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완료됐다(finished)라는 말은
결코 입에 담아서는 안될 욕설과도 같다.
우리 모두는 지속적으로 변화해야만 하는 과정에 놓여있다.
자신의 진로를 영구적 베타 단계에 머물게 한다는 건
아직도 자신에게 버그가 존재하고,
자신을 더욱 개선해야 하며, 향후에도 적응하면서
변화해 가야한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다.
- 리드 호프만 링크드인 회장, ‘어떻게 나를 최고로 만드는가’에서

 
성장을 멈추면 곧 퇴보하게 됩니다.
전진하지 않으면 퇴보하는 것입니다.
완료상태가 아닌 영구적 미완성 단계, 즉 영구적 베타 단계에
자신을 놓고 매일 매일 더 배우고, 더 일하고,
더 성장해가면서 더 나아지도록 하는 것,
그것이 인생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큰 꿈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꿈이 크다고 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작고 사소해 보이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어떤 분야에서든 멋진 결과를 거두려면
사소한 노력을 지루할 정도로 반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위대한 일은 그냥 이루어지지 않는다.
-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

 

 

큰 꿈을 갖는다는 것은 사소한 노력을
지루하게 반복하겠다는 다짐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위대한 일은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높은 목표를 세우되,
발 밑의 현실을 보면서 한걸음 한 걸음 지루하게 걸어갈 때
어느 새 꿈은 현실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편안함이 위험한 감정이라고 믿고 있다.
불편한 데 익숙해져야 한다.
불편함은 꿈을 이루며 살아가기 위해
치러야할 작은 비용이다.
- 피터 맥윌리엄스


익숙해져 편안하다는 것은 위험해졌다는 신호입니다.
꿈을 갖는다는 것은 그에 비례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삶을 위해서는
익숙함을 두려워하고, 편안해짐을 늘 경계하는 대신
항상 불편함을 추구할 줄 알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비우지 않으면 그릇에 새 밥을 담을 수 없습니다.
비우지 않으면 독에 새 장을 담글 수 없습니다.
비우지 않으면 내 마음에 꿈과 행복도 담을 수 없습니다.
비우면 비운만큼 부자가 됩니다.
- 승한 스님, ‘좋아 좋아’에서



비움이 없는 새로운 시작은 없습니다.
주역 역시 비움의 미학을 가르칩니다.
‘찰흙을 잘 반죽해서 그릇으로 만드는데
그 비어 있음으로 해서 그릇으로의 쓰임이 생긴다.
문과 창문을 뚫어서 방으로 만드는데
그 없음으로 해서 방으로서의 쓰임새가 생긴다.’

 

반응형
반응형
교육의 목표는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생각하지만
공동체를 위해서 일하는 것을 인생에서 가장
고귀한 업적으로 여기는 개인을 길러내는 것’이다.
전문 지식만 갖춘 사람은 조화롭게 발달한 인간이라기보다는
잘 훈련된 개와 비슷한 상태가 된다.
- 아인슈타인

이어집니다. “개인을 가르친다는 것은
그의 타고난 재주를 북돋는 것 외에도
그가 현 사회에서의 권력과 성공을 찬미하는 대신
다른 인간들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도록 만들려는 시도여야 한다.
우리는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늘 공정하게 대하고
남들을 기꺼이 돕는 것으로만 사회의 영속과
개개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

반응형
반응형
매일 아침 눈뜨며 생각하자.
오늘 아침 일어날 수 있으니 이 얼마나 행운인가.
나는 살아있고, 소중한 인생을 가졌으니
결코 낭비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스스로를 발전시키고,
내 힘이 닿는데 까지 타인을 이롭게 할 것이다.
- 달라이 라마

 

불행하게 살기에도, 평범하게 살기에도 시간이 부족합니다.
다시 오지 않을 오늘, 딱 한번뿐인 소중한 내 인생
멋지게 살아가야 합니다.
“인생은 너무 짧아서 다투고, 언짢아하고,
책임추궁하고 그럴 시간이 없다.
오로지 사랑할 시간, 순간들 밖에 없더라.”
마크 트웨인의 글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