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tworld.co.kr/numbers/82001/272619 넘버스 Numbers - 1000대 기업 연봉 정보 빅데이터 분석 결과 1111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www.itworld.co.kr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1000대 기업 연봉정보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산업은 ▲은행·금융업(9084만원), 다음은 ▲IT·웹·통신(7587만원)으로 20%나 차이가 났다. 이외에는 ▲미디어·디자인(7411만원), ▲건설업(6832만원), ▲제조·화학(6802만원), ▲판매·유..
기업의 경영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진리가 있다면 그것은 혼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저마다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 J. 어윈 밀러,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경영’에서 몰입(flow)으로 유명한 긍정심리학의 대가인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는 ‘직원들이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수익 증대의 수단이자 이들의 재능을 착취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직원 개인이 발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행복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상사가 직원들에게 최선을 다하라고 독려하는 것은 조직을 위해 개인을 희생하라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합니다.
시장에서 기업 위치는 경사면에 놓인 것과 같다. 기업이 커질수록 뒤로 밀리는 힘도 커진다.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려면 관리능력을 키워야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경사면 위로 공이 올라가게 해야 하는데 이 힘은 바로 창의력이다. - 장루이민, 하이얼 그룹 회장 상상하는 것은 뭐든 지 이룰 수 있는 상상력의 시대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에 속속 올라서면서 이제는 창조와 상상력으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 때가 된 것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재능을 가진 우리 민족에게 더 없이 소중한 기회입니다. 창조와 상상을 화두로 삼는 한 해가 되기 바랍니다.
정신의학에선 '적정 긴장'이란 말이 있다.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는 적정한 수준의 긴장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불안이 에너지란 의미도 여기서 비롯된다. - 이시형의《걸어가듯 달려가라》중에서 - * '적정 긴장'이란 말이 새삼 매우 절실하게 다가옵니다. 너무 많이 긴장하는 것도 좋지 않지만 너무 풀어져 안이한 상태는 더 안 좋습니다. 적정한 정도의 긴장을 팽팽하게 유지해야 개인도 기업도 성공할 수 있고, 국가 공동체도 건강하게 존속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최고 목표인 이익은 나쁜 이익과 좋은 이익으로 구분된다. 고객과의 관계를 희생해가며 얻은 이익은 나쁜 이익이다.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대부분은 좋은 이익과 나쁜 이익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 좋은 이익을 내는 기업의 고객은 친구나 동료들에게 매우 적극적으로 회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추천한다. - 프레드 라이켈트, 베인앤컴퍼니 로열티 프래틱스 부문 대표 “저는 과거 170여 개의 사업을 시작할 때마다 오직 사회에 대한 책임과 명성만을 생각했습니다. 그랬더니 돈이 따라오지 뭡니까?” 버진그룹 리차드 브랜슨 회장의 말입니다. 이제는 이윤극대화가 아닌, ‘좋은 이익 극대화’가 기업의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직원, 고객, 사회 등 이해관계자 모두의 행복을 추구해야 합니다.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만이 매장에서의 실상을 제대로 알고 있다. 최고 아이디어는 평사원으로부터 나온다. 조직 하부에 까지 책임감을 부여하라. 그리고 그 안에서 아이디어가 솟아나도록 하라. 당신은 동료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들어야만’ 한다. - 샘 월튼, 월마트 창업 회장 경영자가 10번을 얘기해야 직원들이 비로소 이해하기 시작하듯이 직원이 10번은 얘기해야 경영자도 비로소 관심을 기울이게 됩니다. 경영자는 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직원들은 경영자에게 좋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매우 꺼려합니다. 경영자는 직원들의 자그마한 소리를 온전히 듣는 자세로 경청해줘야 합니다. 말을 안하기 시작하는 조직은 죽어가는 조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공한 기업들이 고배를 마시는 것은 리더들이 게으르거나 멍청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지금까지 하던 방식대로 너무 열심히 하는 데서 비롯된다. - 도널드 설, 교수 피터 드러커 교수는 ‘성공의 법칙은 반드시 배반한다’고 말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과거의 성공은 과거 특정 시기에 특정한 조건이 맞아 떨어졌기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모든 것이 변화했는데 성공법칙만 그대로 일리는 없습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변화는 삶의 법칙이다. 과거와 현재만을 고집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미래를 놓치고 말 것이다.”
기업이 변화로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면 성장률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늘려야 하는 게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상향 및 하향 커뮤니케이션이다. 두 번째는 교육과 재훈련이다. - 토마스 J. 왓슨 주니어, IBM 전 회장 빠른 속도로 성장한 기업들이 더 빠른 속도로 쇠퇴하는 경우를 많이 발견합니다. 급속히 늘어난 매출을 조직과 문화, 시스템, 사람이 감당하지 못해서 성장통에 쓰러지는 것입니다. 먼저 화물(매출)을 실을 수 있는 배(조직과 문화, 인재 등)를 준비해 놓고 화물을 실어야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 화물 적재량(매출)을 일부러라도 줄일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