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들이
우리에게 인지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 오감, 즉 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이라는 다섯 가지 감각이다.
우리는 오감을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그러나 오감을 만족시켜도 그것은
순간일 뿐, 잠시 후면 원점으로 돌아온다.
짧은 기쁨과 만끽이 지나면 다시
또 채워줘야 하는 밑 빠진
독과도 같다.  


- 이주아의 《심력》 중에서 -


* 사람은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서
느낌을 받습니다. 이 감각기관이 고장 나거나
저하되어 있다면 삶의 질은 현저히 떨어질 것입니다.
오감은 세상과 나를 연결하는 최전선의 소통 장치입니다.
그것을 잘 다스리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오감이 잘 작동된다 해도 내면을
채우지 않으면 밑 빠진 독이 되고 맙니다.
오감 너머의 영감을 키워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을 잊고 사는 이들아  (0) 2023.06.30
시각장애인의 영안(靈眼)  (0) 2023.06.29
한 수 아래  (0) 2023.06.27
좋은 부모가 되려면  (0) 2023.06.26
불씨  (0) 2023.06.24
반응형

길을 잘못 들어섰다고 슬퍼하지 마라.
포기하지 마라. 삶에서 잘못 들어선 길은 없으니.
온 하늘이 새의 길이듯 삶이 온통 사람의 길이니.
모든 새로운 길이란 다 잘못 들어선 발길에서 찾아졌으니.
때로 잘못 들어선 어둠 속에서
끝내 자신의 빛나는 길 하나 캄캄한 어둠만큼 밝아오는 것이니.
- 박노해, 시인


‘길을 잃어본 순간 우리는 세상에 대한 지도를 얻게 된다.
우리는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세상에 대한 지도는 여러분 스스로 그려야 한다.
아무도 여러분에게 지도를 주지 않는다.
세상에 나온 우리는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기술을 배워서
자기 나름대로 머릿속에 지도를 그리는 일을 해야 한다.’
정재승 교수의 ‘열두 발자국’에서 인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이 살면서
크게 세 번 변한다고 한다.
처음이 사춘기인데, 이때는 자신보다는
주변 사람들을 괴롭힌다. 다음은 중년기,
이 시기는 남들은 모르는데 자신만 힘들고
괴롭다. 마지막은 역시 죽을 때. 죽을 때
철나면 미워할 수도 미워하지 않을
수도 없는 묘한 뭐... 그런 거.


- 김정국의 《세상 모든 엄마에게》 중에서 -  


* 사람이
어찌 세 번만 변하겠습니까.
삶에는 여러 변곡점이 있습니다.
크고 작은 변곡점을 지날 때 몸, 마음, 정신이
혼미해지고 진통을 겪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를
거치면서 훌쩍 자라납니다. 진통 끝에 내면이
채워지고 영혼이 성장을 이룹니다. 죽음도
끝이 아닙니다. 변곡점입니다.
영혼의 성장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3.06.10
악순환  (0) 2023.06.09
'내가 왜 사는 거지?'  (0) 2023.06.07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만 봐도  (0) 2023.06.06
우주의 자궁  (0) 2023.06.05
반응형

무심코 내뱉은
말 한마디, 작은 행동 하나로도
알 수 있다. 사람을 판단할 때는 가장
먼저 그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지 살펴야 한다.
무슨 말을 하고, 또 무엇을 하는지 유심히 보면
그가 약속을 지키는 사람인지, 타인에게
인색하고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인지
가늠할 수 있다.


- 가오위안의 《모두에게 좋은 사람일 수 없다》 중에서 -


* 약속은
지키자고 맺는 것입니다.
약속을 지킨다는 것은 말을 지킨다는 뜻이고
말을 행동으로 옮겨 언행일치를 보이는 것입니다.
약속은 그 사람의 삶의 태도뿐만 아니라 믿음과
신용의 수준도 드러냅니다.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만 봐도 그의 모든 것을 쉽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세 번 변한다  (0) 2023.06.08
'내가 왜 사는 거지?'  (0) 2023.06.07
우주의 자궁  (0) 2023.06.05
좋은 여행  (0) 2023.06.03
자신에 대한 탐구  (0) 2023.06.02
반응형

사람이 자기를
들여다보고만 있을 때에는
자기는 모든 것의 모든 것인 듯하나,
사실 자기 혼자 외따로 설 수 있느냐 하면
절대로 그렇지 못하다. 사람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사람은 홀로가 아니다.
외톨이가 아니다.


- 함석헌의《뜻으로 본 한국역사》중에서 -


* 사람은 혼자 살지 못합니다.
함께 살아야 합니다. 서로 섞이고 부딪치고,
서로 알아가고 배우고 공부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끝내 자기중심에 머물지 않고
주변을 샅샅이 살펴보는 순간부터
올바른 성장은 시작됩니다.
외톨이가 안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여행  (0) 2023.06.03
자신에 대한 탐구  (0) 2023.06.02
행동이 자신감을 회복시킨다  (0) 2023.06.01
나의 길, 새로운 길  (0) 2023.05.31
스스로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행하라  (0) 2023.05.30
반응형

술 마셔서는
안 되는 사람과 마시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사람이 같은 사람이었다.
그것을 고민하는 사람도 같은 사람이었다.
고민은 끝나지 않았다. 계속될 수밖에 없었다.
평생을 가고자 다짐하거나 선언하는 것.
마셔서는 안 되는 걸 기어이 마시는 모순.
스스로 챙긴 건강을 스스로
망가뜨리는 파행.


- 구효서의 《통영이에요, 지금》 중에서 -


* 술은
약도 되고 독도 됩니다.
널리 알려진 유명한 금언도 있습니다.
"사람이 술을 마시고 술이 사람을 먹는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술은 자신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파행을
안겨주고 맙니다. 무슨 일이든
적당한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언제 성장하는가  (0) 2023.05.08
  (0) 2023.05.06
'살아남는 지식'  (0) 2023.05.04
동행, 함께 가는 것  (0) 2023.05.03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2023.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