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www.seri.org/ic/icDBRV.html?s_menu=0608&pubkey=ic20161115001&menu_gbn=1&menucd=0603

자율이 넘치는 기업 만들기


 구성원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은 결코 쉬워 보이지 않는다. 부하직원들에게 '스스로 일을 찾아서 성과를 내봐'라고 한다면 구성원은 선장을 잃은 선원처럼 표류하기 마련일 것이다. 자율적인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구성원이 기업의 철학이나 가치 범주 안에서 자율성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이 회사의 경영 철학이나 가치를 깊이 공유해야 한다. 구성원이 무엇을 위한 자율인지 이해하고,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옳은지 스스로 판단하면서 최소한 회사에 누가 되는 행동을 스스로 자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구성원에게 철저한 책임의식을 강조해야 한다. 자율의 문제점 중 하나는 '자율'의 문화를 흐리게 만드는 소수의 '무임승차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런 구성원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책임은 무시한 채 권한만을 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구성원에게 자율에는 반드시 책임이 수반됨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단위를 작게 쪼개야 한다. 기업이 성장하면 규모가 확대되는데, 규모 확대는 기업 내 위계질서와 관료주의를 강화시키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키운다. 구성원은 리더에게 의지한 채 주인의식을 상실하고, 기업은 의사결정 단계수가 증가하면서 속도가 저하되는 '대기업병'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구성원 자율성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소규모 조직으로 운영함으로써 수평적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며, 구성원의 권한을 키우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구성원간 협업을 유도해야 한다. 자율은 구성원의 주도성-능동성을 강조한 것이지 '혼자 알아서 해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혼자 고민하고 혼자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논리나 편협한 사고에 빠질 수 있어 오히려 위험하다. 따라서 올바른 자율적 문화를 위해서는 구성원간의 원활한 협력 체계를 통해 집합적 창의성이 뒷받침되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인내 비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빠른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또는 내가 하던 방식과 다르다는 이유로 이를 참지 못하고 구성원의 업무에 개입하기 시작하는 순간, 구성원의 자율성 부여는 불가능해진다. '구성원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리더가 힘을 넓게 배분하고 조직 내 혼돈(Chaos)과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점을 잘 참아내야 한다'고 말한 고어의 CEO 테리 켈리의 말을 새겨볼 필요가 있다. 

반응형
반응형
기획자는 모바일랩 내/외부에서 발의된 기본적인 요구사항들을 바탕으로 모바일 화면을 기획하는데, 기획을 할 때에는 다음 3 가지에 집중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첫째, 사용자를 배려한 서비스인가?

둘째, 의도가 있는 서비스인가?
셋째,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가?

 

 

 

* http://m.blog.naver.com/tmondev/220815558295 

반응형
반응형

개발자의 의사소통 능력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60718075808


개발자의 의사소통 능력은 코딩실력보다 중요하다. 이미 여러 번 했던 이야기다.'개발자의 생명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칼럼에서 개발자의 의사소통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설명했다. 이번 글은 그 내용의 확장판이다. 개발자가 좋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기억해야 하는 내용을 설명한다.

1. 어머니에게 말한다고 생각하라

개발자 10명 중에서 8명은 상대가 말을 들을 준비가 되었는지 헤아릴 줄 모른다. 자기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상대방이 똑같이 하고 있을 거라고 착각한다. 자기 흥에 겨워 이야기하지만 듣는 사람에게는 의미없는 소음에 불과하다. 본론을 꺼내기 전에 반드시 기본적인 문맥과 개념을 설명하고, 상대가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지 살피면서 자세한 이야기로 넘어가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다.

상황이나 상대방에 따라 이야기의 형식과 내용을 달리하며 적절하게 말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려면 자신의 이야기를 듣는 상대가 어머니라고 생각하면 좋다. 어머니에게 새로 작성한 코드의 내용이나 머릿속에 그득한 생각을 (기본적인 문맥과 개념에 대한 설명없이) 묘사할 수 있겠는가? 그렇게 하면 어머니는 그대의 등짝을 때릴 것이다. 듣는 사람을 부드럽게 자신이 원하는 대화의 문맥 속으로 끌어들이는 능력. 그것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핵심이다.

2. 구현과 인터페이스, 구체와 추상, 디테일과 개념을 분리하라

초, 중급 개발자는 종종 디테일의 늪에 빠진다. 자기 코드가 성취한 내용을 드러내고 싶은 욕망이 들끓기 때문에 누가 말을 걸면 준비과정 없이 디테일로 다이빙을 한다. 개념과 추상을 이용해서 대화하는 법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자세한 구현(implementation)을 이용해서 말하고 설명한다. 디테일의 미로에 갇혀 헤매다 정작 해야할 말은 못하고 대화가 끝나는 경우가 많다. 고급 개발자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념과 추상으로 말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3. 자기방어는 독약이다

개발자 10명 중에서 2~3명 정도가 이런 습관을 가지고 있다. 말을 걸면 무조건 자기방어를 한다. 질문의 의도와 아무 상관이 없다. 내가 질문한 목적은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궁금해서, 혹은 문제가 있으면 도와주고 싶어서 질문을 한 것인데, 필요한 대답은 하지 않고 자기에게 방해가 되었거나 될 지도 모르는 일을 끝없이 나열한다. 어쩌다 한 번이면 그런가 하고 넘어가지만, 말을 걸때마다 그러면 이상한 생각이 든다. 자기방어를 하지마라. 자기를 방어하기는 커녕 허접한 개발자로 보이게 하는 지름길이다.

4. 듣는 힘을 키워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80%는 상대의 말을 알아듣는 능력이다. 나머지 20%는 자기 생각을 상대가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는 능력이다. 초보 개발자일수록, 혹은 지위가 낮을수록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할 것 같지만 사실은 정반대다. 시니어 개발자일수록, 그리고 회사에서의 지위가 높을수록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생명이다. 그래서 지위가 높아지면서 말이 많아지는 사람은 작은 그릇이고, 지위가 높아지면서 말이 줄어드는 사람은 큰 그릇이다. 듣는 힘을 키워라. 많이 들을수록 더 높아진다.

5. 웅얼거리지 마라

웅얼거리는 사람이 있다. 단순히 스타일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지만, 스타일도 커뮤니케이션의 일부다. 개발자 컨퍼런스에 가면 참석자들이 흔히 투표용지나 앱을 이용해서 세션에 대한 평점을 매긴다. 연구에 의하면 세션에 대한 높은 평점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요소는 기술적인 깊이나 인기있는 주제가 아니라 발표자의 발음과 태도다.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마찬가지다. 말하는 사람은 웅얼거리는 것이 편할지 몰라도 듣는 사람은 고통스럽다. 웅얼거리지 마라. 웅얼거리는 습관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싶지 않으면 그냥 입을 다물어라.

6.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

이벤트 소싱과 더불어 최근 개발자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디자인 패턴인 CQRS의 창시자 그레그 영이 밝힌 일화다. 자기가 컨퍼런스에 스피커로 참가해서 처음 CQRS의 개념을 (그때는 아직 CQRS라는 이름이 붙지 않았다) 설명할 때 앞자리에 마틴 파울러나 도메인 주도 개발로 유명한 에릭 에반스 같은 대가들이 앉아 있었다. 강연이 끝나자 에릭 에반스가 다가와서 말했다. "네 프리젠테이션은 정말 엉망이었어." 1시간 동안 열심히 들었지만 무슨 말을 하는지 하나도 알아들을 수 없었다는 말을 덧붙였다. 그레그 영의 설명에 구체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앞에서 추상과 구체를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새로운 개념을 설명할 때는 추상만으로 부족하다. 추상에서 구체로, 다시 구체에서 추상으로 범주를 반복해서 넘나드는 변증법이 필요하다. 구체의 영역으로 내려왔을 때 디테일의 늪에 빠지는 것은 곤란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구체를 무시하고 추상만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적절한 예와 비유, 그리고 개발자에게는 간단하게나마 코드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7. 브리또의 역설

극도로 추상적인 개념인 모나드를 브리또 빵에 비유해서 설명하다가 폭망한 이야기는 업계의 전설이다. 자바스크립트의 거장인 더글라스 크록포드 같은 사람도 이런 저런 예를 들어 모나드를 설명하다가 스텝이 꼬이면서 망한 전력이 있다. 최근에 한빛에서 번역되어 나온 닐 포드의 '함수형 사고'도 비슷하다. 닐 포드가 함수형 패러다임을 설명하기 위해서 동원한 예가 오히려 이해를 가로막는다는 독자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말하는 사람 자신이 특정한 기술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과, 이해한 내용을 적절한 예를 동원해서 설명하는 것은 두 개의 독립적인 능력이다. 우리가 특정 기술을 잘 알기 위해서 노력과 훈련을 동원하는 것처럼, 좋은 설명을 위해 좋은 예를 동원하는 힘을 가지려면 그에 맞는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 기술을 이해했다고 해서 저절로 비유를 잘할 수 있는게 아니다. 두 개의 능력을 동일한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은 종종 붕괴된다.

지면 관계상 별도의 항목으로 다루지 못하지만 포함시키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 솔직하라. 대화 상대와 진심으로 공명하라. 허언하지 마라. 등등. 이런 이야기는 개발자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되었다기보다 커뮤니케이션 일반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므로 한 번 더 이야기하자. 개발자의 의사소통 능력은 코딩실력보다 중요하다. 코딩만 중요한 게 아니다. 우리 말로 말하고, 쓰고, 읽고, 듣는 것을 가벼이 여기지 마라. 좋은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명제다.

반응형
반응형

Monaco Editor: A browser based code editor


Monaco Editor is a browser-based code editor that powers VS Code. It’s well-documented and easy to integrate into your projects.

monaco editor




반응형
반응형

맥에 써드파티 SSD를 장착했을 때 TRIM을 활성화하는 3가지 방법

http://macnews.tistory.com/90
반응형
반응형
바둑적/인공지능적 관점에서 분석한 알파고 1,2국

 

http://t-robotics.blogspot.kr/2016/03/12.html#.VuJRGPmLSCo

 

 

알파고가 시사하는 인류 사회의 미래

 

인간이 모든 부분에서 우월하던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증기기관을 시작으로 '힘'에서 기계가 인간을 압도하는 시기가 왔고, 이후엔 인간의 우월함은 힘이 아닌 '지능'으로 믿어져왔다. 하지만 계산기의 발명 이후 더이상 '계산'이란 부분은 인간의 장점이 아니게 되었으며, 결국 인간의 장점은 계산이 아닌 '모호함 속에 지식을 찾아내는 능력' 또는 '창의성'이 아닌가 싶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정복당할 위기에 처했다. 머신러닝의 발달로 인해서 말이다. 모호함 속에서 지식을 추출하는 일을 머신러닝이 결국 해냈고, 나아가 알파고의 승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패턴인식이 기존의 논리적 인공지능 방식과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멀게만 보였던 '논리(연산)'와 '경험(데이터)'이 처음으로 성공적인 합체를 이루는 순간이다.

 

그럼 정말 모든 분야가 정복된 것일까? 그것은 아니다. 바둑은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보드게임"일 뿐, 세상인 이보다 훨씬 모호한 일들이 많다. 아직까지는 인간의 우위이다. 하지만 그 차이는 점점, 아주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결국 미래엔 '인공지능 위의 인간'과 '인공지능 아래의 인간'으로 나눠지는 시대가 올 것이다.

 

지금보다 많은 영역이 자동화 기기로 대체될 것이며, 오직 인공지능 위의 인간만이 엄청난 임금을 받는 일이 발생할 것이다. 노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일부만 노릴 수 있는 특권이 될 것이며, 미래사회는 '대부분이 고용되는 세상'을 벗어나 '대부분이 실업자인 세상'을 맞이해야 할 것이다. 기존엔 사회적 혁명이 민중의 피로 빚어졌겠지만 이젠 아니다. 테크놀로지의 역습은 이보다 더 큰 막을 수 없는 사회적 광풍을 몰고 올 것이다.

 

첨언하자면, 늘 주장하지만 인간이 우월함을 가지는 분야는 어쩌면 지능이 아닐지도 모른다. 인간의 지능은 저렴한 CPU, GPU 들의 연산 능력과 고도로 발달된 알고리즘에 의해 정복당할 위기에 처해있다. 물론 당장은 아니지만 내 살아 생전에는 꼭 일어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오래 살아야지...) 결국 머리를 써서 노동할 수 있는 인간은 극소수일 것이며, 드디어 기계과 인간의 힘과 지능을 모두 압도하는 제 2의 기계시대가 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우월함은 어디에 있을까? 필자는 바로 "움직임"에 있다고 생각한다.

DARPA Robotic Challenge에 나온 어리숙한 동작의 휴머노이드 로봇들을 본 사람들이라면 아마 동의할 것이다. 인간의 장점은 어쩌면 머리에 있지 않고 우리의 몸에 있다. 사람의 뇌는 엄청 많은 CPU와 GPU가 대체할 수 있을지 몰라도 사람 몸 속의 수많은 근육들과 이들의 협응은 아직 베일에 쌓여있다. 따라서 유연한 움직임을 결합한 지능이 인간의 우월점이 될 것이란 것이다. "인간처럼 사물을 인식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나요?"에 대한 정답은 가까워보이지만 "인간처럼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만들 수 있나요?"라는 답은 아직도 갈 길이 요원해 보인다.

 

물론 이것도 언젠간 정복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정복되기 전까지 인공지능이 대부분의 일자리를 뺏어간 상황에서 "몸을 쓰는 직업"들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며, 인공지능 이후엔 "움직임"을 정복하려는 기술적 도전이 있을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