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길을 걸으며
수많은 사람을 만났다.
풀잎 같은, 들꽃 같은, 바닷물에 반짝이는
이슬 같은, 길에서 만나 아름다웠고
길에서 만나 마음이 열렸던
그런 사람들. 
- 서명숙의《서귀포를 아시나요》중에서-


* 사람이
사람을 만나는 것이 재산입니다.
큰 행운입니다. 기적과도 같습니다.
길에서, 산에서, 배움의 길에서 만난 사람들.
꿈과 꿈너머꿈을 함께 꾸고 이루는
그런 아름다운 사람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의 숨결  (0) 2019.11.06
왜 하필 나인가?  (0) 2019.11.05
입가에 번지는 엷은 미소  (0) 2019.11.04
행복한 사람 옆에 행복한 사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반응형

하지만 이제는 안다.
10년 후 물어물어 다시
이 연주가를 찾아온다 한들
지금과 똑같은 느낌을 받지 못하리라는 것을.
행복은 하나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번 색깔이 달라지는 카멜레온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추구하고 마침내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발견하고 매순간
경험하는 그 무엇이니까. 

- 이주은의《그림에, 마음을 놓다》중에서 -


* 행복은 소소한 일상 가운데 있습니다.
크고 화려한 이벤트가 아닌 무심히 스쳐 지나가는
바람결 같은 것입니다. 입가에 잠시 머물다 스러져가는
엷은 미소 같은 것입니다. 그런 순간을 놓치지 않고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하필 나인가?  (0) 2019.11.05
사람의 만남  (0) 2019.11.04
행복한 사람 옆에 행복한 사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19.10.30
반응형

성공의 가장 확실한 요인은 투지다.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재능, 직함, 부, 외모가 아니다.
목표를 향해 오랫동안 열심히 일할 수 있는 능력, 즉 투지가 중요한 것이다.
투지는 우리가 거절의 아픔, 실패의 고통, 역경과의 투쟁에도
굴하지 않고 앞으로 계속 나아가게 해준다.
- 엔젤라 더크워스 (펜실베니아 대학 교수) 

성공은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시간이 걸리기 마련입니다.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역경, 실패, 거절, 장애물을 뛰어 넘어
계속 나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은 다름 아닌 투지입니다.
투지는 우리가 그만두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과 사람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은 다양하다.
누구나 나 아닌 사람으로 인해 상처받고
괴로워하기도, 더 많이 즐거워하기도 하며
살아간다. 행복감은 전염성이 있어서, 누구와
함께하고 오랜 시간을 보내는지는 행복감을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사람끼리 모여 있고,
불행한 사람은 불행한 사람끼리
모여 있다는 것이다.

- 김혜령의《이게, 행복이 아니면 무엇이지》중에서 -


*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 하지요.
비슷한 성향의 사람끼리 만난다는 뜻입니다.
누구와 어울리는지를 보면 그 사람이 보입니다.
사람의 감정도 전염됩니다. 긍정이 긍정을 낳고
부정이 부정을 부릅니다. 전염력이 가장 강력한 것이
행복 바이러스입니다. 행복한 사람 한 명이
열 명, 백 명의 행복한 사람을 모읍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만남  (0) 2019.11.04
입가에 번지는 엷은 미소  (0) 2019.11.04
보랏빛 의자  (0) 2019.11.04
눈 감아도 빛나는 당신  (0) 2019.10.30
오로지 괴테만 읽었다  (0) 2019.10.29
반응형

변화하는 상황에 자신과 조직을 적응시키는 능력이 탁월한 CEO는
불편, 갈등, 변화를 환영하는 법을 배운다.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배우고 있지 않거나 빨리 변화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조직을 이끌 때 불편한 상황에 놓이는 것이 실제로는 일종의 목표이다.
그러한 압력과 변화 사이를 항해하는 것이 CEO가 할 일이다.
- 엘레나 보텔로, ‘이웃집 CEO’에서 

발전하고 싶다면 문제가 있는 곳, 고통이 있는 곳으로 가야합니다.
평안은 곧 위태로움을 의미합니다.
리더는 편안함 보다는 불편함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오래 살아남으려면,
불편한 상황을 환영할 줄 아는 리더가 되고,
불편함에 친숙해질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준비가 되었다.
보랏빛 의자에 앉아서
책을 읽을 준비가 되었다는 말이다.
오랫동안 책은 내게 다른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살아가는지, 삶의 슬픔과 기쁨과 단조로움과
좌절감을 어떻게 다루는지 내다보는 창문이 되어주었다.
그곳에서 공감과 지침과 동지 의식과 경험을 다시
찾아보려 한다. 책은 내게 그 모든 것을,
그 이상의 것을 줄 것이다.

- 니나 상코비치의《혼자 책 읽는 시간》중에서 -


* 보랏빛 의자에 앉아서
과연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차를 마실 수도 있고 창밖 풍경을 바라볼 수도
있겠지요. 뭐니 해도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어울리는
모습은 아닐까요? 보기만 해도 여유롭고 편안하고
지적 매력이 풍겨납니다. 삶의 창문을 확장시키는
의미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보랏빛 의자와
책을 읽는 사람, 가장 멋들어진 조합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