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맥에 써드파티 SSD를 장착했을 때 TRIM을 활성화하는 3가지 방법

http://macnews.tistory.com/90
반응형
반응형
바둑적/인공지능적 관점에서 분석한 알파고 1,2국

 

http://t-robotics.blogspot.kr/2016/03/12.html#.VuJRGPmLSCo

 

 

알파고가 시사하는 인류 사회의 미래

 

인간이 모든 부분에서 우월하던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증기기관을 시작으로 '힘'에서 기계가 인간을 압도하는 시기가 왔고, 이후엔 인간의 우월함은 힘이 아닌 '지능'으로 믿어져왔다. 하지만 계산기의 발명 이후 더이상 '계산'이란 부분은 인간의 장점이 아니게 되었으며, 결국 인간의 장점은 계산이 아닌 '모호함 속에 지식을 찾아내는 능력' 또는 '창의성'이 아닌가 싶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정복당할 위기에 처했다. 머신러닝의 발달로 인해서 말이다. 모호함 속에서 지식을 추출하는 일을 머신러닝이 결국 해냈고, 나아가 알파고의 승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패턴인식이 기존의 논리적 인공지능 방식과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멀게만 보였던 '논리(연산)'와 '경험(데이터)'이 처음으로 성공적인 합체를 이루는 순간이다.

 

그럼 정말 모든 분야가 정복된 것일까? 그것은 아니다. 바둑은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보드게임"일 뿐, 세상인 이보다 훨씬 모호한 일들이 많다. 아직까지는 인간의 우위이다. 하지만 그 차이는 점점, 아주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결국 미래엔 '인공지능 위의 인간'과 '인공지능 아래의 인간'으로 나눠지는 시대가 올 것이다.

 

지금보다 많은 영역이 자동화 기기로 대체될 것이며, 오직 인공지능 위의 인간만이 엄청난 임금을 받는 일이 발생할 것이다. 노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일부만 노릴 수 있는 특권이 될 것이며, 미래사회는 '대부분이 고용되는 세상'을 벗어나 '대부분이 실업자인 세상'을 맞이해야 할 것이다. 기존엔 사회적 혁명이 민중의 피로 빚어졌겠지만 이젠 아니다. 테크놀로지의 역습은 이보다 더 큰 막을 수 없는 사회적 광풍을 몰고 올 것이다.

 

첨언하자면, 늘 주장하지만 인간이 우월함을 가지는 분야는 어쩌면 지능이 아닐지도 모른다. 인간의 지능은 저렴한 CPU, GPU 들의 연산 능력과 고도로 발달된 알고리즘에 의해 정복당할 위기에 처해있다. 물론 당장은 아니지만 내 살아 생전에는 꼭 일어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오래 살아야지...) 결국 머리를 써서 노동할 수 있는 인간은 극소수일 것이며, 드디어 기계과 인간의 힘과 지능을 모두 압도하는 제 2의 기계시대가 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우월함은 어디에 있을까? 필자는 바로 "움직임"에 있다고 생각한다.

DARPA Robotic Challenge에 나온 어리숙한 동작의 휴머노이드 로봇들을 본 사람들이라면 아마 동의할 것이다. 인간의 장점은 어쩌면 머리에 있지 않고 우리의 몸에 있다. 사람의 뇌는 엄청 많은 CPU와 GPU가 대체할 수 있을지 몰라도 사람 몸 속의 수많은 근육들과 이들의 협응은 아직 베일에 쌓여있다. 따라서 유연한 움직임을 결합한 지능이 인간의 우월점이 될 것이란 것이다. "인간처럼 사물을 인식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나요?"에 대한 정답은 가까워보이지만 "인간처럼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만들 수 있나요?"라는 답은 아직도 갈 길이 요원해 보인다.

 

물론 이것도 언젠간 정복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정복되기 전까지 인공지능이 대부분의 일자리를 뺏어간 상황에서 "몸을 쓰는 직업"들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며, 인공지능 이후엔 "움직임"을 정복하려는 기술적 도전이 있을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iTunes에서 Lockdown 폴더 재설정하기

https://support.apple.com/ko-kr/HT203887

OS X

  1. 컴퓨터에서 모든 iOS 장비를 뽑습니다.
  2. iTunes를 종료합니다.
  3. Finder에서 '이동' > '폴더로 이동'을 선택합니다.
  4. /var/db/lockdown을 입력하고 return 키를 누릅니다.
  5. '보기' >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Finder 윈도우에 알파벳 숫자 형식의 파일 이름을 가진 파일이 하나 이상 표시됩니다.
  6. Finder에서 '편집' > '전체 선택'을 선택합니다.
  7. '파일' > '휴지통으로 이동'을 선택합니다. 관리자 암호를 입력해야 할 수 있습니다.

OS X에서는 Lockdown 폴더 내 파일만 삭제하며 폴더 자체는 삭제하지 않습니다.

Windows 8

  1. 컴퓨터에서 모든 iOS 장비를 뽑습니다.
  2. iTunes를 종료합니다.
  3. 돋보기를 클릭합니다.
  4. devmgmt.msc를 %ProgramData%를 입력하고 Return 키를 누릅니다.
  5. 'Apple' 폴더를 이중 클릭합니다.
  6. 'Lockdown'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삭제'를 선택합니다.
  7. 컴퓨터와 iOS 장비를 재시동합니다. 재시동하지 않으면 장비를 다시 연결하여 iTunes를 여는 경우 '0xE80003' 오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Windows Vista 또는 Windows 7

  1. 컴퓨터에서 모든 iOS 장비를 뽑습니다.
  2. iTunes를 종료합니다.
  3. '시작'을 선택합니다.
  4. 검색 막대에 %ProgramData%를 입력하고 Return 키를 누릅니다.
  5. 'Apple' 폴더를 이중 클릭합니다.
  6. 'Lockdown'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삭제'를 선택합니다.
  7. 컴퓨터와 iOS 장비를 재시동합니다. 재시동하지 않으면 장비를 다시 연결하여 iTunes를 여는 경우 '0xE80003' 오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git - 간편 안내서

git을 시작하기 위한 간편 안내서. 어렵지 않아요 ;)

 

https://rogerdudler.github.io/git-guide/index.ko.html

 

 

git window download : https://git-for-windows.github.io/

 

 

 

 

링크 & 자료

그래픽 클라이언트

GitX (L) (OS X용,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한글 안내서

Pro Git

 

 

.

..............

 

 

 

.

 

반응형
반응형

훌륭한 직원을 그만두게 만드는 원인 9가지

 

 

1. 과로시킨다

일을 지나치게 많이 시키는 것만큼 좋은 직원들을 지치게 만드는 것은 없다. 제일 일 잘 하는 사람들을 열심히 굴리고 싶은 유혹은 강하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자주 유혹에 넘어간다. 좋은 직원들에게 일을 많이 시키는 건 복잡한 문제다. 그들은 좋은 성과를 내서 벌을 받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게 된다. 직원들을 과로시키는 것은 비생산적이기도 하다. 스탠포드의 새 연구에 의하면 일주일 노동 시간이 50시간을 넘어가면 시간당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55시간이 넘어가면 생산성이 너무 낮아져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된다.

재능 있는 직원들이 하는 일을 꼭 늘려야 한다면 그들의 지위도 올려주는 게 좋다. 재능 있는 직원들은 더 많은 업무량을 받아들이겠지만, 그 일을 하는 과정에서 숨이 막힐 것 같다면 직장을 그만둘 것이다. 임금 인상, 승진, 직함 변경 등을 곁들이면 업무량이 늘어나도 받아들일 수 있다. 재능이 있다는 이유로 업무량만 늘린다면 그들은 자신이 얻을 자격이 있는 것을 주는 다른 직장을 찾을 것이다.

 

 

2. 좋은 성과에 대한 기여를 알아보고 보상을 하지 않는다.

격려의 힘을 과소평가하기 쉽다. 특히 의욕을 타고난 가장 일 잘 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렇다. 누구나 응원을 좋아하고, 온 힘을 바쳐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더욱 그렇다. 관리자들은 직원들과 의사소통을 하며 그들의 기분을 좋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어떤 사람은 임금 인상을, 어떤 사람은 공개적인 칭찬을 좋아한다). 그리고 좋은 성과에 대한 보상을 해야 한다. 관리자들이 제대로 한다면 제일 일 잘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보상이 자주 주어질 것이다.

 

3. 직원들에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이직자 중 절반 이상이 상사와의 관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다. 현명한 회사들은 관리자들이 프로와 인간 사이의 균형을 잡게 한다. 직원의 성공을 축하하고, 힘든 시기를 겪을 때 공감하고,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는 한이 있더라도 도전하는 상사들이 있다. 직원들을 진정 아끼지 않는 관리자라면 언제나 이직률이 높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아무 관계가 없고 오직 업무 성과에만 신경 쓰는 사람과 하루에 8시간 이상을 일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4.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사람들에게 약속을 하면 그들을 아주 행복하게 하거나 그들이 떠나는 것을 보거나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 약속을 지키면 당신은 믿을 수 있고 정직한 사람(이 두 가지는 상사의 아주 중요한 자질이다)이라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에 직원들이 당신을 높이 사게 된다. 하지만 약속을 어기면 당신은 친한 척하고 무신경하며 무례한 사람으로 보이게 된다. 상사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데 다른 사람들이 약속을 지킬 필요가 있을까?

 

 

5. 부적절한 사람을 고용하고 승진시킨다.

열심히 일하는 훌륭한 직원들은 마음가짐이 비슷한 프로와 함께 일하고 싶어한다. 관리자들이 좋은 사람을 열심히 찾아내서 고용하지 않는다면, 같이 일해야 하는 사람들은 크게 의욕을 잃게 된다. 부적절한 사람을 승진시키는 것은 더욱 나쁘다. 죽어라 일했는데 승진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올라가는 것을 지켜봐야 한다면 그건 큰 모욕이다. 좋은 직원들이 떠날 만도 하다.

 

 

6. 직원들이 열정을 따르지 못하게 한다.

재능 있는 직원들은 열정적이다. 그들에게 자신의 열정을 따를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생산성과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간다. 하지만 사람들을 틀에 가둬놓고 싶어하는 관리자들이 많다. 그들은 직원들의 관심 범위를 넓히고 열정을 쫓게 하면 생산성이 떨어질까 봐 두려워한다. 그건 근거 없는 두려움이다. 직장에서 열정을 따를 수 있었던 사람들이 일반보다 5배 더 생산적인 즐거운 정신 상태를 경험한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

 

 

7. 기술을 키우게 해주지 못한다

직원들에게 무관심하지 않냐고 물으면 관리자들은 '신뢰', '자율성', '권한 부여' 등의 말로 변명한다.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직원의 재능이 얼마나 뛰어나든, 좋은 관리자들은 관리를 한다. 그들은 관심을 기울이고 늘 이야기를 듣고 반응한다.

관리에 시작은 있어도 끝은 없다. 재능 있는 직원을 두고 있다면 그들의 기술을 확장해갈 수 있는 영역을 찾아주는 것은 관리자의 몫이다. 가장 재능 있는 직원들은 피드백을 원한다. 재능이 덜한 직원들보다 더 강하게 원한다. 관리자는 계속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가장 뛰어난 직원들은 지루해 할 것이고 현실에 안주할 것이다.

 

 

8. 창의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가장 재능 있는 직원들은 하는 모든 일을 다 개선할 방법을 찾는다. 관리자가 현 상태가 편안하다는 이유로 변화하고 개선하지 못하게 하면 그들은 자기 직업을 싫어하게 된다. 타고난 창조욕을 우리에 가둔다면 그들을 제한할 뿐 아니라 관리자도 제한된다.

 

 

9. 지적으로 도전을 하지 못한다.

훌륭한 상사는 직원들에게 처음에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을 하게 한다. 재미없고 수적으로만 커지는 목표를 세우는 게 아니라, 아주 높은 목표를 세워 사람들이 적당히 요령을 피우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좋은 관리자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그들의 성공을 돕는다. 재능 있고 지적인 사람들이 너무 쉽거나 지루한 일을 하게 되면 그들은 지적으로 도전이 되는 다른 일을 찾는다.

 

 

결론

제일 일 잘 하는 사람들을 붙잡아두고 싶으면 그들을 어떻게 대할지 주의깊게 생각해 봐야 한다. 좋은 직원들은 강하지만, 재능이 있는 그들에겐 다른 선택지가 얼마든지 있다. 그들이 당신을 위해 일하고 싶어하게 만들어야 한다.

 

 

 

# http://www.huffingtonpost.com

 

.

반응형
반응형

호모 루덴스 페이 오프 이론(Homo Ludens Payoff Theory)


오픈소스 참여자들의 내적인 동기로 호모 루덴스 페이오프 라는 이유를 드는 학자들도 있다.


Homo Ludens : 유희하는 인간


이러한 동기는 많은 오픈소스 문서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기가 경제학적 분석을 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놀이의 인간 이론을 주장한 Huizinga는 놀이의 다섯 가지 필수 요소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놀이는 자유여야 한다.
  2. 놀이는 "통상적"이거나 "실제"삶이 아니어야 한다.
  3. 놀이는 "통상"의 삶에서 지역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4. 놀이는 질서를 창조한다. 질서는 절대적이고 최상의 것이다.
  5. 놀이는 물질적인 관심과 연결되어서는 아니고 그것에서 어떠한 이익도 취하여서는 아니 된다.


https://www.bloter.net/archives/210929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