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그러니까 서로 닮았다는 점,
서로 오랜 기간 함께 살아왔다는 점은
공감의 메커니즘을 강화하는 요인이 된다.
공감의 단계에서 더 나아가 다른 사람과
진정한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우리는
우리 자신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뭔가를 배워나가게 된다.


- 엘사 푼셋의《인생은, 단 한번의 여행이다》중에서 -


* 공감하면 닮아갑니다.
같은 곳에서, 같이 먹고, 같이 생각하고,
같이 바라보면 어느덧 한몸처럼 됩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타인에 대한 보다 더 깊은 이해가 더해질 때
서로 닮아가는 공감의 울타리가
더욱 넓혀지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의 문턱  (0) 2016.06.15
영성의 시대  (0) 2016.06.14
비움과 채움, 그리고 해독  (0) 2016.06.13
다시 일어나라  (0) 2016.06.10
나의 장미꽃 한 송이  (0) 2016.06.09
반응형

'이해'(Understand)란
말 그대로 'Under'(낮은 곳에)+'Stand'(서는)
일입니다. 가장 낮은 곳에 서면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 없고, 상대방의 고통을 이해하면
누구와도 공감하게 됩니다. 어쩌면,
진정한 치유는 거기서부터
시작되는지도 모릅니다.


- 김해영의《당신도 언젠가는 빅폴을 만날거야》중에서 -


* 이해하면
풀리기 시작합니다.
공감하면 하나가 됩니다.
내가 상대방보다 한 발 낮은 곳에 설 때
가능합니다.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진정한 치유의 시작이고
끝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  (0) 2014.11.20
6초 포옹  (0) 2014.11.19
그대 목소리를 듣는다  (0) 2014.11.17
인생 나이테  (0) 2014.11.15
사교적인 사람  (0) 2014.11.14
반응형

우리는 사랑과
인생을 말하기 전에,
'공감'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어떤 식으로 사랑을 표현하든,
사랑의 근간이 되는 것은 공감이기 때문이다.
이 '공감'의 메커니즘은, 우리가
우리와 닮은 사람들에게
더 쉽게 공감하도록
만든다.


- 엘사 푼셋의《인생은, 단 한번의 여행이다》중에서 -


* 공감이
공감을 낳고
사랑의 파동을 일으킵니다.
공감 없는 사랑은 모래 위의 집과 같습니다.
언제 허물어질지 모릅니다. 공감하기 위해서는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하고, 귀 기울여야 하고,
혼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것이 공감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바라보는 시간  (0) 2014.11.13
할머니의 품, 나만의 안전지대  (0) 2014.11.12
첫 만남, 첫 시선  (0) 2014.11.10
떠나야 할 순간  (0) 2014.11.08
괴테의 촌철살인 어록  (0) 2014.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