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역시, 외부 라이브러리!상용 or 오픈소스? 상용 → 결국 비용의 문제 라이센스 비용 부담 (ex. Highcharts 10 developer $3,320) 오픈소스 → 어떤 라이브러를 사용할 것인가? 결정의 어려움 (많은 고려요소 필요)
9. 다양한 차트 라이브러리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참고] https://bestof.js.org/tags/chart
10. 기술 선택 가이드 성능 중요(빠른 대용량 데이터 처리), 상대적으로 디자인은 덜 중요한 경우 → Canvas (비트맵) 디자인 및 요소별 커스터마이징, 다양한 해상도(Zoom) 중요 → SVG (벡터) [참고] SVG 대 캔버스: 선택 방법
11. 영역별 다른 관점, 디자인 보단 실시간 변화 표현 중요 대용량 트래픽의 실시간(realtime) 변화 확인 수치의 변화가 중요. 기본 디자인 사용에 문제 없음 관리도구 등에 적합. 소수의 참여자(admin)
12. 영역별 다른 관점, 엔드 유저대상, 다양한 디자인/UX 중요 주로 정적인 데이터의 시각화 디자인과 UX 적용의 유연성 필요 대규모의 불특정 사용자(엔드유저)를 대상
13. 그간 네이버에서의 차트서비스들마다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 그리고 그로 인한 다양한 문제
14. 문제들 기술적 know-how 축적 안됨 상용 라이브러리 사용시 비용 문제 경험이 누적되지 않아 차트 적용(디자인/개발)시, 매번 반복되는 리소스의 낭비
15. 물론, 처음엔 자체 개발 그러나, 성공적이진 못했다. 서비스 적용 이후, 메인터넌스 잘 안됨 개발 주체의 부재상황(이직 등) 또는 다른 서비스 개발 등으로 인한 지원 어려움 타 라이브러리 대비 범용성 부족
16. 그렇다면 오픈소스 사용은 어떨까? 지속적 업데이트, 기술적 트렌드 반영, 안정성 등을 기대할 수 있으니 합리적이지 않을까? 향후 오픈소스 업데이트 지속되지 않을 경우, fork를 통한 유지 고려도 가능 공통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각각 다른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인한 관리 및 기술경험 누적되지 않는 이슈 해결 기대 [참고] 그간 사용되었던 다양한 차트 라이브러리들: , , , , , etc.NVD3 C3.js Chart.js Highcharts echarts
17. 직접 개발도 해봤고, 외부(상용/오픈)의 것도 사용해 봤으니 간접적인 형태로 접근해 보자 라이브러리의 발전은 생태계에 맡기자. 필요한 기능은 PR을 통해 해결 오픈소스는 일정 수준 검증 되었다. 다양한 문서, practice가 존재한다.
18. 그래서, 만들다. C3.JS 확장 라이브러리 개발
19. C3.JS 선정이유 가장 인기있는 D3.js 기반 한정 Popularity 비교: → GitHub star, 써드파티 앱, StackOverflow 질문 수, etc. 간결한 인터페이스 풍부한 문서, 예제 등 → 구글검색 결과: C3.js(22만) Vs. NVD3(6만4천) 네이버 서비스들에서 이미 다수에서 사용 엔드 유저 대상이므로, 디자인/기능 커스터마이징 용이성 중요
20. 개발 시작 고난의 시작
21. 개발시 겪게 되는 문제들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 인터렉션 커스터마이징 그리고 또 그리고 수많은...
22. 커뮤니케이션나의 이름은 무엇 인가요? 차트 개발 경험이 많이 없는 경우, 부르는 명칭도 제각각
23. 디자인 가이드 각 요소들의 크기와 위치를 가이드에 맞춰주세요.
24. OMG! SVG TEXT I'm SVG text 텍스트 스타일링은 가능 <br> 같은거 안됨. 줄바꿈은 새로운 노드로 위치(via attributes) 여백 등의 조정이 어려움 → transform:translate 또는 <tspan> 사용
25. 모바일 환경 C3.js는 모바일 환경 미지원 Swipe 제스처를 통한 데이터 확인 UX 필요
27. 최소값y축 기반 값에 따른 up/down 표현 0 1 2 3 4 100,000 100,500 101,000 101,500 102,000 102,500 103,000 103,500 104,000 0 1 2 3 4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110,000 위의 차트는 모두 동일한 값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28. 데이터는 없지만, 데이터는 표현해야 한다? 데이터가 0인 경우, 표현이 되어야 할까? 안되어야 할까?
29. C3+ C3.JS 확장 라이브러리를 만들다.
30. C3+? C3.js를 확장한 테마 형태의 디자인 차트 생성 C3.JS: 확장 + 기능 보완 + 테마 커스텀 축 지원 범례 템플릿 모바일 지원 테마를 통한 차트 생성 확장 옵션
31. 블로그/포스트 통계 적용[네이버 블로그] 블로그 통계가 새로워졌습니다! [네이버 포스트] 훨씬 좋아진 통계, 지금 제공합니다!
32. C3+ GOAL 매번 다른 기술/라이브러리를 다루는 반복적인 비용 제거 기본적 디자인(테마)을 활용해 커스터마이징(디자인)에 따른 비용 제거 기술적 경험 축적: SVG, D3, C3.js
33. BUT, 현실적 문제직면 장기적 관점에서, C3+ 발전을 위해 외부 공개 목표 하지만, 래퍼/애드온 형태의 지속적 발전과 효용성 의문 기반 라이브러리인 C3.js 지속성 의문 오픈소스의 발전에 기댈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C3.js의 더딘 발전(또는 중단?)으로 위기 직면
34. Re-usable, easy interface JavaScript chart library based on D3 v4+
35. 차트를 만들어 봅시다.
36. STEP 1 파일을 로딩 합니다.<!-- D3.js를 로딩 --> <script src="https://d3js.org/d3.v4.min.js"></script> <!-- billboard.js와 기본 스타일을 로딩 --> <script src="billboard.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billboard.css">
37. STEP 2 차트가 노출될 영역을 설정합니다. <div id="chart"></div>
40. 커스터마이징150개 이상의 제공 SVG 노드: 필요한 경우, 직접 핸들링 가능 CSS로 스타일링 가능 다양한 옵션
41. THE UNKNOWN WAY TO FORK에서 공개까지
42. C3.JS 프로젝트 참여 시도원 개발자 및 커미터에게 메일을 통한 문의
43. 일단 활동하자PR도 보내고 이슈들에 대한 답변도 하고 [참고] https://github.com/c3js/c3/issues/1924#issuecomment-271224192
44. 그렇게 몇 주가 흘렀지만 메일 회신도 없고, 프로젝트 ACTIVITY도 딱히 없는 상태...
45. 공개적 문의issue를 등록해 공개적으로 프로젝트 유지 문의 [참고] https://github.com/c3js/c3/issues/1965
46. 그리고, 그 다음날
47. 그래, FORK 하자'향후 오픈소스의 업데이트 지속 안될 경우, fork를 통한 유지'의 명제 당면한 C3.js의 미해결 과제들: D3 최신버전 v4+ 미지원 모바일 환경에 대한 지원 부족 오래된 개발 스타일 코드 (ES3) SVG polyfill 제거 등등...
48. 합리성, 당위성 & 신뢰 Fork 한다고 해서 사용자가 오진 않는다. 기존 커뮤니티에 당위성이 제시 필요 과연 이 사람(개발자)이 믿을만 한가?
49. THE JOURNEY GOING FROM D3 V3 TO V4 WITHIN TWO MONTHS
50. OOPS~, D3 V4v3 → v4: Breaking Changes 공식 문서( ) 있으나,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없고 만들지 않을거임. Changes in D3 4.0 [참고] https://github.com/d3/d3/issues/2893 D3 V4 - What's new?
51. D3 V4로 업그레이드변경된 모듈에 대한 목록을 모두 작성 v3 v4 d3.time.scale d3.scaleTime d3.svg.line() d3.line d3.behavior.drag d3.drag ... 모듈의 behavior 변경되어, 기존과 유사한 것도 있지만 다르게 처리되는 것들이 대다수 이전 버전과 변경된 문서를 읽고 비교하고, 테스트 하고...
52. 그외 작업들 차트 생성 흐름에 따른 오류들의 순차적 해결/변환 ES3 → ES6로 전환 병행 및 개발 환경 변경 API 문서화 ( ) 테스트 코드 업데이트(d3 v4 호환) 및 커버리지 개선 JSDoc
53. RELEASE 3주전 YAY~!, 이제 끝이 보인다.
54. 어느 날, 갑자기 두둥~ 갑작스러운 C3.js 차기 릴리즈 계획과 새로운 커미터 추가 [참고] https://github.com/c3js/c3/issues/2033
55. 고민이미 많은 진전을 통해 릴리즈를 앞둔상황 계획만을 통한 발전에 대한 의문 커미터 추가 후에도 활발한 활동 없어, 빠른 시일 내 D3 v4 지원 어렵다는 판단 계획대로 릴리즈 하자.
56. 오픈소스 네이밍원래는 C3+ 2.0으로 계획, 그러나 C3.js 연관성의 부정적 의견 'billboard'는 음악 차트 의미는 다르지만 '차트'를 연관 오랫동안 친숙한 이름 FE 프로젝트에서는 기 등록된 npm 모듈명 확인 필요 [참고] Open Source Project Name Checker
57. RELEASE!2017년 6월8일, v1.0.0 공개
58. 그러나, 공개한다고 갑자기 관심과 사용자가 몰려오진 않는다. 홍보전략 필요
59. 직접 발로뛰기 다수의 'ECHO' 사이트에 등록하기 JavaScript Live Echo JS Hacker News 많은 곳에서 해당 사이트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 재전파 한다.
60. 뉴스레터 소개 요청하기 JavaScript Weekly [참고] FE 관련 뉴스레터는 사실, 한 곳에서 발행 https://cooperpress.com/
61. 유력 매체 소개 JavaScript Weekly 소개 JavaScript Daily 소개
62. GITHUB TRENDING!JavaScript 언어부문 3위 기록 [참고] https://github.com/trending/javascript
63. GITHUB STAR 공개 후, 첫 6일간 700개 14일 후, 1,000개 도달! Star의 가치는? cdnjs 등록은 최소 200개 요구됨 Vuejs도 첫 6일간 615개 How I Got From 0 to 1 000 Stars on GitHub in Three Months
71. 신규 옵션들과 문서 C3+ 경험들을 통한 신규 옵션 꾸준한 문서 업데이트 API는 한번 작성되면 끝이 아니다. 정확한 의미와 동작을 기술 그리고 지속적 업데이트
72. 오픈소스의 중요한 요소들 안정성, 충분한 문서 그리고 책임감 [참고] http://opensourcesurvey.org/2017/
73. 오픈소스의 어려움누군가의 노력이 대가없이 제공되는 것. 그러나, 쉽게 비난 받기도 한다. https://twitter.com/spf13/status/907403135592878080
74. 의연하게 대처하기 You shouldn’t let strangers on the internet negatively affect your mood or your drive ... The trolls feed on your annoyance and discourse. ― Sindre Sorhus [참고] Between the Wires: An interview with open source developer Sindre Sorhus 1,139 npm Packages
75. WHY DO OPEN SOURCE? 세상에서 내가 도움 받은 것에 대해 다시 기여하는 의미있고 가치있는 행동 [참고] 네이버 오픈소스 가이드 GitHub Open Source Guides
76. SPECIAL THANKSMASAYUKI TANAKA AND ALL OF THE C3.JS CONTRIBUTORS, FOR YOUR GREAT EFFORTS AND WORKS TO THE COMMUNITY!
1. Realm은 어떻게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나? Leonardo YongUk Kim Java team
2. GreenDao ORMLite SQLite Realm
3. 첫번째 비결 Zero copy
4. Zero copy “최대한 복제를 미루는 것입니 다.”
5. 왜 Zero copy인가?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ng votes;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Votes() { return votes; }
public void setVotes(long votes) { this.votes = votes; } }
제로 카피 없는 세상을 생각해 봅시다.
6. 왜 Zero copy인가?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ng votes;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Votes() { return votes; }
public void setVotes(long votes) { this.votes = votes; }
}
ORM이나 JSON 파서가 채워줘야 해요.
ORM이나 JSON 파서가 채워줘야 해요.
7. 왜 Zero copy인가?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ng votes;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Votes() { return votes; } public void setVotes(long votes) { this.votes = votes; } } public List<City> hydrate() { List<City> results = new ArrayList<>(); while (hasNextItem) { City c = new City(); c.setName(name); c.setVotes(votes); results.add(c); } return results; } 너가 뭘 쓸지 몰라서 다 준비했어요.
8. 왜 Zero copy인가? public List<City> hydrate() { List<City> results = new ArrayList<>(); while (hasNextItem) { City c = new City(); c.setName(name); c.setVotes(votes);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results.add(c); } return results; } 너가 뭘 쓸지 몰라서 다 준비했어요. 수화라고 번역합니다. 객체의 필드를 채우는 일입니다.
9. 왜 Zero copy인가? public List<City> hydrate() { List<City> results = new ArrayList<>(); while (hasNextItem) { City c = new City(); c.setName(String.valueOf(name)); c.setVotes(Integer.parseInt(votes));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 invoke other setters */ results.add(c); } return results; } 어쩌면 매번 변환이 필요할지 몰라Yo~!
10. 왜 Zero copy인가?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ng votes;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Votes() { return votes; } public void setVotes(long votes) { this.votes = votes; } } 만약에 사용자가 getName만 필요하면? votes값의 변환과 설정은 필요없는 것 아닌가?
11. 왜 Zero copy인가?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ng votes;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public long getVotes() { return votes; } public void setVotes(long votes) { this.votes = votes; } } row에서 해당 column만 이제 가져옵시다. name을 채우지 맙시다. row의 해당 column에 기록합니다. “사용하지 않을지 모르는 항목을 위한 작업을 최대한 뒤로 미루자.”
12. 보일러플레이트
13. 보일러플레이트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ity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프로그래머에게 직관적인 코드
14. 보일러플레이트 public class City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LazyCity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프로그래머에게 비관적인 코드 꼭 이렇게 짜야하나요?
15. 보일러플레이트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ityRealmProxy extends City{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반복적인 작업은 기계에게 맡겨야 합니다. “Annotation Processing Tool (APT)” 생성된 클래스는 모두 RealmProxy가 붙습니다.Realm 객체는 RealmObject를 상속 받습니다.
16. 반복적인 작업은 기계에게 맡겨야 합니다.
“Annotation Processing Tool (APT)”
“어노테이션 프로세싱 툴은 어노테이션으로 부터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17. Man vs Code
City CityRealmProx y 사용자의 원본 객체 (RealmObject) 기계가 생성한 객체 (RealmProxy) 어노테이션 프로세싱 툴 (APT)
18. Man vs Code Realm의 APT는 AbstractProcessor를 상속한 RealmProcessor로 구현됩니다. AbstractProcessor +process(annotations, roundEnv) RealmProcessor RealmObject RealmProxy RealmObject RealmProxy RealmObject RealmProxy
19. Man vs Code writer.emitAnnotation("Override") .beginMethod( "void", // return type "copy", // method name EnumSet.of(Modifier.PROTECTED, Modifier.FINAL), // modifiers "ColumnInfo", "rawSrc", "ColumnInfo", "rawDst"); // parameters writer.emitStatement("final %1$s src = (%1$s) rawSrc", columnInfoClassName()); writer.emitStatement("final %1$s dst = (%1$s) rawDst", columnInfoClassName()); for (VariableElement variableElement : metadata.getFields()) { writer.emitStatement("dst.%1$s = src.%1$s", columnIndexVarName(variableElement)); } writer.endMethod(); “마법은 없습니다. Java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20. Man vs Code “마법은 없습니다. Java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1. StringBuilder 2. Template engines 1. Apache Velocity (7년만에 부활) 2. Apache FreeMaker 3. Pebble Template Engine 4. Thymeleaf Template Engine 3. Code generators 1. JavaPoet 2. JavaWriter (개발 중단. Java Poet이 후속작) 3. jcodemodel (2005년 경부터 개발 중단) 당신은 용자 코드도 찍어내면 그만? 내가 코드를 짜는 건지 코드가 날 짜는 건지. 튜토리얼이 많은 애가 개발이 잘 안돼. 그래도 스퀘어가 제일 낫지 않나?
21. APT가 해법인가?
22. APT가 해법인가?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ityRealmProxy extends City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APT는 어떤 메서드가 어떤 역할인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23. APT가 해법인가?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ityRealmProxy extends City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암묵적인 컨벤션을 가정합니다. 구 버전의 Realm에서는 항상 표준적인 이름의 getter와 setter를 강제합니다. name이란 필드에 대해 getName과 setName을 쓰지 않을까요?
24. APT가 해법인가?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public class CityRealmProxy extends City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부모가 name 필드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을지 예상할 수 없습니다. 구 버전의 Realm은 커스텀 동작을 금지하고 부모 클래스의 동작을 무시했습니다. City의 getName은 어떤 부가 작업을 하고 있을까요? City의 setName은 어떤 부가 작업을 하고 있을까요?
25. 바이트 코드 뒤집기
26. 바이트 코드 뒤집기 City name CityRealmProx y CityRealmProxyInterface +realmGet$name: String +realmSet$name(name) ZeroCopy관련 객체를 위한 인터페이스 name 필드에 접근하는 모든 코드 대신 realmGet$name과 realmSet$name이 호출되도록 변조합 니다. realmGet$name과 realmSet$name를 오버라이드해서 Zero copy 부분을 구현합니다. APT로 코드 생성 인터페이스 구현
27. 바이트 코드 뒤집기 public class CityRealmProxy extends City implements CityRealmProxyInterface { private final int COLUMN_NAME = 0; public String realmGet$name() { return (String) getRow().getSting(COLUMN_NAME); } public void realmSet$Name(String name) { getRow().setString(COLUMN_NAME, name); } } 내부용 게터와 세터는 RealmProxy 아래 생성됩니다.
28. 바이트 코드 뒤집기 public class City implements CityRealmProxyInterface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String) realmGet$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realmSet$name(name); } public String realm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realm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바이트코드가 변조된 City객체 입니다.”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29. 바이트 코드 뒤집기 public class City implements CityRealmProxyInterface { public String name; public String realm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realm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이제는 getter와 setter가 없어도 됩니다.” public class City extends RealmObject { public String name; } name 필드에 대한 접근은 모두 게터와 세터 호출로 변경됩니다.
30. 바이트 코드 뒤집기 City CIty 사용자가 생성한 객체 바이트 코드 변조된 객체 Transformer “Transformer는 빌드된 결과를 변조합니다.”
31. 바이트 코드 뒤집기 class RealmTransformer extends Transform { @Override void transform(Context context, Collection<TransformInput> inputs, Collection<TransformInput> referencedInputs, TransformOutputProvider outputProvider, boolean isIncremental) throws IOException, TransformException, InterruptedException { … } } 이 트랜스포머가 필드에 대한 접근들을 모두 Realm의 게터와 세터로 변조합니다.
32. 바이트 코드 뒤집기 “마법은 없습니다. 바이트 코드를 변조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1. ASM 2. BCEL 3. CGLIB 4. Javassist 5. AspectJ 중간 정도 난이도의 도구. Realm이 사용.
33. 다른 DB도 Zero copy?
34. 다른 DB도 Zero copy? SQLite 시스템 적인 경계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RM
35. 다른 DB도 Zero copy? SQLite 시스템 적인 경계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RM 이 영역까지만 lazy하게 미룰 수 있음.
36. 다른 DB도 Zero copy? SQLite 시스템 적인 경계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bject ORM 경계를 넘어서 lazy한 처리는 어려움.
37.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executeTransaction(new Realm.Transaction()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Realm realm) { Person person = realm.createObject(Person.class); person.setId(1); person.setName("Young Person"); person.setAge(14); } });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inal Person person = people.first();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Realm은 생각보다 더 게으릅니다.”
38.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executeTransaction(new Realm.Transaction()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Realm realm) { Person person = realm.createObject(Person.class); person.setId(1); person.setName("Young Person"); person.setAge(14); } });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inal Person person = people.first();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Realm 은 오프셋도 리미트도 없습니다.
39.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executeTransaction(new Realm.Transaction()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Realm realm) { Person person = realm.createObject(Person.class); person.setId(1); person.setName("Young Person"); person.setAge(14); } });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inal Person person = people.first();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이 시점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받아오지 않습니다.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수한 리스트 구조를 가지고 있습 니다.
40.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executeTransaction(new Realm.Transaction()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Realm realm) { Person person = realm.createObject(Person.class); person.setId(1); person.setName("Young Person"); person.setAge(14); } });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inal Person person = people.first();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이 시점에 첫 번째 사람에 대한 메타 데이터만 가지고 옵니다.
41.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executeTransaction(new Realm.Transaction() { @Override public void execute(Realm realm) { Person person = realm.createObject(Person.class); person.setId(1); person.setName("Young Person"); person.setAge(14); } });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inal Person person = people.first();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이 시점에 첫 번째 사람의 정보 중 name만 접근합니다.
42. 더 많은 Zero copy 가능성 Realm은 lazy하게 동작하기 위해 특별한 클래스를 가집니다. 1. RealmObject 2. RealmResults 3. RealmList DB 엔진의 지원 때문에 전체적으로 게을러질 수 있습니다.
43. 조금 더 빨라지기 위 해
44.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final RealmResults<Person> people = realm.where(Person.class).findAll(); for (Person person : people) { final String name = person.name; } 객체의 전체 필드가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을 생각해봅시다.
45.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10 30 40 3 4 6 10 Row 3 전통적인 Row 우선 B-Tree리프가 10번째 Row까지 가진다는 것을 의미 nam e votes 패딩 리프는 보통 연속된 Array Row에 속한 모든 Column
46.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10 30 40 3 4 6 10 Row 3 연속된 name 검색 nam e votes 패딩 인접한 데이터는 name이 아니다.
47.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캐시를 생각해봅시다. (3회 적중) nam e votes 패딩 nam e votes 패딩 nam e votes 패딩 nam e votes 패딩 캐시 라인 캐시 히트 캐시 미스
48.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구조를 컬럼 기준으로 바꾸어봅시다.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캐시 라인
49.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구조를 컬럼 기준으로 바꾸어봅시다. (12회 적중)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캐시 라인 캐시 히트 캐시 미스
50. 조금 더 빨라지기 위해 4 8 12 Realm의 Column 우선 B-Tree nam e nam e nam e nam e 리프가 4번째 컬럼까지 가진다는 것을 의미 동질적인 데이터이기에 예측가능한 사이즈
51. 4 8 12 Realm의 전체 트리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votes Perso n Group (DB와 같은 개념) Table Column B-tree 4 8 12 vote votes votes votes Ro ot
52. Root가 있는 이유?
53. Root가 있는 이유? 4 8 12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votes Perso n 4 8 12 vote votes votes votes Ro ot 전체 Group을 하나의 스냅샷으로 인 지.
54. Root가 있는 이유? 현재 버전을 포인팅 Ro ot 현재 버전 삭제될 과거 버전 “Multi Version Concurrency Control” Git, 현대적인 DBMS에서 사용.
55. Root가 있는 이유? Ro ot 다른 사용자는 현재 버전에 Lock 없이 접근. 새 버전을 작성중 . 읽기는 언제나 비 배타적입니다.
56. Root가 있는 이유? Ro ot 새로 작성된 버전으로 옮겨가는 것만 락이 필요합 니다. Ro ot 쓰기만 배타적입니다. 다른 사용자는 여전히 이전 버전에 접근 중. 루트를 이동
57. Root가 있는 이유? "MVVC는 효율을 위해 사용성을 일부 희생합니다.” 1. 읽기는 Lock이 필요하지 않으며 언제나 가능합니다. 2. 쓰기는 Lock이 필요합니다. 3. 객체는 어떤 시점을 참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스레드로 전달될 수 없습니 4. 다른 스레드에서 객체를 참고하는 것은 즉시 이루어집니다. 프로그래머에게 직관적이지는 않습니다.
58. 이전 버전을 읽을 가 능성?
59. 이전 버전을 읽을 가능성? Ro ot 다른 사용자는 현재 버전에 Lock 없이 접근. 새 버전을 작성중 . “다른 사용자는 여전히 구 버전을 접근하게 되지 않나요?”
60. 이전 버전을 읽을 가능성? Person 객체 (Leonardo) v1 Person 객체 (Leonardo) v1 스레드 A 스레드 B Person 객체 (Leonardo) v2 1. 스레드 A에서 Person 객체 업데이트. 2. 업데이트 내역이 전파. Person 객체 (Leonardo) v2 3. 스레드 B의 라이브 객체가 자동 업데이 트. 3. 스레드 B의 객체의 리스너에게 모두 업데이트 내용을 통보.
61. 추가적인 최적화
62. 추가적인 최적화 4 8 12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votes Perso n 배열은 얼마나 많은 공간을 차지할까? 4 8 12 vote votes votes votes Ro ot
63. 추가적인 최적화 0 1 0 1 votes가 최대 1인 경우 “최대 값이 1인 경우 4개의 votes는 4bits를 차지합니다.” Boolean 타입이 가장 효율적으로 저장됩니다.
64. 추가적인 최적화 00 01 10 01 최대 값이 2로 변경되었습니다. “최대 값이 2인 경우 4개의 votes는 8bits를 차지합니다.”
65. 추가적인 최적화 000 101 010 001 최대 값이 5로 변경되었습니다. “최대 값이 5인 경우 4개의 votes는 12bits를 차지합니다.”
66. 추가적인 최적화 4 8 12 노드의 실제 구조 nam e nam e nam e nam e nam e votes Perso n 4 8 12 vote votes votes votes Ro ot 4 8 12 개별 노드는 3개의 배열을 사용합니 다. 유연하지만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67. 추가적인 최적화 nam e votes Perso n vote votes votes votes 4 8 12 만약에 데이터가 뒤로만 추가된다면 더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 다. 모든 노드가 다 차있다면 처음과 마지막 인덱스만 있으면 됩 니다.
68. 추가적인 최적화 nam e votes Perso n vote votes votes votes 4 12 물론 이러한 꿈은 삽입과 삭제가 이뤄지면 물거품이 됩니다. 모든 노드가 다 차있다면 처음과 마지막 인덱스만 있으면 됩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