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국립제주박물관은 국립해양박물관‧제주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특별전 <해양 제주 OCEAN JEJU – 바다에서 바라본 제주바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고, ‘탐라국’이 있었던 아주 오래전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한 번쯤 들어봤던 이름의 사람들, 혹은 이름을 남기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언제인가 본 듯한 삶의 모습들을 이야기합니다.

<1부-바다를 건너다>는 제주바다를 건너간 사람들, 그리고 바다를 건너온 이방인들의 이야기입니다. 아주 일찍부터 제주사람들은 바다를 건너 육지와 왕래하였습니다. 오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어 제주바다에는 일정한 바닷길이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주바다의 독특한 해저지형과 계절풍, 해류, 조류에 따라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지식인들의 기록에 간혹 등장하는 진짜 제주사람들이 들려주는 제주바다 이야기는 육지에서 온 관리에게도, 제주에 사는 선비에게도 낯선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구 반대편에서는 16세기 이후 많은 유럽국가들이 무역과 탐험을 위해 아시아의 바다로 진출하였습니다. 한때 ‘Ilha dos Ladrones(도둑들의 섬)’, I.Fungma(풍마) 등으로 불렸던 제주는 18세기 항해자들에 의한 본격적인 탐사가 이루어지면서 드디어 ‘Quelpart(켈파트)’라는 확실한 이름을 갖게 됩니다. 특히 1653년 제주에 표류한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의 난파기는 제국의 바다를 꿈꾸던 사람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하였습니다.

<2부-바다에서 살아가다>는 바로 그 제주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제주사람들에게 섬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조건이고, 바다는 살아가는 터전입니다. 바람에 날릴 만큼 얕은 토양, 비가 내려도 금방 말라버리는 하천, 장기瘴氣 가득한 바람과 습기 등 화산섬의 척박한 조건은 바다가 있어 그래도 살 만했습니다. 검은 해류를 따라온 고기를 쫓아 어부는 배를 띄우고, 바람이 멎는 날이면 해녀들은 바다밭으로 나갔습니다.
그러나 바다는 풍요롭지만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주섬은 무사한 항해와 풍어를 바라는 간절한 믿음을 들어줄 신들이 함께했습니다. 육지에서 온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눈 먼 바람과 괴이한 비도 제주사람들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 전시의 주제는 바로 사람입니다. 많은 사진작가들이 제주만의 독특한 삶을 카메라에 담아왔습니다. 허벅에 물을 길어 등에 메고 가는 여인들. 도롱이를 입고 털벌립을 쓴 테우리. 애기구덕에 동생을 재우는 아이. 테왁과 망사리를 들고 바다로 들어가는 해녀들. 사진 속의 제주사람들은 지금 우리의 눈에 낯설지 모르지만, 제주에서는 가장 보통의 존재들입니다.

제주바다가 시작되는 곳, 섬의 가장 끝에는 등대 이전에 도대불이 있었습니다. 해가 저물 무렵 가장 먼저 바다에 나가는 어부가 불을 켜고, 마지막에 포구에 들어온 어부가 불을 껐다고 합니다. 이 전시는 바람에 흔들리는 도대불을 등대 삼아 바다로 나가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http://jeju.museum.go.kr/_prog/special_exhibit/index.php?site_dvs_cd=kr&menu_dvs_cd=0402&gubun=&GotoPage=&mode=V&mng_no=258

 

상세 > 특별전시 >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은 국립해양박물관‧제주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특별전 <해양 제주 OCEAN JEJU – 바다에서 바라본 제주바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고, ‘탐��

jeju.museum.go.kr

반응형
반응형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콘서트

4~6일…VR·AR 활용해 실감나는 전시장 구현
70개 업체 100여개 프로젝트 클릭만으로 감상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0266751

 

'버추얼 3D 부동산 박람회' 한경이 국내 최초로 엽니다

'버추얼 3D 부동산 박람회' 한경이 국내 최초로 엽니다,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콘서트 4~6일…VR·AR 활용해 실감나는 전시장 구현 70개 업체 100여개 프로젝트 클릭만으로 감상

www.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면서 전국 주요 전시장이 사실상 문을 닫았습니다. 전시업체들은 패닉에 빠졌고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산업의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국내 최대 부동산 종합 박람회인 ‘집코노미 박람회’는 온라인에서 돌파구를 찾기로 했습니다.
한국경제신문사는 4~6일 ‘스마트홈·빌딩·시티’를 주제로 국내 최초의 버추얼 전시회인 ‘집코노미 언택트(비대면) 박람회’를 엽니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현장 박람회로 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기 위해 온라인 전시회로 전환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가상공간에서 열리는 국내 첫 버추얼 전시회입니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첨단 실감형 기술로 박람회 부스를 3차원(3D) 가상공간에서 구현합니다. 코로나19 감염은 물론이고 시·공간 제약에서 자유롭습니다. 현장 부스를 설치하기로 했던 70여 개 건설회사 공공기관 부동산개발업체 분양마케팅업체 건축자재업체가 모두 온라인으로 참가합니다. 이들 업체 100여 개 프로젝트의 동영상, 조감도 등을 휴대폰 터치와 노트북 클릭만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공식 전시 기간이 끝난 뒤에도 1년간 버추얼 박람회를 운영하며 자료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K79qORATKw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0264771

 

'3기 신도시 개발' 도시공사, 주차로봇 도입 등 혁신경쟁

'3기 신도시 개발' 도시공사, 주차로봇 도입 등 혁신경쟁,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 테크노밸리·디지털캠프 등 3기 신도시관·홍보관 운영

www.hankyung.com

 

반응형
반응형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 4~6일 개최‥K-VINA 해외부동산 부스 및 강연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09010305&t=NN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 46일 개최KVINA 해외부동산 부스 및 강연

한국경제 ‘집코노미 박람회’(옛 한경 리얼티 엑스포)가 언택트(비대면) 박람회로 열린다. 최근 재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방역 강화 방침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다. 당초 박람회�

www.wowtv.co.kr

“역대급 해외부동산 투자 기회 오고 있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투자전략 안내

youtu.be/pK79qORATKw

 

한국경제 ‘집코노미 박람회’(옛 한경 리얼티 엑스포)가 언택트(비대면) 박람회로 열린다.
최근 재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방역 강화 방침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다.
당초 박람회는 이달(9월) 4~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현장 박람회를 별도로 열지 않기로 한 것이다.
대신 가상 공간에서 부스를 마련하고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실감형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전시회(사진)를 선보인다.
온라인 박람회 참가 희망자는 박람회가 시작되는 4일 이후 ‘집코노미 언택트 박람회’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면 된다.
온라인 박람회에 접속하면 실제 전시관에 온 것처럼 전시관 입구에서 개별 전시관을 선택해 구경할 수 있다.
부대행사인 ‘아름다운 우리아파트 사진전’과 ‘새만금 사진전’은 링크로 연결된다.
부대 행사로 열리는 ‘집코노미 언택트 콘서트’는 박람회 기간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유튜브 채널 집코노미TV 등을 통해 전문가들이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을 알려준다. 집코노미 콘서트는 ‘컨퍼런스 홀’로 입장할 수 있다.
대형 건설사별로 브랜드와 사업 단지를 소개하는 설명회도 준비돼 있다.
박람회 사무국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3D 실감형 박람회라는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됐다”며 “가을 부동산 트렌드와 시장 전망을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해외투자 진출 원스톱 솔루션인 `한경 K-VINA`는 집코노미 콘서트를 통해 `역대급 해외부동산 투자 기회가 오고 있다`는 주제로 해외투자 전략과 유망 프로젝트를 설명한다.
김현수 한경 K-VINA 수석전문위원(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은 7일 집코노미TV 유튜브 채널 부동산박람회 콘서트 강연을 통해 20년만에 찾아온 놓칠 수 없는 해외부동산 투자 기회 요인을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김 위원은 특히 아세안 국가 가운데 상대적으로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고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뤄내고 있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라오스 부동산시장에 주목하라고 조언하다.
김 위원은 코로나19 위기로 유동성 위기를 견디지 못하고 시장에 매물로 나온 유망 부동산 소유 해외기업 M&A 및 호텔, 리조트 매물 등에 대해 투자 전략을 안내한다.
또한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시장에서 1~2억원대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한 유망 프로젝트도 소개할 예정이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AVdqlngIAxHtwlCA2hjv3A

 

집코노미TV

한국경제신문과 한경닷컴이 함께하는 부동산 채널 집코노미TV입니다.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2020-09-02, 코로나, 폭염, 태풍. 

반응형
반응형

문제에 대해 말하는 것보다
가능성에 대해 말하는 게 더 늘어나면 변화가 일어난다.
문제에 대해 말할 때는 에너지가 낮은 주파수로 향한다.
의심, 걱정, 불안. 그러면 우리는 침전물이 된다.
하지만 가능성에 대해 말하기 시작하면,
심지어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모른다 해도 에너지가 올라가기 시작한다.
- 마이클 버나드 벡위스, 명상 지도자


긍정의 힘입니다. 문제에 집착하면 자꾸 힘이 빠지게 됩니다.
기회와 가능성에 집중하면 에너지가 생기고 문제해결력도 높아집니다.
나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의 분위기도 활기차게 변화해
조직 생산성도 더불어 높아집니다.
문제가 아닌 가능성에 집중하는 습관을 키워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 그래도 아픈데
이게 다 네가 더 노력하지 않아서 아픈 거고,
안 그래도 힘든데 네가 더 노력하지 않아서 힘든 거란,
그 말이 주는 무력감, 자괴감, 그리고 상처를 안다.
그래서 나는 희귀병 진단을 받고 기뻤고, 그래서
나는 누군가에게 이 말을 전하고 싶어
이 긴 글을 시작했는지도 모르겠다.
사는 게 참, 힘들죠?
하지만 당신 잘못이 아니예요.

- 강세형의《희한한 위로》중에서 -


* 희귀병 환자가 겪는 고통을
보통 사람들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고통 속에 사는 바로 그 희귀병 환자가
그저 '사는 게 힘든' 사람에게 위로를 보내고 있습니다.
살아가는 과정에서 저마다 느끼는 무력감, 자괴감, 상처를
알게 된 것만도 기쁜 일이고, '당신 잘못이 아니다'고
말하는 '희한한 위로'에서 지금의 고통을
견디고 이겨내는 힘을 얻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기와 악취  (0) 2020.09.07
놀라운 기하급수적 변화  (0) 2020.09.03
가볍고 무른 오동나무  (0) 2020.09.01
오래 볼수록 더 반짝이는 별  (0) 2020.08.31
지금 이 순간을 미워하면서도  (0) 2020.08.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