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는 다른 이의 행복을 바라고
 다른 이의 불행에 슬퍼하지.
사람한테는 그게 가장 중요한 점이란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 도라에몽 신역 대사 중 (사사키 히로시)


갤럽에 의하면 직장인들은 돈, 물질적 혜택보다
 상사의 배려를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똑똑한 사람보다 자신의 처지를 이해해주는
 공감능력, 친절함에 더 이끌립니다.
사랑, 친절, 나눔 등은 ‘부메랑의 법칙’이 통하는 마음입니다.
상대방을 향해 던지는 사랑, 친절, 나눔은
 반드시 이자가 붙어서 자신에게 돌아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목표를 달성하고 싶으면 그것을 기록하라.
목표달성에 헌신하겠다는 마음으로 목표를 기록하라.
그러면 그 행동이 다른 곳에서의 움직임을 이끌어 낼 것이다.
목표를 이루려면 일단 목표를 기록하라.
- 헨리엔트 앤 클라우저, ‘종이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에서


“꿈을 수치화해서 기한을 정하는 것,
꿈을 구체적인 목표로 나타낼 수 있다면
절반은 달성한 것이나 다름없다.
목표를 명확하게 입으로 말하는 것이 좋다.
주위에 알리는 것으로 자신을 더욱 몰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불가능해 보이는 원대한 꿈을 꾸고
그 꿈을 현실화해가는 것으로 유명한 손정의 회장의 주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이 난 채 길을 가다가
작은 풀잎들이
추위 속에서 기꺼이 바람맞고
흔들리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만두고 마음 풀었습니다.
- 이철수 판화집, ‘길에서’



추위 속에 흔들리는 풀들은 아파도 참고,
추위와 바람을 원망하지도 않습니다.
내가 불쾌한 기분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모든 것이 불쾌해지는 것입니다.
먼저 유쾌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유쾌한 기분이 절로 솟아나고
모든 것이 감사할 일로 바뀌게 됩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행복한 추석되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기업가란 항상 비관적이다.
비관적인 전망은 원대한 목표에서 나온다.
1등을 못하면 생존하지 못할까봐 비관적이 되고,
1등 자리에 오르면 10년 후에도 1위를 지킬 수 있을까
생각하면 비관적이 될 수밖에 없다.
기업가에게 만족이란 없다.
- 이건희 회장 (김용준 저, ‘이건희 지행 33훈’에서)


기업과 위기는 숙명적 동반자이며,
기업가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놓는 사람입니다.
위기의식을 온 몸으로 느끼고, 앞서 미래를 내다보고,
맨 앞에서 변화를 이끄는 것이 경영자입니다.
위기의식은 조직의 전 계층, 전 임직원이 공유해야 하며,
항상 세계 최고와 비교해야 위기의식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혜로운 사람은 지나간 과거를 슬퍼하지 않고,
오지 않은 미래를 걱정하지도 않는다.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에만 전념한다.
어리석은 사람은 지나간 과거를 슬퍼하고 후회한다.
오지 않은 미래를 두려워하고 걱정한다.
- 부처



부처는 현법낙주(現法樂住), 즉 현재 직면한 삶을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참된 삶의 태도라고 했습니다.
지금 여기에서 최선을 다하는 삶,
지금 여기에서 즐겁게 사는 것이 참된 삶,
의미있는 삶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대가 현재 생각하는 것을 확고한 언어로 말하라.
비록 오늘 그대가 말한 모든 것과 모순될지라도,
내일은 내일 생각하는 것을 확고한 언어로 말하라.
아! 그러면 그대는 분명 오해받을 것이다.
오해받는 것이 그렇게 나쁜 것인가?
위대한 것은 오해 받는 것이다.
- 랄프 왈도 에머슨 (‘에머슨 인생학’에서)


랄프 왈도 에머슨은 ‘변화하는 세상에서
경직된 일관성은 어리석은 일관성이다’고 갈파했습니다.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뉴턴등
순수하고 현명한 정신은 모두 오해 받았습니다.
오해받는 것이 두려워 상황이 바뀌었는데도
일관성만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