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큰 인간은 외부의 것들과 경쟁하지 않습니다.

오직 자기 자신과 경쟁할 뿐입니다.

다른 사람보다 더 나아지겠다는 생각은 버리십시오.

다른 사람보다 내가 더 부족한지 더 나은지를 따지지 마십시오.

오직 자기 자신과만 경쟁하십시오.

어제의 나보다 오늘의 내가 더 나은지만 자세히 살피십시오.

- 최진석 교수, ‘탁월한 사유의 시선’에서

 

외부시선을 의식하는 사람은 약자입니다.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하지도 말고,

다른 사람과 경쟁에서 이기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오직 자기를 이기려는 경주에 집중하십시오.

노자도 ‘자신을 이겨야 진짜 강자(自勝自强)’라고 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경영자가 ‘나는 경영에 따르는 위험을 완벽히 알고 있다’고 말하는 건

실패로 가는 지름길이다.

그보다 ‘우리가 성공으로 가는 길에 있을지도 모를 불확실성이

나와 직원들이 함께 나아가는 이유’라고 말하는 사람을 선호한다.

경영자가 ‘만능’이 아니라고 인정할 때 회사 역량이 100% 발휘된다.

- 전략 컨설팅회사 캡제미니사, 토드 로박 회장

 

리더가 너무 똑똑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모든 걸 안다고 생각하면 독불장군이 되기 쉽습니다.

내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야 비로소 사람 중요한 줄 알게 되고,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고 그들과 함께 하려고 하게 됩니다.

함께 할 줄 알아야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어릴 적 아버지는 ‘네가 천재는 아니잖니’라는 말을 자주 하셨다.

천재란 노력하지 않고도 위대한 업적을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한다면 나도 아버지도 천재가 아니다.

하지만 천재를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부단히 탁월성을 추구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면 아버지도 천재고 나도 천재다.

그리고 여러분도 부단히 노력할 마음만 있다면 천재다.

- 앤절라 더크워스, ‘그릿’에서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지 않을 때

재능은 그저 발휘되지 않는 잠재력일 뿐입니다.

남들과 다른 비상한 재주를 가진 사람이 아닌

지속적인 열정과 끈기, 즉 목표를 향해 달리고

어떤 어려움과 역경에도 포기하지 않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바로 천재라 불려야 할 사람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초특급 성공을 거둔 수 백명의 특징을 연구해본 결과,

그들을 인터뷰할 때 마다 반복해서 나왔던 한 가지는

‘나는 내 일을 사랑한다’는 이야기였어요.

그 사람들은 해야만 하는 일이라서 또는

수입이 좋아서 하는 게 아니었습니다.

- 헤스터 레이시

 

일이 흥미로울 때 성과도 높아지게 됩니다.

가장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직업으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와 반대로

하던 일을 정말 열심히 하다보니 실력도 올라가고

재미도 붙여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자기 일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도서구매] 김훈( 공터에서, 라면을 끓이며), 텐서플로 첫걸음,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공터에서
국내도서
저자 : 김훈
출판 : 해냄출판사 2017.02.01
상세보기

라면을 끓이며
국내도서
저자 : 김훈
출판 : 문학동네 2015.09.30
상세보기

텐서플로 첫걸음
국내도서
저자 : 조르디 토레스 / 박해선역
출판 : 한빛미디어 2016.08.29
상세보기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국내도서
저자 : / 이규원역
출판 : 안그라픽스 2009.11.20
상세보기

.




반응형
반응형

우리 뇌의 전두엽 외측의 창의와 기획센터를 활성화하려면

우선 목표가 구체적으로 있어야 한다.

5000억 개의 뇌세포는

‘목표’라는 명령이 없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이번 달, 올해, 10년 후등 단기, 장기로

목표를 세우고 실행해야 한다.

목표가 없으면 뇌는 죽은 거나 마찬가지다.

-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쓰면 쓸수록 근육이 발달하듯이

우리 뇌도 쓰면 쓸수록 발달합니다.

전두엽, 창의력을 관장하는 뇌도 마찬가지입니다.

장단기 목표를 분명히 세워야 뇌가 비로소 움직입니다. 

목표를 세우는 것을 습관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