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가 무언가가 된다는 것은 어딘가에 다다르거나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 진화하는 방법,
더 나은 자신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과정이다.
그 여정에는 끝이 없다.
- 미쉘 오바마, ‘비커밍’에서

노자 말씀 덧붙입니다.
“남을 이기는 자는 지혜롭고, 나를 이기는 자는 밝다.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세고, 나를 이기는 자는 강하다.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며 힘껏 실천하는 자는 뜻이 있다.
자신의 자리를 잃어버리지 않는 자는 오래가고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 자는 장수한다.”


...
반응형
반응형
군자는 남의 아름다운 것을 이루어 주고 남이 나쁘게 되도록 만들지 않는다.
즉, 군자는 남을 아끼고 사랑하므로
좋은 점을 드러내고 나쁜 점을 감추어준다. 
소인은 반대로 남의 나쁜 점을 드러내고 좋은 점을 감춘다.
- 공자

남이 잘되기를 바라고, 남을 먼저 돕는 사람은 결과적으로
본인이 더 잘되게 되어있습니다. 
내가 잘되기 위해서 남을 활용하는 사람에겐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커집니다.
소탐대실(小貪大失)을 추구 할 것인가?
대탐소실(大貪小失)을 추구할 것인가에 따라 인생의 질이 결정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는 36번의 거절과 36번의 수정을 거친 끝에 37번째 출판사에서
승낙을 얻었고,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출판사들의 거절 앞에서 좌절하고 포기했다면
지금의 자리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다.
거절은 기회다.
내가 무슨 문제가 있는지, 무엇을 고쳐야 하는지,
방법을 찾게 해주는 독특한 기회다.
- 허핑턴 포스트 발행인, 마리아나 허핑턴

기아자동차 4년 연속 판매왕을 차지한 서정규씨는
“나는 판매왕이 아니라 거절왕이었다.
거절이 상처를 주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것은 자신을 바로 보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고
거절이 자신을 키웠음을 고백합니다. 
거절을 당하는 것은 두려움을 동반하기 마련입니다.
거절을 디딤돌 삼아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한국경제 이학용 칼럼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연필은 쓰던 걸 멈추고 몸을 깍아야 할 때도 있다.
당장은 좀 아파도 심을 더 예리하게 쓸 수 있지.
너도 그렇게 고통과 슬픔을 견뎌내는 법을 배워야해.
그래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는 거야.”
- 파울로 코엘료, ‘흐르는 강물처럼‘에서

‘발전하고 싶다면 문제가 있는 곳과
고통이 있는 곳으로 가라’는 말이 있습니다.
고통과 도전이 클수록 그만큼 도움이 됩니다.
고통에 자기성찰이 더해지면 발전이 따라옵니다.
고통과 슬픔이 더 나은 사람을 만들어줍니다.


...
반응형
반응형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쉬울 거라고 기대한다면
당신이 세운 목표는 썩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 에릭 라르센, ‘최고가 되라’에서

목표가 커야 비로소 잠재된 힘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큰 목표가 활력을 가져옵니다. 
목표가 크고 비현실적일수록 처음엔 힘이 들지만,
결과적으로 더 큰 성취와 성장을 가져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헌혈 같은
이타적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크다.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들일수록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지닐 가능성이 더 크다.
짐작과는 반대로 죽음을 상기하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더 건강하게 오래 산다.
- 하이더 와라이치, ‘죽는 게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이겠지만’에서

대문호 톨스토이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 함께 보내드립니다.
“죽음을 망각한 생활과 죽음이 시시각각으로 다가옴을 의식한 생활은
두 개가 서로 완전히 다른 상태이다.
전자는 동물의 상태에 가깝고, 후자는 신의 상태에 가깝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