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어제의 나를 이겨야 한다.
매일 1%의 개선을 1년간 지속한 것만으로도
1.01을 365일로 제곱한 수치,
무려 37.78배 만큼 실력이 늘어난다.
항상 개선하고 항상 전진하면
평범한 사람도 비범한 사람이 될 수 있다.
- 미키타니 히로시, 라쿠텐 회장 (‘라쿠텐 스타일’에서)


하룻밤 사이 위대한 인물로 성장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어제의 나를 이기려는 목표를 가지고 매일 조금씩
나아지는 것이 쌓이고 쌓여 성공의 문이 열리는 것입니다.
어제보다 조금이라도 나은 삶을
지속적으로 살아갈 수만 있다면,
보통 사람, 누구나 다 비범한 인물이 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일 년 내내 화를 내는
소리나 공격적인 소리를 듣는 것은
결코 좋은 일이 아니다. 공격적인 말들은
늘 사람의 마음 깊은 곳을 쿡쿡 자극하는 잡음이 되어,
텔레비전 화면에 자막이 흐르듯이 마음 위를 달려
지나간다. 그것의 미미한 영향들이 쌓여
언젠가는 마음 깊이 새겨진다. 그리고
어느 순간 그 사람에게서도
공격적인 말들이 쏟아져 나온다.


- 코이케 류노스케의《생각 버리기 연습》중에서 -


* 화를 내거나
공격적인 소리를 멀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살면서 만나는 크고 작은 소리들을 어떻게
녹이고 바라보는지에 따라 나의 목소리, 내 영혼의
소리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니 뜨끔해집니다.
나의 마음과 영혼에 불평과 화의 소음이 아닌
사랑과 감사의 음악이 흐르기를, 그 음악이
클래식이 되어 터지는 순간을 그려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뉴턴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침대에 쪼그리고 앉아 밤사이
우주에서 떨어진 생각들을 반추하곤 했다.
그럴 땐 식사하라는 소리도 듣지 못했다. 
이처럼 우주에 존재하는 가능성을 믿고
바라보는 사람에겐 바라보는 대로
나타나는 것이다.


- 김상운의《왓칭》중에서 -


* 영어가 귀에 들리십니까?
공부했으면 들리고, 아니면 안 들립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를 이해하십니까?
탐구했으면 이해하고, 아니면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주에서는 이 시각에도 무수히 많은 생각들이
우박처럼 쏟아져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부하고 탐구한 사람에게만, 늘 깨어
총총한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에게만
들려 '내 것'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연산자

산술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단항연산자], [지수연산자],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몫], [더하기, 빼기] 순위

단항연산자: 피연산자가 2개가 아닌 1개만 있는 연산자(+,-)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몫: *, /, %, // 로 결합순서가 왼쪽에서 오른쪽

지수연산자: ** (2**3은 2의 3승을 뜻함)로 결합순서가 오른쪽에서 왼쪽

더하기, 빼기: +, - 로 결합순서가 왼쪽에서 오른쪽

정수 + 실수 = 실수

정수 / 실수 = 실수

print divmod(a,b) = (a/b, a%b)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 객체가 지는 값의 크기(대소)를 비교하여 True 또는 False로 반환함

a==b: a와 b가 같다.

a!=b: a와 b가 다르다.

a>b: a가 b보다 크다.

a<=b: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

문자열, 튜플, 리스트의 관계 연산 비교는 일반 사전 순서로 비교

사전에서 앞에 나오는 값이 작은 값으로 평가

서로 다른 자료형 간의 크기 비교 시 ‘숫자<사전<리스트<문자열<튜플’ 순으로 커짐

is 함수: a is b는 a가b다는 의미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 부울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으로 진리값인 True 또는 False를 취해 논리적인 계산을 수행하는 연산자

논리 연산자의 종류: and, or, not

논리 연산자 자체가 값을 반환하지 않고, 논리 연산을 따라 최종적으로 평가 되어진 값이 반환됨

진리값에 해당하는 True와 False는 다른 사칙 연산자를 만나면 다음과 같이 평가됨
  True: 1
  False: 0

bool() 내장함수: 수치 값을 진리 값으로 교환 가능

값이 없는 빈 객체나 None 객체는 False로 평가됨

실제 코드 개발 시 연산자 우선순위에 많은 의존 없이 괄호()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음

반응형
반응형
가끔은 일을 떠나 휴식을 취하라.
쉬지 않고 계속 일에 매달려 있으면
판단력이 흐려질 것이다.
좀 멀리로 떠나라.
그러면 더 넓은 시각에서 일을 볼 수 있고
조화가 맞지 않는 부분이 더 쉽게 눈에 띌 것이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


 

기억심리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휴식이
기억력을 향상시킨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한 시간 공부하고 10분 휴식하면
공부한 내용을 더 많이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회상효과(reminiscence effect)라고 합니다.
스트레스와 회복사이의 균형은
개인과 조직 모두가
높은 성과를 올리는데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작은 일이지만
우리만의 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한번 쓰고 버리는 매정함보다 튼튼한 제품을
잘 사서 오래 쓰는 즐거움을 누리자.
우리 삶이 일회용이 아니듯,
한번 맺은 인연이 일회용이 아니듯,
우리 곁에 온 물건들에게도
깊은 애정을 주자.


- 박경화의《도시에서 생태적으로 사는 법》중에서 -


* 우리의 만남과 사랑,
한번으로 끝나는 일회용이 아닙니다.
내 곁에 온 물건 하나에도 깊은 애정이 필요한데
하물며 내 곁에 머무는 사람에게 무슨 말이
더 필요하겠습니까. 사람은 '일회용'이
아닙니다. 오래 이어지는 인연이
참 아름답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