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훌륭한 인물은 덕을 쌓되 명예를 양보하며
이익은 나눠준다.
또한 잘난 척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마음은 늘 행복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윗자리에 설수 있는 사람은 한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사람이다.
- 나카지마 다카시, ‘리더의 그릇’에서

 

명성이란 두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교만하면 화를 부르고, 겸손하면 복이 따릅니다.
명예와 이익을 멀리하고 늘 겸손하고
먼저 나눠줄 수 있는 것, 이는 인격 수양의 문제를 넘어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래에는 한 기업의 사회적 목적이
소비자의 마음 속에서 다른 경쟁기업과
구별되는 유일한 기준이 될 것이다.
사회적 목적보다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은
인재를 영입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기대를 무시한 대가로
존립 자체가 어려워질 것이다.
- 제임스 캔턴, ‘퓨처 스마트’에서

오늘날 소비자의 90% 이상이 수익보다 사회적 목적과
사람을 중시하는 기업의 가치를 지지합니다.
수익과 사회적 목적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빈곤, 불평등, 질병과 같은 세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기업은 소비자, 미디어, 직원들에 의해
좌절을 맛보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장 많은 동기를 부여하고 생산성을 높이려면
목표를 크게 세우는 것이 최선의 결과를 낳는다.
큰 목표는 작은 목표나 중간 크기의 목표에 비해
상당히 더 높은 성과를 냈다.
목표가 크면 주의를 더 집중하게 되고,
더 끈기있게 매달리게 된다.
실패하더라도 기꺼이 일어나 다시 도전하게 된다.
- 심리학자 개리 레이섬(토론토 대학 교수)

 

목표설정 만으로도 성과와 생산성이
11-25% 높아진다고 합니다.
큰 목표가 더 큰 결과를 낳습니다.
큰 목표를 작은 목표로 쪼개면 자신감이 배가되어
더 크게 동기부여 된다는 연구결과도 주목할 만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모자라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만
실은 넘치는 것이야말로 재앙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사실을 깨달은 사람이
지혜로운 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여곤 (‘리더의 그릇’에서)


 

최고의 전성기는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언젠가는 내리막길이 시작됩니다.
꽉 찬 것은 곧 쇠퇴의 길목에 서있음을 의미합니다.
넘침은 즐김의 대상이 아닌, 경계의 대상인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주 속에서 인간의 삶은 아주 짧은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
이 짧은 시간을 외롭고 불행하게 타인과 갈등을 겪으며
지내는 것보다 더 어리석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분명 우리의 짧은 시간을 의미있는 삶을 추구하며 보내는 것,
타인에 대한 봉사와 연결감으로 풍요로워진
삶을 사는 것이 훨씬 낫다. - 달라이 라마


진화론의 아버지 찰스 다윈은
‘모든 생명체에 대한 사랑이
인간의 가장 고귀한 특징이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들 각자는 이 행성의 방문자이며,
한정된 시간 동안만 머무는 손님입니다.
다른 방문자와 서로 도우며
의미있는 일에 헌신하며 살기에도 시간이 절대 부족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윤보다는 고객에게 필요한 클럽인지
충분히 설명한 뒤 판매한다.
브랜드는 생각하지 말고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중고 클럽으로 하다 어느 정도 알게 되면
그때 가서 새 클럽을 구입하라고 권한 게
많은 단골을 확보한 비결이다.
- 한국 최초 골프샵 서울 골프상회 문명선 사장


 

나 보다는 고객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자리이타(自利利他) 정신이
단골고객 확보의 비결이 됩니다.
조지 윌리암 머크 이야기 다시 보내드립니다.
“의약품이란 환자를 위한 것이지
결코 이윤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윤이란 부수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 사실을 망각하지 않는 한
이윤은 저절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것이 머크의 경영이념이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