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노력해야 할 방향은 스트레스나 부정적 감정들을
제거하는 것에 있지 않다. 비효율, 부정적인 감정,
스트레스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추구하는 것이다.
삶의 한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추구하면 다른 영역에서는
놀라운 회복이 이루어진다.
스트레스를 피하려고 하면 오히려 능력이 줄어들고 약해진다.
- 짐 로허 박사


근육을 키우려면 근육이 찢어지는 고통을 감내해야 합니다.
편안함 삶은 쇠퇴와 동의어입니다.
성장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스트레스는 피해야 할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로서 적극 환영할 대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지금 이 순간 내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이 질문은 당신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줄 겁니다. 그러나
분석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그저 바라보세요.
내면에 집중하세요. 감정의 에너지를 느껴야 합니다.
만약 어떤 감정도 느껴지지 않는다면, 내면의
에너지 장에 더 깊이 집중합니다. 그것이
존재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 에크하르트 톨레의《이 순간의 나》중에서 -


* 사람은
밖에서 에너지를 얻고 살아갑니다.
먹는 밥, 마시는 물, 들이키는 공기, 모두 바깥에서
얻는 것들입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안에서 받쳐주는 내면의 에너지가 충만해야 합니다.
그래야 감정의 기복이 적어지고 방향도 찾게 되고
존재로 들어가는 입구도 열립니다.
자기다움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가운데에서 왔습니다'  (0) 2020.08.24
건강한 자기애愛  (0) 2020.08.24
24시간 스트레스  (0) 2020.08.20
많은 것들과의 관계  (0) 2020.08.18
이야기가 곁길로 샐 때  (0) 2020.08.17
반응형

우리는 모두
탄력적일 필요가 있다.
삶에는 언제나 위기가 도사리고 있지만,
위기의 순간이 곧 우리를 성장으로 이끄는
기회이기도 하다. 인생은 도전과 응전이라 하지
않았는가. 끊임없이 흔들리며 제 방향을 가리키는
나침반처럼, 한 번에 제 길을 찾는 법이 없는
작은 개미처럼, 우리는 삶 속에서 모두
이리저리 헤매며 저마다의
길을 찾아간다.

- 이정미의《심리학이 나를 안아주었다》중에서 -


* 위기의 순간은
아무런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생과 사의 갈림길이기도 하고 막다른 길이거나
벼랑 끝 낭떠러지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때 용수철처럼
튕겨 오르는 탄력이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운명은 전혀 다릅니다. 탄력도 시련의 축적입니다.
수없이 흔들리고 헤매면서도 용기를 잃지 않은
사람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선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다 때가 있다. 
열 살에 할 일이 있고, 
스무 살에 할 일이 있다. 
결혼도 성년기를 맞으면 하는 게 좋다. 
그때를 놓치면 짝을 구하기 어렵다. 
취직도 그렇다. 나이가 들면 취직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반기지 않는다. 하지만 
때를 놓쳤다고 끝은 아니다. 
늦게 출발할 수도 있다. 


- 최성현의《힘들 때 펴보라던 편지》중에서 - 


* 맞습니다.
때로는 늦은 출발이 
오히려 복이 될 수 있습니다.
단지 위로하기 위해 하는 말은 아닙니다.
늦었기 때문에 전화위복이 된 사람이 많습니다. 
선택이 잘못됐거나 방향이 틀렸으면 차라리 때를 
놓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다음 차례를 놓치지 않겠다는 내면의 굳은 결의와 
준비입니다. 때는 다가오는 것이기도 하지만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은 안다  (0) 2019.04.28
나이를 먹어도 똑같은 고민  (0) 2019.04.26
이 뜰의 계절 곁에 머물고 싶다  (0) 2019.04.24
궁지에 몰렸을 때  (0) 2019.04.23
'완벽한 한 쌍'이 되기 위해  (0) 2019.04.22
반응형
멀미는 왜 하는지 아는가?
멀미는 어디로 갈지 모를 때 한다.
선장이나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다.
미래를 알면 괜찮은데 모르면 멀미를 하게 된다.
- 이상철 전 정보통신부 장관

눈앞을 보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멀리 보면 작금의 혼돈도 평온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내가 주도권을 갖지 않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주도권을 갖고 스스로 방향을 설정하면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