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이다.

다만 꿈은 행동으로 이어질 때 빛을 발한다.

꿈만 꾸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몽상가에 불과하다.

꿈을 실현하기 위해 겪는 고통은 착한 고통이다.

착한 고통을 회피하면 지독한 나쁜 고통에서 헤어날 수 없다.

- 김봉국 저, ‘역사 속 승자와 패자를 가른 결정적 한마디’에서

 

현실이 너무 힘들어 꿈도 꾸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어려울수록 더 큰 꿈이 필요합니다.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카뮈는

‘삶에 대한 절망 없이는 삶에 대한 희망도 없다’고 말합니다.

꿈꾸는 것에서부터 절망 탈출이 시작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경영자는 직원의 실수를 기회로 받아들여야 한다.

누군가 실수 없이 하루를 보냈다면 그는

하루 종일 한걸음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것을 뜻한다.

경영자가 직원들에게 틀렸다고 말할 때,

직원들이 방어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그 조언을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면

기업은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다.

- 리위춘 (알레고 회장)

 

실수를 못하게 하는 것은 도전하지 말라는 것과 같은 뜻입니다.

이는 무사안일, 관료제, 대기업병을 가져오는

독소가 될 수 있습니다.

빨리 작게 실패하고, 그 실패에서 배워서 또 도전하는

기업들과 사람들이 미래를 차지하게 됩니다.

실수는 회피가 아닌, 장려해야 할 대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부자 아빠는 내가 ‘무엇을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았다.

그는 종종 이런 말을 했다.

“‘할 수 없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을 위하여 일하게 된다.”

- 로버트 기요사키, ‘세컨드 찬스’에서


‘못한다’, ‘안된다’라는 말을 하는 순간

우리는 안되는 이유를 찾게 됩니다.

‘할 수 있다’고 말하고 나면 이를 증명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찾게 됩니다.

말은 곧 그대로 결과가 됩니다.

말 한 대로 이뤄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국내도서
저자 :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 송경진역
출판 : 새로운현재(메가북스) 2016.04.20
상세보기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저올 거대한 변화의 물결


목 차

...............................




기술 중독 사회 Geek Heresy,첨단기술은 인류를 구원할 것인가
기술 중독 사회
국내도서
저자 : 켄타로 토야마(Kentaro Toyama) / 전성민역
출판 : 유아이북스 2016.05.20
상세보기



목차



.


반응형
반응형

인간에게 완벽을 바라는 것은 인간이기를 포기하라는 것과 같다.

실수란 불가피한 것이다.

그러니 솔직하게 인정한 뒤 발을 뻗고 편히 자는 편이 낫다.

때로 실수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불완전한 존재여서

좋은 점이 또 있다.

남들이 나의 불완전함을 알면 기뻐한다는 사실이다.

- 노먼 커즌즈

 

실수에 대한 변명이나 핑계는 상대를 더욱 화나게 만듭니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도

‘잘못을 지적 받으면 덕을 수양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사과는 내 잘못으로 인해 함께 닫힌 마음을 열수 있는 열쇠입니다.

‘미안하다’는 말보다는 ‘잘못했다’라는 말이 더 설득력이 있습니다.

(김봉국 저, ‘역사 속 승자와 패자를 가른 결정적 한마디’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경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왔다.

말 그대로 옮기면 함께 노력한다는 뜻이다.

어원에는 다른 사람을 패배시켜야 한다는 뜻이 전혀 없다.

그래서 협력이 곧 경쟁이다.

- 서핑선수 출신의 스포츠 심리학자 마이크 제바이스 (Mike Gervais)

 

다른 사람을 이기는 것이 경쟁이 아닙니다.

경쟁은 탁월성을 의미하고, 어제보다 나음을 의미합니다.

타인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내일 자신의 오늘 기량을 넘어서는 것이 경쟁입니다.

결국 경쟁하라는 말은 협력을 통해 최선을 추구하라는 말입니다.

(엔젤라 더크워스 저, ‘그릿’에서 인용)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