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조직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은 채용, 해고, 승진 등 사람에 관한 것이다.
인사결정은 관심을 가장 덜 받는 부분이긴 하지만,
원 상태로 돌리기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다.
좋은 인재를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 사람에 대한 능력은
매우 적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기에
지속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경쟁우위 근원 중 하나이다.
- 피터 드러커


가장 중요한 일, 쉬운 것 같아도 정말 어려운 일,
잘 하려고 해도 실패 확률이 높은 일, 잘되면 정말 좋은 일,
잘 안되면 조직의 실패와 직결되는 일,
그것이 바로 핵심 인재 확보를 포함한 인사에 관한 결정입니다.
실패기업과 성공기업을 가르는 한 가지만을 고르라면
저는 최고 인재를 확보해서 최대한 활용하고, 키워나가는 일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거대하고 무모하고 숨이 멎는 위험을 감수하라. 위험은 클수록 좋다.
압박은 연료로 생각하라. 압박은 계속 배고프게 만들고,
배고픔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압박이 없으면 모두가 패자로 머문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결코 대성공을 거둘 수 없다.
안전망을 버리고 차갑고 딱딱한 바닥에 부딪히는 공포에 직면해야 한다.
- 제임스 와트, ‘창업의 시대 브루독 이야기’에서


진 케이스 내쇼널 지오그래픽 의장은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두려워하지 않을 때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고, 두려움과 조심스러운 태도가
의사결정의 주요 요인이 될 때 가장 성과가 낮았다”고 말했습니다.
사회 평론가 스터트 터겔이 90세가 넘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후회하는지 묻자,
가장 많이 나온 대답 중 하나가 “위험을 충분히 감수하지 않고 안전하게 행동하느라
멋진 경험을 하지 못한 것”이라 답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대의 진솔함에 끌리는 것은 당연하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완벽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진정성 있고 자신을 드러내는 모습에 끌린다.
오래 지속되고 의미 있는 인간관계의 열쇠는 우리가 있는 그대로의
연약한 모습을 솔직하게 내보일 수 있는 사람들을 찾는 것이다.
기꺼이 연약한 모습을 드러내라.
- 더글러스 홀러데이, ‘여덟가지 인생 질문’에서


우리는 겸손하고 차분하게 자신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사람에게 끌리게 됩니다.
어렵고 힘들어하는 점을 타인과 솔직하게 공유하는 것이 진정성으로 다가오고
이로 인해 타인은 그 사람을 더 존경하게 됩니다.
취약성의 힘입니다. 연약함을 드러낼 수 있는 사람이 진정 강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업 業

http://naver.me/5SW9TZ2C

범어 karman의 번역. 갈마(羯磨)라 음역(音譯)한다. 조작(造作)의 뜻. 행위(行爲)ㆍ소작(所作)ㆍ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활동. 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생활을 의미한다.   ①일반으

m.terms.naver.com

범어 karman의 번역. 갈마(羯磨)라 음역(音譯)한다. 조작(造作)의 뜻. 행위(行爲)ㆍ소작(所作)ㆍ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활동. 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생활을 의미한다.

 

①일반으로 업(業)을 신(身)ㆍ어(語)ㆍ의(意)의 삼업(三業)으로 나눈다. 유부(有部)의 해석에 따르면, 이러 이러한 것을 하려고 하는 뜻이 의업(意業)이고, 그 의지를 신체적 행동과 언어적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 신업(身業)과 어업(語業, 구업(口業)이라고도 한다)이라고 한다. 또 업(業)을 의지(意志)의 활동인 사업(思業)과 사업(思業)이 끝나고서 행하는 사이업(思已業)의 이업(二業)으로 나누는데 이 경우, 사업(思業)은 의업(意業)이고, 사이업(思已業)은 신(身)ㆍ어(語)ㆍ이업(二業)이다. 삼업(三業)으로서의 작용의 본체(本體, 업체(業體)ㆍ업성(業性))에 대해서, 유부(有部) 등에서는 의업(意業)은 사(思, 의지(意志))라고 한다. 불교 본래의 입장은 후자라고 생각된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사람이 너에게
‘너는 골프 천재다. 10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사람이다’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을 때 바로 연습장으로 달려가라.
달려가서 이전 보다 더 훈련에 열중하라!
-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 타이거 우즈에게


제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나 기업도
잠시 연습을 게을리 하게 되면 바로 뒤쳐집니다.
한편, ‘위대한 변화’의 저자 제임스 마틴(James Martin)에 의하면
‘매주 1%씩 개선한다면
5년 안에 14배라는 경이로운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끊임없이 조금씩 조금씩 개선시켜 나가는 자세가 어느 때 보다 필요한 때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MBTI - 사교적인 외교관 ESFJ-A

 

www.16personalities.com/ko/%EC%84%B1%EA%B2%A9%EC%9C%A0%ED%98%95-esfj

 

성격유형 : “사교적인 외교관” (ESFJ) | 16Personalities

 

www.16personalities.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