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림을 하나 골라서 
마음의 눈으로 사진처럼 찍어 본다. 
그림의 세부 사항까지 가능한 한 모든 
것들을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찍는다. 
그런 다음 눈을 감는다. 이제 눈을 
감은 채 마음의 눈으로 그 그림을 
마치 사진처럼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는지 살펴본다. 

- 조너선 S. 캐플런의《도시에서 명상하기》중에서 -


* 눈을 뜨고도 못 보는 것이 있고
눈을 감고도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하늘나라에 계신 아버님의 얼굴, 빗물 쏟아지는 
처마 밑에서 어머니를 기다리며 훌쩍이던 
일곱 살 어린 시절의 모습, 눈을 감아야 
비로소 생생히 보이는 그림들입니다.
그래서 다시 눈을 감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는 부서지지 않는다  (0) 2019.08.16
매년 티베트에 가는 이유  (0) 2019.08.14
반 컵의 물로 살아나왔다  (0) 2019.08.12
정신과 도덕, 마음의 근력  (0) 2019.08.12
집, 그리고 사랑  (0) 2019.08.09
반응형

Arachni를 이용한 웹 취약점 점검Arachni를 이용한 웹 취약점 점검 - OWASP 10

Web Application Security Scanner Framework http://www.arachni-scanner.com

https://github.com/Arachni/arachni

 

Arachni/arachni

Web Application Security Scanner Framework. Contribute to Arachni/arachn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KISA에서 배포하는 웹 취약점 점검(https://www.boho.or.kr/webprotect/webVulnerability.do)

반응형
반응형

[JSP] JSTL을 이용하여 개행(줄바꿈)문자를 태그로 바꾸기 ( 줄바꿈,개행,공백, replace 처리 ) 

줄바꿈, 공백 처리


<!-- 상단에 선언 -->
<%
pageContext.setAttribute("CR", "\r");
pageContext.setAttribute("LF", "\n");
pageContext.setAttribute("CRLF", "\r\n");
pageContext.setAttribute("SP", "&nbsp;");
pageContext.setAttribute("BR", "<br/>");
%> 

<!-- jstl로 변환처리 -->
<c:set var="cmt" value="${fn:replace(coment.coment,CRLF, BR)}" />
<c:set var="cmt" value="${fn:replace(cmt,CR, BR)}" />
<c:set var="cmt" value="${fn:replace(cmt,CR, BR)}" />
<c:set var="cmt" value="${fn:replace(cmt,' ',SP)}" />
 

<!-- 화면에 출력하기 -->
<c:out value="${cmt}" escapeXml="false"/> 

 

반응형
반응형

Experience the Underwater World Through the Eyes of a Free Diver | Short Film Showcase

#NationalGeographic #FreeDiving #DeepSea

https://youtu.be/L4qM1IEhtNQ

 

반응형
반응형

3.1절 특집 - 발굴 추적, 조선정예부대 타이거헌터

https://youtu.be/84BIF03myY4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당시 외세가 침략하자 ‘호랑이를 잡던’ 산포수들은 가장 강력한 조선의 정예부대가 되어 활약했다. 구한말 의병항쟁에 투신한 산포수들은 일제강점기를 들어서자 독립군이 되어 치열한 무장 항쟁을 펼치게 된다. 1919년 3ㆍ1운동을 전후로 일본의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평화적인 만세시위가 전국적으로 벌어졌다. 하지만 같은 시기, 한반도 북쪽에서는 산포수 독립군이 일제와 무장 항쟁을 펼치고 있었다. 산포수 출신인 홍범도 장군은 함경도 일대에서 일본군과 맞서 치열한 전투 끝에 승전을 기록한다. 이후 산포수가 독립군으로 조직화하면서 봉오동 전투에 이어 청산리 대첩에 이르기까지 항일 무장 항쟁의 역사에 새로운 기록을 남기게 된다. 3.1운동을 기폭제로 평화적인 항일 운동에서 치열한 항일 투쟁으로 변화한 역사 속에 산포수 독립군 ‘타이거헌터’가 존재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본래 성공하도록 만들어졌다.
다른 동물들과 달리 단순히 살아있기만 해서는 만족하지 못한다.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새로운 문명과 문화를 창조하려고 애쓰는 등
더 높은 성공을 좇는 경향이 있고,
그걸 실현하는 힘을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났다.
즉 모든 인간은 성공에 대한 매커니즘을 갖고 태어났다.
- 쓰쓰미 구미코, ‘책임은 어떻게 삶을 성장시키는가’에서 

사람이 다른 동물들과 다른 점은,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를 스스로 찾고,
인생의 목적을 높게 설정하고, 그것이 실현된 미래를 상상하며,
희망찬 미래를 향해 매일 매일 더 나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데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