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행복언어가 말버릇이 되면 행복을 끌어당겨 천국 같은 인생을 살게 된다.
반대로 불행언어가 말버릇인 사람은 불행을 끌어당겨
지옥 같은 인생을 살게 된다.
인생이란 그 사람의 말 그 자체인 것이요,
말에서 당신의 인생이 태어난 것이다.
- 미야모토 마유미, ‘돈을 부르는 말버릇’에서

입 밖으로 내뱉은 말은 반드시 이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내가 하는 말은 내가 가장 크게, 그리고 자주 듣게 됩니다.
긍정의 말을 자주하게 되면 삶이 행복해지고,
불행을 부르는 말을 자주하게 되면 불행이 현실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비난을 받으면 뇌의 가장 원시적인 영역이 과도한 방어 모드로 돌입해
수행 능력을 손상시키고, 의욕을 감퇴시키며, 고차원적 능력 발휘를 제한한다.
우리의 뇌가 주변을 끊임없이 살피며 위협요소를 찾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두뇌 능력이 약화된다.
혹시라도 누군가의 창의성이나 정신적 능력을 약화시키고 싶다면
혹독한 비판을 가하라.
- 팀 어윈, ‘어떻게 최고를 이끌어 낼 것인가’에서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긍정과 지지는 행복감과
고도의 수행능력에 관여하는 특정 신경화학물질을 방출하여,
두뇌에 매우 바람직한 변화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조직 구성원들에게서 최고를 이끌어 내려면
비난과 비판은 최소화하고 긍정과 지지를 최대화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좋은 기회는 손해 보는 곳에 있습니다.
진짜 기쁨은 손해 보는 일에 있습니다.
참된 영광은 손해를 겪은 뒤에 찾아옵니다.
지나보면 손해는 결코 손해가 아닙니다.
- 조정민, ‘고난이 선물이다.’에서

빌 게이츠는 “장기적 비전을 위해 단기적 손해를 감수한다.
이것이 성공의 비결이다.”고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단기적 손해가 장기적 이익으로 돌아옵니다.
작은 손해가 쌓이면 큰 이익이 됩니다.
손해 보는 결정을 즐겨 내릴 수 있는 사람,
버릴 줄 아는 사람이 크게 얻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유명인사 네 명중 세 명이 어린 시절에 가난, 결손가정,
부모의 학대, 알코올 중독, 장애, 질병 같은 불운에 시달렸다.
가정에서 별 문제없이 보살핌을 받고 자란 사람은
58명으로 전체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평범하게 자란 사람은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자격이 없는 듯하다.
- 빅터 고어츨, ‘세계적 인물은 어떻게 키워지는가.
- 20세기 유명인사 400명에 대한 유년기 보고서’에서

미국 제 2대 영부인인 아비게일 애덤스는
“호연지기는 혹독한 시련 속에서 길러진다.
마음을 뒤흔드는 광경 앞에서 정신이 고양되면,
잠들어 있던 자질이 눈을 떠 영웅이나 존경받는 인물이 될 법한
기질을 형성한다.”고 말했습니다.
나를 죽이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고비, 적절한 시련이
우리를 더욱 강하게 만듭니다


...
반응형
반응형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남을 돕는 행위는 타인의 건강과 행복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과 행복도 개선하는 결과를 낳았다.
자원봉사를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행복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사망률이 낮았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활동을 하는 사람은
심박수와 혈압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 멕 제이, ‘슈퍼 노멀’에서

선행은 놀랍게도 받는 쪽보다 베푸는 쪽에 더 큰 혜택을 줍니다.
타인에게 많이 베풀수록 더 행복해집니다.
본인에게 돈을 쓸 때 보다 타인에게 돈을 쓸 때 만족감이 더 큽니다.
남을 돕는 사람은 정신건강 상태가 더 양호했고,
도움을 받는 쪽보다 더 많은 효과를 누린다는 연구결과가 많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가장 성공한 사람은 평생 배우는 사람이다.
그들은 끊임없이 묻고 경이로운 세상을 탐험한다.
나이가 15세이든 115세이든, 지금 시련을 겪고 있든 최고의 전성기에 있든,
당신이 인생의 어느 시기에 있든 상관없이
자신을 위한 교육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 하버드대 탈 벤 샤하르 교수

안코라 임파로! (Ancora imparo!)
천재 예술가 미켈란젤로가 87세에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를
완성하고 나서 스케치북 한쪽에 적은 글로
‘나는 아직도 배우고 있다’라는 뜻입니다.(김병완, 스케일의 법칙에서 인용)
‘이제 모든 성인은 90세까지 평생학습을 해야한다’는
유발 하라리 교수의 주장에 적극 동의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