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경제적 보상은 직원의 소속감이나 이직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칭찬의 횟수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직원이 한 분기에 세 차례 이상 칭찬을 받을 때 다음 평가에서
그들의 성과 평가가 크게 상승했다.
그리고 한 분기에 네 번 이상 칭찬과 인정을 받을 때
그 직원이 1년 후 같은 직장에 머물 가능성은 96%로 늘어났다.
- 크리스티나 홀

분기당 한 두번 칭찬 받을 때의 성과와 이직율은
그 전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 번 혹은 네 번 받게 되면 놀랍게도
성과가 크게 올라가고 이직율은 현저히 떨어진다 합니다.
네 번 이상 칭찬을 받는 직원은 동료에게 베푸는 칭찬횟수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네 번 이상 칭찬 받을 때 칭찬 생산자가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여행자는 
자신의 고향을 그리워한다. 
그는 방랑을 통해 고향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는다. 
(찰스 디킨스) 


- 배철현의《수련》중에서 - 


* 여행은 일상을 떠났다
일상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입니다.
고향을 떠나서 다시 고향으로 오는 것입니다.
큰 깨달음으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서.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낫질  (0) 2019.03.21
허술한 존재  (0) 2019.03.20
착한 사람, 선량한 사람  (0) 2019.03.18
아름다운 화음  (0) 2019.03.16
달걀  (0) 2019.03.16
반응형
돈이나 명성처럼 사람들이 
단박에 알아차리는 매력은 아닐지 몰라도 
'선량함'은 대단히 중요한 미덕이다. '끌림'은 
우리가 잊고 지낸 선량함의 가치를 전하면서 
자선을 베푸는 법, 용서하는 법, 솔직해지는 법, 
상대에게 위안을 주는 법 등을 알려준다. 
우리는 선량함이 강인함과 얼마든지 
양립 가능하고 착한 사람은 결코 
어수룩한 사람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 The School of Life의《끌림》중에서 - 


* "선량하다", "착한 사람이다".
그것은 칭찬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들이
기본으로 갖추어야 할 매우 중요한 미덕입니다.
자선, 용서, 정직, 위로는 어수룩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내면이 돌처럼 단단하고
삶의 중심이 잡혀있는 강인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덕목들입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술한 존재  (0) 2019.03.20
왜 고향을 떠나는가  (0) 2019.03.19
아름다운 화음  (0) 2019.03.16
달걀  (0) 2019.03.16
나무에도 마음이 있다  (0) 2019.03.14
반응형
폐허는 복원이나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을 유혹한다.
갱신되고 개혁되기 전에 죽음과 거부의 시간이 있어야 한다.
풍경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구(舊) 질서가 죽어야 한다.
- 미국 조경학자 존 B. 존슨

낡은 것이 파괴되고 기존의 것이 도태되어야 새로운 것이 창조됩니다.
죽지 않으면 부활할 수 없습니다. 죽음은 부활의 전제조건입니다.
부활은 과거의 반복과 재현이 아닌 새로운 창조입니다.
(김유열, ‘딜리트’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동료는 장점에 주목하고,
라이벌은 단점에 주목한다.

누군가의 단점만 바라보고 있다면
절대 함께 할 수 없다.


...
반응형
반응형
서로 충돌하는 
두 음이 동시에 연주되면서 
음악작품을 앞으로 밀고 나아가듯이, 
우리의 생각과 아이디어와 가치의 불협화음은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고, 재평가하고, 
비판하게 만든다.


- 유발 하라리의《사피엔스》중에서 - 


* 서로 다른 생각이 마주쳤을 때 
충돌과 불협화음이 생기는 것은 당연합니다. 
다름을 인정하고 나누는 대화를 통해 흩어진 
음을 조율하고 매만지며 당신과 나, 
우리가 하나 되어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 갑니다.

 
...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고향을 떠나는가  (0) 2019.03.19
착한 사람, 선량한 사람  (0) 2019.03.18
달걀  (0) 2019.03.16
나무에도 마음이 있다  (0) 2019.03.14
인생이 즐겁다  (0) 2019.03.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