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가 좋으려고 
수목원을 차린 것이 아니다. 
적어도 2, 3백 년을 내다보고 시작했다. 
나는 어떤 목련 한 그루가 꽃을 피우기까지 
26년을 기다린 적이 있다. 아무리 공을 들여도 
나무의 나이테는 일 년에 한 개만 생긴다. 
수목원도 마찬가지다. 천리포 수목원은 
내가 제2의 조국으로 삼은 한국에 
길이 남을 선물이 되기를 바란다. 
(천리포 수목원 설립자 민병갈)

- 윤재윤의《소소소 진짜 나로 사는 기쁨》중에서 - 


* 민병갈.
한국 이름으로 바꾼 미국인. 
한국을 제2의 조국 삼아 천리포를 만든 사람.
목련 한 그루를 심고 26년을 기다렸다는 말이
큰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지금 옹달샘에는 미래를 
이끌어갈 링컨학교 꿈나무들의 밝은 기운이 
꽃처럼 가득합니다. 26년, 아니 50년,
100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그들을 지켜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를 변함없이 사랑할 거야'  (0) 2019.07.25
100세 노 교수의 건강론  (0) 2019.07.24
압록강 강가에서  (0) 2019.07.22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  (0) 2019.07.20
수면 효율  (0) 2019.07.19
반응형

1월 1일에 찬물로 세수하면서 먹은 첫 마음으로
1년을 산다면(중략)
첫 출근하는 날, 신발 끈을 매면서 먹은 마음으로
직장 일을 한다면(중략)
이 사람은 그 때가 언제이든지
늘 새 마음이기 때문에
바다로 향하는 냇물처럼
날마다 새로우며, 깊어지며, 넓어진다.
- 정채봉, ‘첫 마음’에서 

“타성에 젖으면 고마운 게 없고, 아무것도 새로울 게 없습니다.
작은 티끌이 모여 산이 됩니다.
날마다 새로운 마음으로 작더라도 의미 있는 혁신들을 쌓아간다면
틀림없이 목적지에 도착 할 수 있습니다.“
LG생활건강 차석용 부회장의 CEO 메시지에서 옮겨봅니다. (출처, 그로잉 업)

반응형
반응형

강은 경계가 아닙니다. 
강은 단절이 아닙니다. 
강은 흐르면서 만나라고 하고, 
꽁꽁 얼면 어서 건너가라 합니다. 
강은 이편과 저편을 나누지 않고 하나로 흐릅니다.
나는 또 압록강 강가에서 서성거립니다. 
언젠가 강 건너편에서 사람들과 
함께 놀고 싶습니다. 

- 조천현의《압록강 아이들》중에서 -


* 강은 흐르면서 물길을 엽니다.
사람이 모이고 산물이 쌓이고 삶이 섞입니다.
고대 4대 문명도 모두 강가에서 일어났습니다.
아직은 건널 수 없는 압록강, 그 강 건너편에는
어떤 아이가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
어떤 꿈을 꾸고 살고 있는지
몹시 궁금해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 노 교수의 건강론  (0) 2019.07.24
목련 한 그루 심고 26년을 기다렸다  (0) 2019.07.23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  (0) 2019.07.20
수면 효율  (0) 2019.07.19
'오히려'  (0) 2019.07.18
반응형
제주, 육아, 국립제주박물관

반응형
반응형

*** Tibero 접속 
1.  SSH 접속
>  su – root

2. 유저 root에서 Tibero 로 변경
>  su - tibero

3.디비 호출
> export TB_SID=디비명

4. tbsql 아이디/비밀번호
> tbsql 아이디
  pw...

//----------------------------------

 

반응형
반응형
#제대후문 #백일흑야 #마라우육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