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항상 뭔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말하자면 일상 속의 꿈꾸는 시간, 일이 정리되고 재편되는 시간과 같다.
항상 일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깨어있으려고만 한다면 이런 현상이 벌어질 수 없다.
- 브라이언 아노


윌리엄 제임스는 “열정과 쉴 새 없이 바쁜 생활과 근심은 강함의 징표가 아니다.
이는 나약함과 열악한 환경의 징표다”라고 말했습니다.
일을 하면서 휴식 시간을 확실하게 가져야 하는 이유는,
특정 방향으로 내달릴 가속도를 얻기 위함이며,
그래야 또 다른 가속도가 저절로 생겨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휴식은 절대 필요한 기술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엄마는
내가 하는 모든 것을 말렸다.
인형놀이를 해도, 친구들에게 편지를 써도,
그림을 그려도, 심지어 책 읽는 것도 못하게 했다.
지금도 뭘 하고 싶을 때마다 엄마 눈치부터 보게 된다.
엄마가 어떻게 생각할까, 엄마가 핀잔 주지 않을까,
무시하지 않을까.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고
이사를 할 때도, 대학원에 진학할 때도
엄마는 늘 "그런 걸 왜 하냐"며 못마땅해했다.
그래서 가끔씩 엄마에게서 멀리,
멀리 떠나고 싶었다.


- 박지현의《바람이 분다. 걸어야겠다》중에서 -


* 엄마의 말 한마디는
자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의 말, 응원하는 말이면 다행입니다.
부정의 말, 나무라고 꾸중하고 무시하는 말이면
자칫 평생 트라우마로 남습니다. 심지어 엄마로부터
멀리 떠나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합니다. 말은
에너지입니다. "그런 걸 왜 하느냐"라는 질문은
모든 에너지의 원천부터 차단하는,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말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치심  (0) 2022.12.23
걸음마  (0) 2022.12.22
3~4년이 젊어진다  (0) 2022.12.20
호기심 천국  (0) 2022.12.19
불안할 때는 어떻게 하죠?  (0) 2022.12.19
반응형

[python] 환경변수 관련.  os, sys

import os
import sys
 


print(" os 환경변수 environ \n")
print(" * 모든 시스템 환경 변수 ") 
print(" os.environ()  : ", os.environ)

print('')
for key, value in os.environ.items():
    print('{}: {}'.format(key, value))


print(" * 특정 시스템 환경 변수 ")    
print(" os.environ('JAVA_HOME')  : ", os.environ['JAVA_HOME'])

# 존재하지 않는 환경 변수를 가져오면, 에러는 발생하지 않고 None이 리턴
result = os.environ.get('NOT_EXISTS')
print(result)

print(" * 현재 코드가 실행되는 디렉토리까지 문자열 ")
print(" os.getcwd() : ", os.getcwd())

print(" * 현재 실행 파이썬 스크립트의 PID 출력 ")
print(" os.getpid() : ",  os.getpid() )


print(" * 현재 워킹 디렉토리 변경  ")
print(" os.chdir() : " )
print(" import os ")
print(" print(os.getcwd()) #/Users/projects/workspace ")
print(" os.chdir( os.getcwd()+'/scripts/src' ) ")
print(" print(os.getcwd()) #/Users/projects/workspace/scripts/src ")

print(" * 디렉토리 만들기 : mkdir(path[,mode]) ")
#_result = os.mkdir("test_dir")
#print(_result)


print(" * path에 존재하는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리스트 반환 ")
_result = os.listdir(".")
print(" os.listdir('.') : ",  _result )
print('')
for x in _result:
    print('{}'.format(x))

# 인자로 전달된 디렉토리를 재귀적 생성
#  - 이미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나 **권한이 없어 생성할 수 없는 경우**는 **예외**발생
print(" * 디렉토리 만들기 : makedirs(path[,mode]) 이미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나 **권한이 없어 생성할 수 없는 경우**는 **예외**발생")
#_result = os.makedirs("test_dir")


print(" * 하위 폴더를 for문으로 탐색 : os.walk(path) ", " 기본적으로 top-down임. bottom-up으로 하고 싶다면 ")

if __name__ == "__main__":
    root_dir = "./"
    for (root, dirs, files) in os.walk(root_dir):
        print("root : " + root)
        if len(dirs) > 0:
            for dir_name in dirs:
                print("dir: " + dir_name)

        if len(files) > 0:
            for file_name in files:
                print("file: " + file_name)

os.walk(root_dir, topdown=False)  #bottom-up으로 하고 싶다면,

print(" * 'A'+'/'+'B' 로 문자열을 return 한다. : os.path.join('A','B) ")

print(" os.path.isdir(): directory인가? ")
print(os.getcwd(), " ==> " , os.path.isdir(os.getcwd()) )

print(" os.path.abspath(path): abs 경로 반환  ")
print(" 현재 ./sketchpy_001.py 파일의 절대경로 : ", os.path.abspath("./sketchpy_001.py"))


print(" os.path.dirname(path) : 경로의 제일 뒤 빼고 반환  ")

print(" os.path.exists(path) : 지정한 path에 파일,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유(True)/무(False) 리턴  ")
print("os.path.isfile(path)  ")
print("os.path.isdir(path)  ")
print("os.path.isabs()  ")
print("")

import glob

print( " glob.glob(os.getcwd()) : ls와 유사한 기능을한다, 정규식 사용 가능 (* ? [0-9])" )
print(" (workspace) $ ls = glob.glob(os.getcwd()+'/*'))  ")
print(" list로 return  ")
print( glob.glob(os.getcwd()))
print( glob.glob(os.getcwd() + "/*"))

print( "" )
print(" glob.iglob(path)  ")
print("    - glob.glob와 다르게 iterator로 반환  ")
print("    - list로 담지 않기 때문에 결과가 매우 많다면 유용함  ")
for i in glob.iglob(os.getcwd()+'/*'):
    print(i)
반응형
반응형

[PYTHON] 파일 인코딩 관련

 

UTF-8

UTF-8-SIG

""" 
    인코딩 정보
"""
import os
import sys 
 
 
#작업하는 경로(위치)가 어디인지 확인
#print(os.getcwd())
prePath_in = "./Project/" 
prePath_out = "./Project/" 



#1. 기본 내용적기

# 기본 텍스트 신규 입력
file = open("test.txt", "w")
file.write("내용입력")
file.close()

# 한글깨짐 방지 ENCODING UTF-8
file = open("test.txt", "w", encoding="UTF-8")
file.write("내용입력")
file.close()

# 한글깨짐 방지2 ENCODING UTF-8
# txt는 UTF-8로도 충분한데 csv는 UTF-8로만 하면 읽을땐 다른걸로 읽을 경우 깨짐 현상 발생
file = open("test.csv", "w", encoding="UTF-8-sig")
file.write("test,test,test\n")
file.write("잘되나,안된다,오된다\n")
file.close()

# 참고
# Permission denied: 'test.csv' 가 나온다
# 파일 열고 있어서 수정할 수 없다는거다. 꺼주자.

# 추가 입력
file = open("test.txt", "a")
file.write("추가 내용입력")
file.close()


# 읽기
file = open("test.txt", "r", encoding="UTF-8")
print(file.read())
file.close()

# with 함수 : open & close 포함 
with open("test.txt", "w", encoding="UTF-8") as file:
    file.write("내용입력")
with open("test.txt", "r", encoding="UTF-8") as file:
    print(file.read())
 

 

#2. print 한거 txt 파일에 넣기

# sys.stdout 함수 사용하여 log 저장하기
f = open('test.txt','w', encoding='utf-8') # 로그 저장할 file open
sys.stdout = f
print("내용입력")
sys.stdout = sys.__stdout__   # 원래의 stdout으로 복구
f.close()                     # 로그 파일 닫기

#이렇게 해도 되긴 하는데.. 프로그램이 종료 안되면 문제가 생길듯?
sys.stdout = open('test.txt','w', encoding='utf-8')
print("내용입력")
반응형
반응형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 존 고든


높은 꿈은 필연적으로 오르막길 일수 밖에 없습니다.
꿈은 오르막인데 쉽고 편한 내리막길만 찾는 것이
어쩌면 우리네 자연법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연법칙을 거슬러 오르막을 올라가야 정상에 도달하게 됩니다.
“계속 실패하는 것은 오르막길을 걷고 있는 까닭이고,
더 이상 실패하지 않는 것은 내리막길에 접어든 때문입니다.”
(조정민 목사, ‘고난이 선물이다’에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