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은 공공 공간이다. 공공 자산이다. 나라와 사회를 더 도덕적이고 더 정의롭게 일으켜 세우는 인프라다! 민주주의의 기초 조건이다. 도서관과 같은 차원에서 논의되고 육성하는 정책이 수립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서점을 위한 '문화운동, 사회운동'이 전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김언호의《세계서점기행》중에서 -
* 서점은 특별한 공간입니다. 책을 만나고 사람을 만나고 지식과 지혜, 문화와 문명을 만납니다. 더러는 서점에서 친구도 만나고 연애도 합니다. 공공 공간, 공공 자산도 되지만 특별한 개인 공간, 개인 자산이 되기도 합니다. 서점을 살리는 사회운동, 문화운동이 필요합니다.
앞서간 사람들의 생각을 알고 그들의 생각과 내 생각을 서로 맞추어보는 과정을 통해 생각이 단단해져 소신을 갖출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포함해 많은 책을 읽게 되었다.
- 문형배의 《호의에 대하여》 중에서 -
* 저자는 2,000권 정도의 독서를 했다 합니다. 고전을 포함해 많은 책들을 읽으면서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인간의 깊은 내면을 읽을 수 있는 혜안을 갖게 된 게 분명합니다. 법조문을 넘어 수 많은 고전 속에서 행간을 읽으며 솔로몬과 같은 명 판결의 길을 추구했을 것입니다.
C언어를 처음 접한 것이 1990년입니다. 이후, C++/C#, Java, VBA, Python 등의 언어를 사용했고, 요즘 관심있는 언어가 Rust입니다.
관심 가지는 이유는 C언어의 성능과 Java나 Python 같은 안정성과 편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NSA(미국 국가안보국)에서 메모리 안전 문제로 C나 C++ 대신에 Rust와 같은 안전한 언어를 사용하도록 권고 했기에, 미국을 중심으로 기존의 C/C++로 된 코드를 Rust로 바꾸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안전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Rust로 개발되는 추세여서, 앞으로 Rust 언어의 활용이 많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NSA가 권고하는 메모리 안전한 언어Python, Java, C#, Go, Delphi/Object Pascal, Swift, Ruby, Rust, Ada
성능까지 고려하면 Rust가 거의 유일한 C/C++ 대체 언어
필자가 생각하는 향후 Rust가 각광 받을 분야는,
웹서버: 안전성과 성능이 좋아서, 현재 Java로 되어 있는 웹서버쪽은 Rust로 많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
암호 라이브러리: C/C++로 되어 있는 암호 라이브러리는 항상 Buffer overflow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Rust로의 전환이 예상됩니다.
소형 기기 펌웨어: 구글은 이미 Android Virtualization Framework를 Rust로 포팅함. 대부분 C/C++로 작성되어 있어 메모리 안전성이 문제되는 펌웨어 단 모듈들은 Rust로 바꿔질 것임
성능도 좋고 안전하기도 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대신에, Rust 언어를 배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안전한 메모리 처리를 위해서 Rust에서 컴파일 전에 체크하는 '소유권', '에러처리', '타입 체크' 등을 개발자가 알아서 코드에 반영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예 컴파일이 되지 않습니다. Java나 파이썬을 배우는 것 대비 2~3배 정도는 시간을 더 들여야 Rust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이 책은 한국에 있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Rust 언어를 보다 쉽게 익숙하게 익힐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실제 꼭 알아야하는 부분만을 추릴려고 노력했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Rust에서 제공하는 모든 내용을 담지는 않습니다. 메뉴얼이 아닙니다. 그러나, 꼭 필요한 부분은 가능한 자세하고 깊게 설명합니다.
챕터 내용을 익히는데 좀 더 도움이 되도록 챕터 내용을 그대로 따라 해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 링크입니다.
중단된 독서는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다. 전깃줄을 다시 이어붙이면 전류는 다시 통하지만, 사람 마음은 그렇지 않다. 지적인 상상력이 끊어진 뒤로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시간이 부족하므로 여유가 생겼을 때 띄엄띄엄 책을 읽고 필요한 만큼의 지적 생활을 이어나가겠다는 산술적 계산으로는 당신이 기대하는 지적인 삶은 건설되지 않는다.
- 필립 길버트 해머튼 《지적 생활의 즐거움》 중에서 -
* 작가가 책을 쓰는 것에 견주면 그 책을 읽는 것은 얼마나 쉬운가요. 책에는 기승전결이 있으므로 온전히 이해하려면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좋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주마간산으로 훑어보거나 도중에 중단하고 맙니다. 독서에도 예의가 있습니다. 중단된 독서는 건축으로 치면 부실 공사와도 같습니다.
독서도 엄마의 코칭이 필요하다. 읽고 싶은 책을 함께 찾아 주고, 읽고 싶은 시간과 장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책이 재밌다’는 경험이 반복되면 다음 책이 기대된다. 읽을 책과 읽을 시간, 장소를 일일이 지정하면 독서에 대한 거부감이 먼저 들어서 책을 아예 읽지 않는 아이가 될 수 있다. 거부감이 들지 않게 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 이미향의 《독서가 사교육을 이긴다》 중에서 -
* 뭐든 재밌으면 말려도 합니다. 한 번의 작은 몰입이 다음의 몰입에 대한 자신감을 안겨줍니다. 특히 독서가 그렇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재밌게 독서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함께 책 읽는 시간을 갖고 이야기 나누는 것이야말로 부모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산 교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