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첫째,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야 합니다.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하면 우리에게 필요한
적정 수면 시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잠드는 시간을 통제할 수 없지만
기상 시간은 통제할 수 있습니다. 수면 습관에
중요한 것이 규칙성입니다.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면 점점 더 일정한 시간에
졸리게 됩니다. 그때 잠자리에
누우면 됩니다.

- 문요한의《이제 몸을 챙깁니다》중에서 -


* 규칙성은
자기 관리의 핵심입니다.
규칙적으로 밥먹고,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규칙적으로 명상하고, 그런 사람이면 그 규칙성
하나만으로도 이미 자기 관리에 성공한 사람입니다.
가장 규칙적이어야 할 일의 하나가 바로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입니다. 잠드는 시간은 상황에 따라
들쭉날쭉할 수 있지만 일어나는 시간은 스스로
정해서 실천하면 되는 일입니다. 전적으로
자기 의지의 문제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달에 다섯 시간!  (0) 2021.01.28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0) 2021.01.26
자기답게 사는 법  (0) 2021.01.25
정신 건강과 명상  (0) 2021.01.22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  (0) 2021.01.21
반응형

나는 자기다움을
'자기 성격다움'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자기다운 삶이란 한마디로
자기 성격대로 사는 것이다.
사실 자기 성격대로 사는 것이
가장 자기다운 모습니다. 하지만
자기 마음대로 사는 것과는 다른 의미이다.


- 류지연의《성격이 자본이다》중에서 -


* 누구에게나
그 사람만의 타고난 성격이 있습니다.
좋은 장점도 있고 나쁜 단점도 있습니다.
양면을 갖고 타고난 자기 성격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장점은 잘 키우고 단점은 더 잘
다듬어 가는 것이 좋습니다. 스스로 인정도 해주고
토닥여 주며 나의 재산으로 만들어 가려 합니다.
이제는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사랑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0) 2021.01.26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  (0) 2021.01.25
정신 건강과 명상  (0) 2021.01.22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  (0) 2021.01.21
'네 신체비밀이 뭐야?'  (0) 2021.01.20
반응형

꿈이 없는 기업에서 사원들은
일에 대한 동기도 보람도 얻을 수 없다.
사원들에게 꿈을 제공할 수 있다면,
목표달성의 7, 80 퍼센트는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 아사히 맥주 전 회장 히구치 히로타로, ‘딱 2년만 혼신을 바쳐라’에서


사장의 임무는 직원들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영자 스스로 꿈과 비전에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만에 하나라도 경영자가 회의적인 발언을 한다면
사원들에게 용기와 의욕을 심어줄 수 없습니다.
가슴이 울렁거리는 비전을 개발, 이를 확신을 가지고 전파하여
직원들의 자신감과 자긍심을 불러 일으켜야
조직 전체의 에너지 발산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정신 건강은
환기(Ventilation)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집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지가 쌓이지 않게 수시로 청소를 해 줘야
하듯, 마음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안에 있는 것을 밖으로 표현함으로써
스트레스를 배출해 줘야 한다. 이러한
까닭에 정신 건강과 환기는 정비례
관계에 놓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장성숙의《불행한 관계 걷어차기》중에서 -


* 몸의 환기는 배출입니다.
대소변, 땀, 림프액이 잘 배출되고 순환되어야
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정신의
환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울, 불안, 짜증,
화, 스트레스 따위를 잘 배출하고 털어내야
정신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명상'이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  (0) 2021.01.25
자기답게 사는 법  (0) 2021.01.25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  (0) 2021.01.21
'네 신체비밀이 뭐야?'  (0) 2021.01.20
'고마워'라고 말하라  (0) 2021.01.19
반응형

감당하기 어려운 시련과 고통이 아니면 우리는 성장할 수 없다.
근육을 키우려면 감당하기 어려운 무게를 들어야 한다.
어려운 과제를 해결할 때마다 우리는 그만큼 강해진다.
그만큼 성장한다.
뿌리를 단단히 박고 하늘을 찌를 듯이 서있는 나무들을 보라.
그들은 모두 폭풍우를 견딘 모습이다.
- 보도 새퍼, ‘멘탈의 연금술’에서


가벼운 아령으로는 결코 근육을 키울 수 없습니다.
가벼운 아령으로 근육을 키울 수 없다면 어려운 시련과 문제를 만났을 때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기뻐해야 하지 않을까요?
어려운 시련과 문제야말로 근육을 키울 수 있는 최고의 아령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스로에게 진실한 것이
긍정적이 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이 들 때 나는 그 느낌을
그대로 허용한다. 지금의 내 느낌에 저항해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그냥 '허용'
한다는 말이다. 판단 없이 허락하는
바로 이 행위가 자기 사랑의 행위이다.


- 아니타 무르자니의《그리고 모든 것이 변했다》중에서 -


* 화(火)는 '마음의 불'입니다.
불은 반드시 불씨가 있습니다. 내부에서 생긴
불씨도 있고, 외부에서 번진 불씨도 있습니다.
삶의 에너지가 되는 긍정적인 불씨도 있고, 재앙으로
돌변하는 부정적인 불씨도 있습니다. 어느 쪽이든 그 불씨와
저항하거나 싸울 필요 없습니다. 얼마쯤 타오르는 것을
허용하고 더 큰 불로 번지지 않도록 다스리는 것이
명상입니다. 자기 사랑의 행위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답게 사는 법  (0) 2021.01.25
정신 건강과 명상  (0) 2021.01.22
'네 신체비밀이 뭐야?'  (0) 2021.01.20
'고마워'라고 말하라  (0) 2021.01.19
춥다, 나는 혼자다  (0) 2021.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