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제약이 창의성을 가두는 게 아니라,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창의성이 발휘된다.

모든 위대한 작품이나 창의적인 솔루션은 시간적인 제약,

물리적인 제약, 자원의 제약들이 엄청 많았던 것들이었다.

뭐가 됐든 어렵고 제약된 환경에서 창의성이 태어나곤 한다.

- 김봉진 대표, ‘배민다움’에서

 

삶이 편안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을 때,

창조성은 잠자고 있게 됩니다.

자원이 없을 때 수완이 생깁니다.

잠자는 창조성을 깨우는 것은

순풍이 아닌, 역경입니다.

인간은 가장 큰 제약 속에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깁니다.



.

반응형
반응형

준비를 실패하면, 실패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Failing to prepare is preparing to fail).

그러므로 ‘준비를 실패하는 자는 실패를 준비하는 자’,

즉 ‘준비 실패자는 실패 준비자’인 것이지요.

- 이미도, ‘독보적 영어책’에서

 

준비를 강조한 링컨의 이야기를 함께 보내드립니다.


‘나에게 여섯 시간을 주시오.

나무 한그루를 찍어 넘기겠습니다.

그걸 위해 처음 네 시간은 도끼의 날을 가는데 쓰겠습니다.

(Give me six hours to chop down a tree and

I will spend the first four sharpening the axe.)


.

반응형
반응형

당신이 말할 때는 아는 것만 반복한다.

하지만 들으면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된다.

(When you talk, you are only repeating what you already know.

But if you listen, you may learn something new.)

- 달라이 라마

 

리더는 들을 줄 알아야 합니다.

말도 잘해야 합니다.

특히 사명, 비전, 핵심가치는 제대로 알아듣고

완전히 하나가 될 때까지 지겨울 정도로 말해야 합니다.

그러나 말하기 전에 묻고, 말하기 전에 듣고,

말하기 전에 참여시켜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여러분이 지도자로서 가장 들을 필요가 있는 것이

바로 나쁜 소식이다.

좋은 소식은 내일도 좋은 것이지만

나쁜 소식은 내일이면 더 나빠질 것이다.

바로 이것이 비록 사실이 가슴 아프더라도

언제나 까다로운 질문을 하고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안전한 이유다.

-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에서


대부분의 리더들은 낙관적인 경향이 있어

장밋빛 미래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좋은 소식은 부각되지만, 나쁜 소식은

바위가 물속에 가라앉듯 수면위로 떠오르지 않게 됩니다.

나쁜 소식이 자유롭게 소통되어야

조직이 위험에 빠지지 않게 됩니다.

나쁜 소식을 즐겨, 먼저 들을 줄 아는 리더가 되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지도자의 첫 번째 규칙을 모르는가?

모든 것이 너의 책임이다.”

- 디즈니 만화영화, ‘벅스 라이프’ 대사 중에서


책임이 나에게 있다고 생각하면

환경 탓, 남 탓을 하지 않게 됩니다.

불평불만도 사라집니다.

스스로 문제 해결에 나서게 됩니다.

주도적이 되고, 결과적으로 탁월한 성과도 뒤따라옵니다.

매사에 책임을 지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자연스레 리더의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성공한 사람들은 모든 상황을 기회로 본다.

심지어 문제점과 불평불만 조차도 기회로 본다.

문제가 크면 클수록 기회 또한 커진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문제들이란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과 같은 것이다.

- 그랜트 가돈, ‘10배의 법칙’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곤란한 상황에서 손을 놓게 됩니다.

따라서 어려움이 클수록 성공의 열매도 커집니다.

문제를 기회로 보는 소수의 사람들이

성공의 과실을 독점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