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오리지널스
국내도서
저자 : 애덤 그랜트(Adam M. Grant) / 홍지수역
출판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2016.02.02
상세보기


[목           차]


서문


1장 창조적 파괴: 순리를 거스르는 위험한 일
현상(現狀)에 의문을 품기
성공의 두 얼굴
적합한 자질
위험은 주식포트폴리오처럼 관리하라


2장 눈먼 열정에서 벗어나기: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알아보는 비결
창의성이라는 외줄 타기
왕자를 찾을 때까지 개구리에게 입맞춤하기
현상의 포로와 편협한 선호도
경험은 양날의 칼
직관의 폐해 : 스티브 잡스의 오판
열정이라는 함정
아이디어 선별에 필요한 시력 교정 렌즈


3장 위험을 무릅쓰다: 진언(進言)하기
권력은 지위로부터 나온다
단점을 내세우기: 사릭 효과
낯설면 거부감을 느낀다
몸이 떠나기에 앞서 마음이 떠난다면
여성으로서 이중 소수자로서 목소리 내기
가지 않은 길


4장 서두르면 바보: 시기포착, 전략적인 지연, 그리고 선발주자의 불리함
또 다른 다빈치코드
미루기의 효과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개척자와 정착자
창의성의 생애주기: 참신한 천재와 노련한 거장


5장 최적의 균형점과 트로이의 목마: 연대를 결성하고 유지하기
사소한 차이를 버리지 못하는 아집
온건한 과격파와 트로이 목마
친적(親敵)보다 적(敵)이 낫다
익숙할수록 호감이 간다
서부개척사
갈등을 넘어 연대와 협력의 길로


6장 이유 있는 반항: 형제자매, 부모, 정신적 스승이 독창성을 길러준다
타고난 반항아
적소(適所) 찾기: 형제간 경쟁하지 않고 겨루기
처음에는 엄격
했지만 점점 지쳐가는 부모
설명의 위력
명사에 대한 호감: 명사가 동사보다나은 이유
부모는 최적의 롤모델이 아닌 이유


7장 집단사고를 재고하라: 강력문화, 컬트, 악마의 변호인이라는 낭설
청사진에서 탈피하기
성장통: 헌신형 조직문화가 품은 양날의 칼
색다른 생각을 장려하는 문화
나와 친분이 있는 악마
탄광 속 카나리아를 발견하기
원칙들이 서로 충돌할 때
진실의 순간
세상을 바꿀 힘이 있는 인물들


8장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기: 불안감, 무관심, 엇갈리는 감정, 분노 다스리기
부정적인 사고가 발휘하는 긍정적인 힘
믿음을 버리지 마라
외부의 힘을 빌려 고무시키다
소수의 힘
절체절명의 위기
중단 없는 전진
불난 집에 부채질하기

효과적인 행동 지침


감사의 말
참고문헌



.


반응형
반응형
이 세상에서 극락을 경험하려면
길이 좁은 곳에선 한 걸음 멈추어
남을 먼저 가게하고,
좋은 일에는 제 몫을 줄여
남을 잘되게 하라.
- 채근담

 
장강그룹 리자청 회장은
“네가 100원을 받을 일을 했다 하더라도
95원만 받아라. 그러면
더 많은 돈이 네게 몰려올 것이다.”고
아들에게 말하곤 했습니다.
이용태 삼보컴퓨터 창업회장도
“일을 할 때는 남보다 5퍼센트 더하고,
성과를 나눌 때는 남보다 5퍼센트 덜 가져라”고 가르쳤습니다.
어진 사람에 대적해 이길 수 있는 사람이 없습니다.(仁者無敵 인자무적)

 

반응형
반응형
아침을 맞이하면 저녁을 기다리지 말고,
저녁을 맞이하면 아침을 기다리지 말 것이며,
이미 이 세상에 와 있는 자신을 위해
영원히 사는 것처럼 열심히 일하고,
질병에 대비해 건강을 관리하며,
내일 이 세상을 떠난다고 생각해
내세를 위해 오늘 준비를 해야 한다.
- 하디스 40선 중에서


 

현세를 위해 영원히 사는 것처럼 일하고,
내일 죽음이 찾아올 수도 있다고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면,
누구나 결코 후회 없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늘 과거의 자신을 극복하기 위해 애쓴다.
달리기에서 이겨야할 상대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과거의 나 자신이다.
다른 사람을 이기든 지든 신경 쓰지 않는다.
그 보다는 나 자신이 설정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 없는가에 관심을 둔다.
작품이 내가 설정한 기준에 도달했는가 못했는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무라카미 하루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서



경쟁은 발전을 부릅니다.
그러나 남과의 경쟁은 반드시 패자를 만들고
협력을 통한 상생을 저해합니다.
반면, 어제의 나와의 경쟁은 ‘끝없는 자기 발전’,
‘마음의 평화’, ‘변화와 혁신’, ‘자만과 교만 경계’등 이점이 있습니다.
어제의 나와의 경쟁은 내가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꽃피우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불안감을 지우려고 아무리 노력해도 지워지지 않는다.
억지로 불안감을 지우려하기 보다는
‘그게 현실이야. 그게 자연스러운 거야’ 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불안할수록 나름대로 앞날을 내다보려는 노력을 해서
어떤 변화가 감지될 때 재빨리 대응할 수 있게끔 준비를 하기 때문이다.
바로 불안감이 갖는 효능이다. - 모리카와 아키라, ‘심플을 생각한다’에서


 

막연하게 안심감을 추구하는 것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취업’, ‘출세’, ‘조직 순응’은
당장의 안전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그런 삶만큼 위험한 것은 없습니다.
막연한 안심감에 매달려 있다면
언젠가 생태계에서 퇴출되는 것이 자연의 섭리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진정한 행복은 항상 눈물과 환희, 땀과 함께 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나는 무엇이 성공인지를 생각합니다.
성공의 성(成)은 자기를 이루는 것이고,
공(功)은 공덕을 쌓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자기를 성취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야
비로소 진정한 성공의 의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 마윈, ‘알리바바 마윈의 12가지 인생강의’에서


‘만일 당신이 사업에서 성공했다면
그건 다른 사람들을 위해 일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직원들을 위해 일하고 고객들을 위해 일하며
일자리를 창출해낸 것입니다.’(톰 모니한)
보다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있을 때
보다 큰 성공이 창출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