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평소에 자주 하는 말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해.
‘아 짜증 나. 난 맨날 이 모양이야’. 이런 말을 자주하면
그 말이 청각기관을 거쳐 뇌에 입력돼버려.
그렇게 되면 독한 스트레스 호르몬이 죽죽 분비되어,
결국 완전 짜증나는 상태로 만들어버리는 거야.
‘말하는 대로 이루어진다’란 말은
그래서 몹시 과학적이라구.”
- 우종민 교수, ‘티모스 실종사건’에서

 

 

 


말에는 ‘뼈에 새길 만큼 강하게 박힌다’는
각인(刻印)효과가 있습니다. 늘 하는 말이
뇌에 강하게 박혀 실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짜증 섞인 말 대신, ‘사랑해’, ‘고마워’, ‘즐거워’ 같은 좋은 말을
습관적으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행복한 삶을 원한다면...
반응형
반응형
큰 성공을 원한다면 반드시
‘바보의 영역’을 설계해 넣어야 한다.
바보 영역이란
자주 실패하고 무모한 일을 벌이는 바보들을 양성하거나,
투입되는 자원이나 시간의 일부를
실패가 차지하도록 미리 계획해 두는 것을 말한다.
- 이장우 교수, ‘창발경영’에서

 

 

경영환경이 어렵다고 연구개발이나 교육, 무형자산 투자비용을
줄이는 안타까운 경우를 자주 목도하게 됩니다.
그러나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성장의
균형을 잡는 것이 참 경영입니다.
우리 기업들이 실패가 확실해 보이지만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실패예고 투자예산’을
일정부분 배정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스스로 설정한 기준, 즉 자신이 성취하고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바에 따라 성장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자신이 되고자 하는 기준을 낮게 잡으면,
그는 그 이상 성장하지 못한다.
만약 자신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높게 잡으면,
그는 위대한 존재로 성장할 것이다.
- 피터 드러커


우리는 현재의 삶, 즉
 안전지대에 머무르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전지대를 탈출하는 데는 강력한 힘이 필요합니다.
강렬한 목표와 꿈이 바로 그것입니다.
빅토르 위고는 말했습니다.
“미래를 창조하는데 꿈만한 것은 없다.
오늘 꿈꾸는 이상향이 내일의 피와 살이 된다.”

 

 

 

 

.

반응형
반응형

 

‘노(NO)’라고 할 줄 모르는
 커뮤니케이션 결여가 1등 회사의 약점이다.
‘이견(異見)의 부재’(the absence of dissent),
특히 최고 경영진 앞에서
 다른 의견이 개진되지 못하는 것이 1등 기업의 문제다.
대다수 의견을 따르는 것이 꼭 현명한 결과를 낳는 것이 아니다.
- 하버드 경영대학원 마이클 로베르토 교수

 


다수와 다른 의견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문화,
지위 고하를 불문하고 격렬하게 토론할 수 있는 문화가
 경쟁력 있는 조직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위계형 조직 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 기업들이
 가장 먼저 혁신해야 할 분야이기도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방만하지는 않았는지’, ’남을 불쾌하게 하지는 않았는지’,
’비겁한 행동은 없었는지’, ’이기적인 언동은 없었는지’,
하루하루를 뒤돌아보고 인간으로서 바른 일을 했는지 자문해본다.
이러한 매일의 반성이
 나쁜 마음은 억누르고 좋은 마음은 키워준다.
- 교세라 6대 정진(精進) 중 ‘반성하는 하루하루를 보낸다.’편 

 

 
사람됨을 키워주는 것만으로도 회사가 발전할 수 있습니다.
교세라 6대 정진 중
‘선행, 이타행을 쌓는다’편도 함께 보내드립니다.
“이 세상에는 인과응보의 법칙이 있다.
좋은 일을 생각하고 좋은 일을 한다.
좋은 일이란 상냥함, 정직함, 성실함, 겸허함등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가치관이다.
매일 이를 쌓아가다 보면 운명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

 

반응형
반응형

 

못 하나가 없어서 말편자가 망가졌다네.
말편자가 없어서 말이 다쳤다네.
말이 다쳐서 기사가 부상당했다네.
기사가 부상당해 전투에서 졌다네.
전투에서 져서 나라가 망했다네.
- 15세기 영국 민요 

 
록펠러는 1%의 실수가 100%의 실패를 가져온다고 했습니다.
100 빼기 1은 99가 아니라,
0이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노자도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비롯된다 했습니다.
작은 일부터 꼼꼼하게 잘 하는 개인과 기업이 큰 일도 잘하게 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