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업 業

http://naver.me/5SW9TZ2C

범어 karman의 번역. 갈마(羯磨)라 음역(音譯)한다. 조작(造作)의 뜻. 행위(行爲)ㆍ소작(所作)ㆍ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활동. 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생활을 의미한다.   ①일반으

m.terms.naver.com

범어 karman의 번역. 갈마(羯磨)라 음역(音譯)한다. 조작(造作)의 뜻. 행위(行爲)ㆍ소작(所作)ㆍ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활동. 의지(意志)에 의한 신심(身心)의 생활을 의미한다.

 

①일반으로 업(業)을 신(身)ㆍ어(語)ㆍ의(意)의 삼업(三業)으로 나눈다. 유부(有部)의 해석에 따르면, 이러 이러한 것을 하려고 하는 뜻이 의업(意業)이고, 그 의지를 신체적 행동과 언어적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 신업(身業)과 어업(語業, 구업(口業)이라고도 한다)이라고 한다. 또 업(業)을 의지(意志)의 활동인 사업(思業)과 사업(思業)이 끝나고서 행하는 사이업(思已業)의 이업(二業)으로 나누는데 이 경우, 사업(思業)은 의업(意業)이고, 사이업(思已業)은 신(身)ㆍ어(語)ㆍ이업(二業)이다. 삼업(三業)으로서의 작용의 본체(本體, 업체(業體)ㆍ업성(業性))에 대해서, 유부(有部) 등에서는 의업(意業)은 사(思, 의지(意志))라고 한다. 불교 본래의 입장은 후자라고 생각된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사람이 너에게
‘너는 골프 천재다. 10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사람이다’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을 때 바로 연습장으로 달려가라.
달려가서 이전 보다 더 훈련에 열중하라!
-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 타이거 우즈에게


제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나 기업도
잠시 연습을 게을리 하게 되면 바로 뒤쳐집니다.
한편, ‘위대한 변화’의 저자 제임스 마틴(James Martin)에 의하면
‘매주 1%씩 개선한다면
5년 안에 14배라는 경이로운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끊임없이 조금씩 조금씩 개선시켜 나가는 자세가 어느 때 보다 필요한 때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극도의 고통은
타인과 나눌 수 없다.
고통이 세상의 전부가 되었기 때문에
그 무엇도 들어올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타인의 고통을 깨달을 때에는 우리도 아프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그 고통을 느낀다고 해도
좋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이 느끼는 고통과
그 고통에 대한 우리의 반응 사이에는 엄청난
간극이 있다. 그러한 경험은 자신과
모든 타인들 사이를 넘을 수 없는
심연을 보여준다.


- 라르스 스벤젠의《외로움의 철학》중에서 -


* 고통은 매우 주관적입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별것 아닌 고통도
어떤 사람에게는 견줄 수 없는 극한의 고통일 수
있습니다. 특히 타인의 고통은 측량하기 어렵습니다.
그 때문에 타인의 고통을 가벼이 여기기 쉽습니다.
중요한 것은 공감입니다. 함께 나누는 마음입니다.
그래야 자신의 고통을 타인에게 드러낼 수 있는
용기를 낼 수 있습니다. 그 용기를 응원하고
함께 풀어가야 성숙한 사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연히, 운명적 만남  (0) 2021.03.29
잠시 고개를 돌려보면  (0) 2021.03.29
건강 격차  (0) 2021.03.25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0) 2021.03.24
엄마를 닮아가는 딸  (0) 2021.03.23
반응형

 

나는 당뇨병 전문의로
지난 38년 동안 20만 명이 넘는 환자를
진료해왔다. 당뇨병 환자들을 돌보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나는 얼핏 보기에 똑같이 일하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건강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40세 전후의 직장인 100명이 있다면
그중 20퍼센트가 '건강 상류층'이고 나머지 80퍼센트는
안타깝게도 '건강 하류층'이다. 그 격차를 40세 때는
좀처럼 자각하지 못할 수 있다. 직장인 사이에 건강
격차를 초래하는 것은 어김없이 '매일 먹는 식사'다.
먹는 것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게 건강을 좌우할 뿐 아니라
업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 마키타 젠지의《식사가 잘못됐습니다》중에서 -


* '건강 격차'라는 용어는 처음 듣습니다.
비싼 음식을 먹는 사람과 값싼 음식을 먹는
사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하루 세끼 매일 먹는
음식이 건강식이냐 아니냐를 말하는 것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같은 질병을 '생활 습관병'이라
부르는데, 여기서 말하는 '생활 습관'이란
다름 아닌 '음식 습관'을 일컫습니다.
그에 따른 건강 격차가 40대에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시 고개를 돌려보면  (0) 2021.03.29
극도의 고통은 타인과 나눌 수 없다?  (0) 2021.03.26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0) 2021.03.24
엄마를 닮아가는 딸  (0) 2021.03.23
인재 발탁  (0) 2021.03.22
반응형

MBTI - 사교적인 외교관 ESFJ-A

 

www.16personalities.com/ko/%EC%84%B1%EA%B2%A9%EC%9C%A0%ED%98%95-esfj

 

성격유형 : “사교적인 외교관” (ESFJ) | 16Personalities

 

www.16personalities.com

반응형
반응형

기업이 미래로 가는 경주에서 승리하려면,
무엇보다도 기업 안에 경험이나 연공에 의한 계층구조가 아닌
상상력의 계층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 전략 만들기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몫을 주는 것이다.
- 게리 하멜, 런던비지니스 스쿨 교수


모든 조직은 나름대로의 목적과 이유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연공(근속연수)과 지위에 의한 계층구조가 아닌,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능력, 고객 만족도 제고, 상상력과 창의력 향상과 같은
새로운 기준에 의한 조직 설계를 시도해 볼 때입니다.
젊은 신참자들, 본사가 아닌 현장 사람들처럼
기존 사고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력을 가진 사람들의
새롭고 다양한 목소리를 얻어낼 수 있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