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가 나의 눈으로만 보면 절대 밝을 것을 볼 수가 없다.(自見者不明)
내가 항상 옳다고 얘기하는 사람은 절대로 성대하게 될 수 없다.(自是者不彰)
내가 잘했다고 떠벌리는 순간 공은 없어진다.(自伐者無功)
내가 잘났어 하는 자는 곧 우두머리에서 잘려버린다.(自矜者不長)
- 도덕경 24장

‘내가 보는 세상이 전부라는 생각을 버리면 비로소 밝음을 보게 될 것이고,
내가 옳다는 아집을 버리면 오히려 남들로부터
박수를 받아 빛나게 될 것이다.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노자 마케팅(이용찬 지음)이라는 책에서 재인용 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일정 기간 경기가 좋으면, 사람들은 항상 경기가 좋을 거라고 믿는다.
경기가 일정기간 동안 좋지 않으면, 계속 나쁠 거라고 믿어버린다.
두 가지 생각 모두 맞지 않다. 경기는 계속 변한다.
- 버나드 바루크

맞습니다. 모든 것은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좋을 때는 계속 좋을 거라 생각해
나쁠 때를 대비 않지 않고, 좋지 않을 때는
계속 움츠러들기만 합니다.
안 좋을 때는 반대로 좋아질 때를 대비하고,
계속 좋을 때는 안 좋을 때를 미리 대비하는 것,
현명한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성공의 이유를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돌리는 것은 이기적이고
오만하며 자아도취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보이게 한다.
반면 성공 비결을 운으로 돌리면,
사람들은 당신에게 성공할 자격이 있다고 계속 믿을 것이고,
당신을 겸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 청웨이 리우 교수

겸손하지 않은 사람은 배우려고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점점 더 경쟁력이 떨어지고 성공에서 멀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바람이 세찹니다. 시기와 질투,
나를 끌어내리려는 힘도 강해집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더 머리를 숙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겸손은 약한 것이 아닌, 강함의 상징입니다.
겸손이 좋을 운을 불러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가장 큰 위기는 재물이 들어올 때다.
대운에서 재물이 들어오는 해에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물이 화근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선 재물을 주변에 많이 풀어야 한다.
결국 재복(財福)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에 베푼다는 것을 뜻한다.
- ‘조용현의 인생독본’에서

‘작은 부자들은 돈을 아껴서 부자가 되지만
큰 부자는 돈을 써서 부자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조상 가운데 적선을 많이 한 사람이 있으면
후손이 덕을 본다고 합니다. 음덕(陰德)을 쌓으면 쌓을수록
돌아오는 것이 커지고, 그 복이 후손에 까지 이어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지옥 만드는 법은 간단합니다.
가까이 있는 사람 미워하면 됩니다.
천국 만드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가까이 있는 사람 사랑하면 됩니다.
모든 것이 다 가까이에서 시작됩니다.
- 조정민, ‘고난이 선물이다.’에서

행복과 불행 모두 사람에게서, 그중에서도
가까이 있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즐거운 설 연휴!
가족 친지들과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상냥함을 뜻하는 부드러울 우(優)라는 글자는
사람인(人) 변에 근심 우(憂)자를 쓴다.
다른 사람의 일을 걱정한다.
요컨대 다른 사람의 슬픔, 괴로움, 외로움을
배려하는 마음이 상냥함이다.
- 이케다 다이사쿠, ‘인생좌표’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또 이 글자는 우수하다고 말할 때 쓰는 뛰어날 우(優)자이기도 하다.
상냥한 사람,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사람이
인간으로 우수한 사람이다. 뛰어난 사람이다. 그것이 참된 우등생이다.
상냥하다는 것은 인간으로서 가장 인간다운 삶이자, 인격이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