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설사 힘들게 살았더라도
과거는 과거에서 종지부를 찍고,
가급적 현재를 살도록 노력해야 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가서 없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아서 없다고 하지 않던가. 우리는
지금 여기라는 현재에 있기 때문에 현재를
살아야 건강하다. 그러니까 과거의
아픔이나 습성이 올라온다고 해서
그냥 이에 내맡길 것이 아니라
애써 현재에 충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장성숙의 《불행한 관계 걷어차기》 중에서 -


*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것입니다.
붙잡을 수도 없고 돌아갈 수도 없습니다.
붙잡을 수 없는 것을 놓고 씨름할 필요 없습니다.
내일 일은 내일의 것입니다. 미리 당겨서 염려할
필요 없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에서
지금 내 앞에 주어진 시간은 현재뿐입니다.
근심 걱정 내려놓고 밥 맛있게 먹고
잠 잘 자고, 운동하고, 명상하고...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쟁이냐, 침묵이냐  (0) 2021.02.26
극한의 고통  (0) 2021.02.25
'정말 힘드셨지요?'  (0) 2021.02.23
이타적 동기와 목표  (0) 2021.02.22
'위대한 일'은 따로 없다  (0) 2021.02.20
반응형

인생은 곱셈이다.
아무리 기회가 와도 내가 제로(0)면 결과는 제로 인 법.
하지만 내가 준비가 되어 있다면
기회는 우리에게 곱빼기로 더 나은 삶을 선물해 줄 것이다.
잊지 마라.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나는 지점에 있다는 걸.
- 아네스, ‘프린세스 라 브라바’에서


'행복과 노력은 비례한다. 대개 행복하게 지내는 사람은 노력가다.
게으름뱅이가 행복하게 사는 것을 보았는가!
노력의 결과로써 오는 성과의 기쁨 없이는
누구도 참된 행복을 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수확의 기쁨은 그 흘린 땀에 정비례하는 것이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좋은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많은 경우,
'해답을 줘야 한다' 혹은
'걸맞은 말을 해야 한다'라는 부담감은
공감의 장애물로 작용하기 쉽다.
'뭔가 적합한 말을 찾기 어렵다'라는 두려움 때문에,
대수롭지 않은 척 무시하거나 화제를 돌리거나
머쓱해져서 자리를 피하게 된다.
마법의 말 따위는 필요 없다.
그저 "정말 힘들었겠구나."
정도로도 충분하다.


- 브레네 브라운의《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중에서 -


* 위로의 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입니다.
미사여구로 꾸미거나 입에 발린 말은 오히려
역효과를 냅니다. 너무 과장된 말도 좋지 않습니다.
진심이 담긴 말이면 짧은 한마디로도 충분합니다.
공감이 먼저입니다. 서로 공감하면 위로와
치유가 마법처럼 뒤따릅니다.
"정말 힘드셨지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의 고통  (0) 2021.02.25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하다  (0) 2021.02.24
이타적 동기와 목표  (0) 2021.02.22
'위대한 일'은 따로 없다  (0) 2021.02.20
서두르면 '사이'를 놓친다  (0) 2021.02.19
반응형

시지프스 인물도 

반응형
반응형

패배란 육체적 고통이 주는 불쾌한 경험과 다를 바 없다.
육체적 고통이라는 것은 자연이 우리에게 신체의 어떤 부분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잘못된 부분은 고쳐야 한다고 알려주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고통은 저주가 아니라 축복이 될 수 있다.
패배라는 것은 우리의 의지력을 자극하는 수단이자,
일종의 정신적 강장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 나폴레온 힐


모든 역경, 모든 실패, 모든 마음의 고통은 그 아픔에 상응하는
또는 그보다 더 큰 이익의 씨앗을 지니고 있습니다.
불가피한 역경이 닥쳤을 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이
보통 사람인지 아니면 큰 성공을 거두는 사람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역경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가 인생의 성패를 가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욕구는
인간의 필수 조건이다
사람들은 욕구를 부정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사람은 근본적으로
욕구의 동물이다. 모티베이션은 사람들이
욕구를 가졌기 때문에 가능하다. 욕구가
없으면 모티베이션도 없다. 다만 욕구는
채워지면 힘을 잃는다. 채워지지 않은
욕구만이 사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진다.


- 남상훈의《사람 관계 수업》중에서 -


* 욕구, 욕심, 욕망...
자신이 이루고 싶은 목표입니다.
그 동기와 목표는 두 갈래로 갈립니다.
자신에 집중된 이기적인 것이냐, 타인까지 포함된
이타적인 것이냐. 오로지 이기적인 것에 머물 때는
채워지는 대로 힘을 잃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타인에게도 이로운 이타적인 목표일 때는
채워질수록 더욱 힘을 얻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힘을 보탭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하다  (0) 2021.02.24
'정말 힘드셨지요?'  (0) 2021.02.23
'위대한 일'은 따로 없다  (0) 2021.02.20
서두르면 '사이'를 놓친다  (0) 2021.02.19
'일을 위한 건강'  (0) 2021.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