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

사물 인터넷
국내도서
저자 : 커넥팅랩
출판 : 미래의창 2014.06.25
상세보기

커넥팅랩 지음 | 미래의창 

다가오는 사물인터넷 시대,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바뀔까?

지금까지의 온라인 혁명이 ‘인간’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시대였다면, 앞으로 펼쳐질 세상은 ‘사물’이 중심이 된 진정한 스마트 세상이 도래할 것이다. 스마트폰이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언제 어디서든 연결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었다면, 사물인터넷은 인간 주변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고, 인간과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하고, 사물인터넷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헬스케어 분야, 생활 분야, 보안 분야, 육아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사물인터넷 상품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 산업 분야별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그 중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가장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홈 분야는 가정 내 사물들을 단순히 제어하는 기능에서 나아가 집안의 화재, 침입 등 위험을 스스로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발전될 것이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이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벌써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목차

 

 

모바일 인사이트 소비자의 숨겨진 욕망까지 읽어내는 시대

모바일 인사이트
국내도서
저자 :
출판 : 행간 2014.07.07
상세보기

모바일마케팅연구소 (엮음) 지음

 

모바일 안의 무한한 비즈니스 기회를 잡아라!

『모바일 인사이트』는 모바일 혁명의 의미와 모바일이 마케팅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우리가 이 거대한 시대의 흐름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마케팅'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현장에서 모바일 혁명으로 일어난 변화들을 직접 경험한 마케터들이 부딪쳐가며 배운 것과 고민해왔던 문제들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함께 제시했다. 

우선 모바일의 본질과 소비자와 기업을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의 모바일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앱 생태계의 실체와 앱을 활용한 구체적인 마케팅 실례를 다룬다. 이어 페이스북, 카카오톡, 라인 등으로 대표되는 소셜 플랫폼에 대해 고찰해보고, 모바일을 잇는 차세대 플랫폼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목차

 

 

 

 

 

반응형
반응형
낙관론자들은 불쾌한 일을 경험하면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불쾌한 일은 1. 지나간다.
2. 인생의 일부분에만 관계된다.
3. 그냥 운이 없었던 것뿐이다.
유쾌한 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유쾌한 일은 1. 유지되거나 다시 찾아온다.
2.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3. 자신의 능력에 달려있다.
- 마틴 셀리그만




 

반면, 비관론자들은 불쾌한 일은
1. 지속된다.
2. 인생 전반을 쥐고 흔든다.
3. 자신의 잘못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유쾌한 일은
1. 지나간다.
2. 제한되어있다.
3. 순전히 운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과연 어느 쪽일까요?
반응형
반응형

그 무엇도 내 허락 없이는 나를 불행하게 만들 수 없다.
여기서 그 무엇은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어떤 최악의 상황이 닥치더라도
 내 허락 없이는 그것이 나를 불행하게 만들 수 없어,
‘난 허락 안해’ 라는 의미다.
- 차동엽 신부, ‘천금말씨’에서

 

감정은 판단의 종노릇을 합니다.
그러므로 내 판단이 허락하지 않는 한
 불행의 감정은 생길 수 없습니다.
내가 허락해야만 불행해 질 수 있다면,
결국 불행은 내가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남의 평가에 민감한 것은
우리 안에 존재하는 노예근성 때문이다.
고대 노예제 사회에서 노예는
자기 자신을 주체적으로 평가하지 못했다.
노예를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은 어디까지나 주인뿐이기 때문이다.
노예는 주인이 잘했다고 칭찬하면 기뻐하고
못했다고 지적하면 슬퍼한다.
- 니체 (박찬국 교수, ‘초인수업’에서)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항상 남의 시선과 평가에 신경을 쓰고
남이 무시하지 않을까 걱정합니다.
니체의 주장에 따르면 ‘남의 시선과 평가에 연연할 때
우리는 자신을 노예의 지위로 하락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남의 눈치에 연연하는 대신
자기만의 고유한 강점을 꽃 피우는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장 중요한 요소는 좋은 일이 생길 것이라는 믿음이다.
믿으면 진짜 그렇게 된다.
그러니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져보자.
그러면 어떠한 상황에서든
잠재적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으며,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다.
- 스테반 M 폴란, ‘2막’에서

 

반응형
반응형
앙스트블뤼테(angstblute)를 거친 전나무만이
명품 바이올린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앙스트(불안)와 블뤼테(개화)가 합쳐진 앙스트블뤼테란
전나무가 환경이 열악해져 생명이 위태로워지면
유난히 화려하고 풍성하게 꽃 피우는 현상을 나타낸다.
즉 불안의 꽃이라고 번역되는 앙스트블뤼테는
가장 어려운 상태를 겪은 후에 내공이 깊어짐을 의미한다.
- 권광영, ‘톱리더의 조건’에서



죽음을 앞둔 처절한 상황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생애 마지막 의지와 집중력을 총 동원해 꽃을 피우는
전나무이기에 죽어서도 명품으로 남아
많은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하는 것입니다.
극한의 고난이 명품을 만듭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