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경영 목표는 대개 효율, 이익, 경쟁우위 등으로 설명된다.
이런 목표가 중요하긴 하지만
인간의 마음을 움직일 만한 힘을 갖고 있지 못하다.
경영 리더들은 영혼을 울릴만한 이상과 명예, 진리, 사랑, 정의,
아름다움 등을 평범한 사업에 주입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 게리 하멜

부를 극대화한다는 목적은 인간의 에너지를 충분히
움직일 정도로 감정을 촉발시키지 못합니다.
직원들은 자신의 제품보다 더 큰 목적을 갖기를 원합니다.
목적은 삶을 사는데 필요한 활성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목적이 훌륭하면 아무런 보상 없이도 적극적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목적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평소 길을 잃어본 경험이 별로 없죠.
길을 잃어버린 순간, 우리는 세상에 대한 지도를 얻게 됩니다.
우리는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세상에 나오는 우리는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기술을 배워서
자기 나름대로 머릿속에 지도를 그리는 일을 해야 합니다.
- 정재승, ‘열두 발자국’에서

우리는 방황을 좋지 않은 것, 피해야 할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방황은 많은 경우 예기치 못한 발견과
새로운 시작을 불러옵니다. 방황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실패하더라도 수많은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지도를 그려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상위 5%와 똑 같은 결과를 얻으려면 95% 사람이 꺼리는 일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하고자 할 때 대다수가 당신에게 미쳤다고 할 것이다.
괴짜라고 불리는 것은 위대함의 대가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 로빈 샤르마, ‘변화의 시작 5AM 클럽’에서

‘위대한 영혼들은 언제나 평범한 사람들의 격렬한 반발에 부딪혀 왔다’
아인슈타인 이야기입니다.
남들과 똑같이 정상적으로 하면서 남과 다른 특별한,
비정상적인 결과를 원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뭔가 남과 다른 결과를 얻으려면 뭐가 달라도 남과 다르게 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좋은 의사결정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의사결정을 한 후 빠르게 실행에 옮기고,
잘못됐다고 판단되면 끊임없이 의사결정을 조정하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이것이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사회적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연구해서 찾아낸 훌륭한 의사결정 방법입니다.
- 정재승, ‘열두 발자국’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의사결정 시기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잘못되었음을 알게 되면, 혹은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거나 상황이 바뀌게 되면,
의사결정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때로는 바꾸고 심지어 번복합니다.
이게 성공한 사람들의 의사결정이란 겁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미래를 위해 의사결정을 바꾸는 리더를
우리는 훨씬 더 존경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낮잠을 자면 조심성이 늘어나고, 정확성이 개선된다.
업무 속도가 빨라지고 실수도 줄어든다. 의사결정이 활발해진다.
휴식을 취해야 크고 작은 결정을 내릴 때 판단력이 개선된다.
낮잠을 자면 창조성이 증진되고, 수익도 높아진다. 건강 또한 좋아진다.
- 사라 C. 메드닉 박사

일은 투입(in put)이 아닌 산출(out put)로 측정되어야 합니다.
20분 정도 낮잠을 자면 30% 가까이 생산성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낮잠은 눈치 볼 일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할 일입니다.
“낮에 잠을 잔다고 일을 덜 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상상력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사람들이나 그런 생각을 한다.”
처칠이 한 말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봉사를 중시하는 사업은 번영하고, 이득을 중시하는 사업은 쇠퇴한다.
이 세상에서 성공의 비결이 있다면 그것은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자기의 입장과 동시에
타인의 입장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 헨리 포드

‘남을 먼저 이롭게 하면 내가 이롭게 된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 정신과 궤를 같이 합니다.
나보다 먼저 타인과 사회를 생각하고 남의 성공을 나의 성공보다
우선하는 사람과 개인에겐 지속적 성장과 성공이 보상으로 따라옵니다.
그것이 세상의 이치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