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의욕이 가장 많이 꺾이는 순간은 평범한 일을 부탁받을 때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기업은 평범한 일을 요구한다. 
직원들이 보통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경영자는 
결국 평범한 기업을 이끌 수 밖에 없다. 
경영자는 의식적으로 위대함을 약속해야 한다. 
- 아인 랜드 (Ayn Rand), 작가이자 철학자

조직 구성원들을 건설적으로 자극해 그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자신에 대한 평가를 계속 높여가는데 전력을 다해야 합니다. 
사람과 조직이 위대해지겠다고 결심한다면 
열정과 더불어 우위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모두가 뛰어나고 싶어하고, 탁월함을 기대하는 조직을 만들어 가야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삶의 가장 깊은 변혁은 
요약컨대 아주 단순하다.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에 바로 자동반응하지 
않고 대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일로 화가 나거나 불안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만약, 습관대로 자신을 괴롭히고 타인을 비난하거나 
상처를 주고, 희생자가 된 기분을 느끼는 식으로 
자동반응한다면, 스스로 괴로움을 
더하는 셈이다. 

- 타라 브랙의《끌어안음》중에서 - 


* 변혁은
양날의 칼입니다. 
변혁에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합니다.
가장 경계할 것이 '자동반응'입니다. 화, 분노,
불안, 비난 같은 자기 내면에서 일어나는 감정 상태를 
기계처럼 즉각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면 결과는
또다른 괴로움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진정한 변혁은 바깥이 아니라
자기 내면에서 완성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왜 이런 몸으로 태어났을까?'  (0) 2020.04.20
전환점  (0) 2020.04.18
'좋은 지도자'는...  (0) 2020.04.16
쇠나팔이 울렸다  (0) 2020.04.15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0) 2020.04.14
반응형

2018에 아이패드 프로 구매. 이제 바꿔야 하나?

반응형
반응형

감사는 사람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감사하는 마음을 지닌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행복하고,
더 열정적이며, 정서적으로 똑똑하면서도 덜 외롭고,
덜 우울하며 걱정도 적었다.
감사를 훈련하면 더 많이 행복해하고 더 낙관적으로 생각한다.
- 로버트 에몬스, 심리학자

행복하면 저절로 감사한 마음이 들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훈련을 통해 감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역으로 행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노화를 늦추기도 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침팬지 집단에서 
좋은 지도자는 평화를 유지하는 
지도자입니다. 좋은 지도자는 작은 새끼들의 
싸움도 말립니다. 새끼들의 싸움을 말리지 않으면 
어미들의 싸움이 되기 때문이죠. 어린이집에서도 
이런 일이 심심찮게 일어난다더군요. 그러다 보니 
싸움을 말리는 능력은 대단히 중요한 능력이 되곤 
합니다. 좋은 우두머리는 약자를 보호하고 
그래서 인기가 더 높아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위로도 잘 합니다. 


- 달라이 라마, 마티유 리카르 외《보살핌의 인문학》중에서 - 


* 침팬지 세계에서도
'좋은 지도자'는 싸움을 말리고
평화를 유지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입니다.
싸움을 말린다는 것은 뒤엉킨 것을 풀어놓는 것입니다.
휘두르는 주먹을 펴서 악수하게 만들고, 굳어진 팔뚝을 펴서 
어깨동무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작은 싸움이 큰싸움으로 
번지지 않도록 돕고, 약자 편에 서서 엉킨 것을
풀어내는 침팬지가 좋은 지도자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점  (0) 2020.04.18
'변혁'에 대응하는 법  (0) 2020.04.17
쇠나팔이 울렸다  (0) 2020.04.15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0) 2020.04.14
출근길  (0) 2020.04.13
반응형

쇠나팔이 울렸다. 
나팔 소리는 꼬리를 높이 쳐들고 떨렸다.
일렬종대의 선두와 후미가 좌우로 갈라지면서 
종대는 횡대로 바뀌어갔다. 다만 한줄기, 홑겹의 
횡대였다. 횡대의 뒤는 물이었다. 진도 쪽 
봉우리에서 봉화는 계속 올랐다. 적들은 
아직 시야에 들어오지 않았다.

- 김훈의《칼의 노래》중에서 -


* 이순신.
그가 없었으면 우리 역사가 어찌 되었을까요.
생각만 해도 소름이 돋습니다. 이순신을 가리켜
함석헌 선생은 '하늘이 낸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당시의 '못난 놈들'이 그를 살리지 않고
죽였다고 애통해 했습니다. 쇠나팔이 다시
울렸습니다. 사람을 찾고 새 역사를
열어가라는 쇠나팔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혁'에 대응하는 법  (0) 2020.04.17
'좋은 지도자'는...  (0) 2020.04.16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0) 2020.04.14
출근길  (0) 2020.04.13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주세요  (0) 2020.04.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