유지하는 활극형식의 길지 않은 장편에서 발견할 수 있다.( <남쪽으로 튀어>, <한밤중의 행진>)

그러나 두꺼운 장편의 경우는 심각한 상황으로 가는 경우도 많다.(<최악>, <방해자>, <꿈의 도시>, <올림픽의 몸값>)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사전조사가 상당히 철저한 편이다. <최악>, <꿈의 도시>에서는 주로 도시의 하층민 혹은 저소득층들이 다수 등장하는데, 구체적인 상황이나 소득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자세하다. 하청공장이 볼트 하나 조립할 때 몇 엔 받는 것이나, 마트의 비정규직 사원의 월급을 세세히 적어놓을 정도.

자신은 플롯을 미리 잡지 않고 주인공들을 생각해놓고 마음대로 날뛰게 한다고 말한적이 있다.

플롯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성된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이용해 반자동 상태로 스토리를 이끌다보니 등장인물의 역할이나 선악 배분이 미리 정해진 플롯에 의해 억지로 좌우되지 않고 각기 중층적인 인물 상의 미묘한 밸런스를 유지하는게 일품인데다 소설로서의 흡인력도 상당하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마무리가 허술해진다는건데 '어 설마 이게 끝?' 스타일의 강제 연재 종료 식의 엔딩이 많은 편이다. 경우에 따라 이야기의 리얼리티와 핍진성을 더해주기도 하지만, 역으로 '현실을 반영하되 현실에선 쉽게 하기 힘든 경험을 묘사하는 것' 이 대부분의 창작물이 갖는 재미 요소임을 생각하면 단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편.

특이한 이력과 관점을 가진 사람인데, 자신의 이야기를 각색하고 당대 일본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세세히 묘사하고 있는 <스무살 도쿄>를 보면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난다.[1]

장편 단편을 가리지 않고 플롯 상의 공통점을 지적하면, 웃기든 심각하든 주인공들이 점차 미묘한 곤경에 처하게 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소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 해소방식에 따라서 웃길 수도 있고, 심각할 수도 있고, 답이 없어지며 나락에 빠지기도 한다.

작품 속에 야쿠자가 나올 때가 많다. 등장인물이 야쿠자로 나오는 경우[2]도 있고, 야쿠자가 소설에 등장하는 경우는 세기 힘들 정도로 많다. 대표적으로는 꿈의 도시, 최악, 한밤중에 행진 등.

 

반응형
반응형

보통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바라봐 주는 대로
스스로를 바라봅니다.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그리고 보호와 편 들어주기가 있어야
아이는 비로소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그야말로 '성장'을 할 수
있습니다.


- 정우열의 《나는 왜 내편이 되지 못할까》 중에서 -


* 삶은 꽤나 심오합니다.
그 심오함이 부모와 자식 간에도 늘 존재합니다.
희로애락이 끊임없이 춤을 춥니다. 존경받는 부모,
사랑받는 아이, 화목한 가정을 꿈꾸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수록 부모의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자녀의 부모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경, 모든 것을
넘어서는 최고의 가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방 쓰는 부부  (1) 2025.02.06
마디와 마디 사이  (2) 2025.02.05
이유 없이 고통을 겪는 사람들  (0) 2025.02.03
나는 나를 좋아한다  (0) 2025.01.31
순간 몰입  (0) 2025.01.24
반응형

지금 고통을 겪는 모든 사람은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한 벌을 받고
있는 것인가? 아무 잘못 없어 보이는 사람이
왜 저런 끔찍한 괴로움을 겪어야 하는가?
대체 이 세상에서는 왜 악과 불의와,
도무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는
고통이 존재하는가?


- 송민원의 《지혜란 무엇인가》 중에서 -


* "왜 이유없는 고통이 존재하는가?"
오랜 인류 역사에서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하늘에 묻고 울부짖었던 절규의 물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인류 중에 그 누구도 끝내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다만 오늘도 그 답을 찾아
길을 갈 뿐입니다. 고통 속에서도
자기 길은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디와 마디 사이  (2) 2025.02.05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0) 2025.02.04
나는 나를 좋아한다  (0) 2025.01.31
순간 몰입  (0) 2025.01.24
때(時)와 정도(正道)  (0) 2025.01.23
반응형

터미널에서 장고 프로젝트 디렉토리인 mysite 로 이동 합니다.

(.conda) (c:\dev\django\.conda) C:\dev\django>cd mysite

터미널에서 mysite 디렉터리로 이동 후 python manage.py runserver 라는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onda) (c:\dev\django\.conda) C:\dev\django\mysite>python manage.py runserver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http://127.0.0.1:8000/ 에 접속합니다.

 

http://127.0.0.1:8000/

 

문서 :   https://docs.djangoproject.com/en/5.1/  

 

 
반응형
반응형

터미널에서 장고 프로젝트 디렉토리인 mysite 로 이동 합니다.

(.conda) (c:\dev\django\.conda) C:\dev\django>cd mysite

터미널에서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라는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onda) (c:\dev\django\.conda) C:\dev\django\mysite>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터미널에서 python manage.py migrate 라는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onda) (c:\dev\django\.conda) C:\dev\django\mysite>python manage.py migrat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