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함이 끝나고 궁핍이 시잘될 때 인생의 가르침도 시작된다" -헤르만 헤세-
생활의 발견
- "평안함이 끝나고 궁핍이 시잘될 때 인생의 가르침도 시작된다" -헤르만 헤세- 2013.02.26
- "성공한 사람은 남이 자신에게 던진 돌로 튼튼한 기초를 샇을 수 있는 사람이다. " - Sidney Greenberg - 2013.02.26
-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 2013.02.25
- 프레임(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2013.02.22
- 고독없이 성장없다. 2013.02.22
- "야망은 하나의 씨앗이다. 모든 고귀함은 그로부터 싹튼다" - Thomas D. English - 2013.02.22
"평안함이 끝나고 궁핍이 시잘될 때 인생의 가르침도 시작된다" -헤르만 헤세-
"성공한 사람은 남이 자신에게 던진 돌로 튼튼한 기초를 샇을 수 있는 사람이다. " - Sidney Greenberg -
"성공한 사람은 남이 자신에게 던진 돌로 튼튼한 기초를 샇을 수 있는 사람이다. " - Sidney Greenberg -
A successful man is one who can lay a firm foundation with the bricks that others throw at him.
'생활의 발견 > C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
누구나 꿈꾸고 희망하는 것은 천국이다.
하지만 꿈꾸고 희망하는 것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옥과 같은 현실의 가시밭길을 통과해야 한다.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라는
말이 있는 것도 이런 연유다.
-야나이 다다시, 유니클로 사장
올라야 할 산이 높으면 높을수록 산은 험하고
지나가야 할 계곡도 깊습니다.
그런 깊고 험난한 계곡과 산길을 걷지 않고서는
결코 높은 산을 오를 수 없습니다.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은 실패나 난국을 안내자 삼아
정상에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루한 반복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다. (0) | 2013.02.27 |
|---|---|
| 비판을 즐길 줄 아는 사람 (0) | 2013.02.26 |
| 고독없이 성장없다. (0) | 2013.02.22 |
| 나는 어제의 나와 경쟁한다. (0) | 2013.02.21 |
| 승리의 여신은 노력을 사랑한다. (0) | 2013.02.20 |
프레임(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
어떤 사물을 보는 관점을 프레임이라고 한다.
프레임은 뚜렷한 경계 없이 펼쳐진 대상들 중에서 특정 장면이나 특정 대상을
하나의 독립된 실체로 골라내는 기능을 한다.
어떤 프레임으로 세상을 접근하느냐에 따라
우리가 삶으로부터 얻어내는 결과물들은 결정적으로 달라진다.
우리가 프레임을 알아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애매함은 삶의 법칙이지 예외가 아니다.
우리의 감각적 경험과 개개인의 지극히 사적인 판단들도
프레임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다.
애매함으로 가득 찬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바로 프레임이다.
한마디로 프레임은 우리에게 '애매한 세상의 다리'가 되어주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자기'를 가리켜 '독재정권'이라고 부른다.
자기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소통의 창구가
되는 것을 막을 순 없다. 하지만 지혜는 우리에게
이런 자기중심성이 만들어내는 한계 앞에서 철저하게 겸허해질 것을 요구한다.
과거는 현재의 관점에서만 질서 정연하게 보인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내 그럴 줄 알았지'라고 외치며 자신의 똑똑함을 자랑하거나
합리화하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현재가 만들어내는 미래의 장미빛 착각을 제대로
직시하는 것 또한 반드시 갖춰야 할 지혜로운 습관이다.
프레임을 좌우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름'이다.
여러 영역 중에서 이름의 영향을 가장 심각하게 받는 영역은
바로 돈이다. 돈에 붙여지는 이름에 따라 돈을
다르게 쓰게 된다는 이 단순한 원리 하나만 잊지 않고 산다면
큰 부자는 못 되더라도 지혜로운 부자는 되고도 남을 것이다.
어떤 프레임으로 제시되더라도 똑같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바로 그 능력이 경제적 지혜의 핵심이다.
자신의 선택이 잘못된 것 같을 때 자신의 성격을
탓하기보다는 그 선택이 어떻게 프레임되어
있는지부터 살펴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삶의 상황들은 일방적으로 주어지지만,
그 상황에 대한 프레임은 철저하게 우리 자신이 선택해야 할 몫이다.
더 나아가 최선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인격성의 최후 보루이자 도덕적 의무이다.
"한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갈 수는 있지만, 한 가지 자유는
빼앗아 갈 수 없다. 바로 어떤 상황에 놓이더라도 삶에 대한 태도만큼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이다."
지혜로운 사람의 10가지 프레임
1.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
2.접근 프레임을 견지하라.
3.'지금 여기' 프레임을 가져라.
4.비교 프레임을 버려라.
5.긍정의 언어로 말하라.
6.닮고 싶은 사람을 찾아라.
7.주변의 물건들을 바꿔라.
8.체험 프레임으로 소비하라.
9.'누구와'의 프레임을 가져라.
10.위대한 반복 프레임을 연라하라.
"습관은 그 어떤 일도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 도스토예프스키 -
'생활의 발견 >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서구매] 당신은 전략가입니까?,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3.04 (2) | 2013.03.29 |
|---|---|
| [도서구매]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3월호, 신 HSK 한권으로 끝내기 3급, 심리학의 즐거움 (1) | 2013.03.05 |
| [도서구매] 마이크로소프트웨어(2013.02), 습관의 힘, 프레임 (1) | 2013.02.13 |
| [도서구매] 역주 유양잡조1|2 , 이조한문 단편집(상|중|하) , 한국도교의기원과역사, 신hsk두달에4급따기 (0) | 2013.01.30 |
| [도서] 예제 중심의 Python 파이썬: 쉽고 재미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1) | 2013.01.23 |
고독없이 성장없다.
인생의 삼고(三苦)는 고독, 고생, 고통이다.
이 세 가지 모두 감내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그런 만큼 이 보다 인생을 더 크게 발전시키는 것도 드물다.
그런 의미에서 삼고는 인생의 삼고(三高)다.
고독하지 않으면 몰입할 수 없으며,
고생하지 않으면 대가가 될 수 없고,
고통이 없으면 삶의 의미를 깨닫기 힘들기 때문이다.
-유영만, ‘니체는 나체다.’에서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고독 예찬을 함께 보내드립니다.
“고독은 젊은 날에는 고통스럽다.
하지만 좀 더 성숙하면 고독은 즐거운 일이 된다.
나는 시골에서 고독하게 생활했는데,
고요한 삶의 단조로움이
창의적 사고에 자극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판을 즐길 줄 아는 사람 (0) | 2013.02.26 |
|---|---|
|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 (0) | 2013.02.25 |
| 나는 어제의 나와 경쟁한다. (0) | 2013.02.21 |
| 승리의 여신은 노력을 사랑한다. (0) | 2013.02.20 |
| 꿈을 놓치지 마라. (0) | 2013.02.19 |
"야망은 하나의 씨앗이다. 모든 고귀함은 그로부터 싹튼다" - Thomas D. English -
"야망은 하나의 씨앗이다. 모든 고귀함은 그로부터 싹튼다" - Thomas D. English -
"Ambition is the germ from which all growth of nobleness procee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