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몸속의
가장 적대적인 요소들을 친하게
만들어서 서로 사랑하게끔 해야 합니다.
가장 반대되는 것들이 가장 적대적입니다.
즉, 차가운 것은 뜨거운 것, 쓴맛은 단맛, 건조한
것은 습한 것과 반대되지요. 우리 조상이신
아스클레피오스(의술의 신)께서는
반대되는 것들이 서로 사랑하며
사이좋게 지내게 했습니다.


- 플라톤의 《향연》 중에서 -


* 남극과 북극처럼
어느 곳이든 극단은 존재합니다.
그 극단은 가장 멀고 가장 적대적인 요소이지만
사실은 가장 서로를 보완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단단함 속에 부드러움이, 불과 물이,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인 5원소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사람과 세상 만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발등 찍기  (0) 2025.01.20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사람을 남기는 장사  (0) 2025.01.15
달맞이꽃  (0) 2025.01.14
부끄러움  (0) 2025.01.13
반응형

처음 장사를 해 보지만
이곳에서 배운 것이 몇 가지 있다.
남들보다 먼저 문을 열고
남들보다 늦게 문을 닫으면
망할 일은 없는 것이 장사 같다.
장사는 이문을 남기는 것보다
사람을 남겨야 한다.


- 최요한의《시를 쓰고 커피를 볶는 것은 운명이 아닐까요?》중에서 -


* 장사든 뭐든
성공 비결은 단순한 것에 있습니다.
부지런함입니다. 한 발 먼저, 한 번 더 챙기면
적어도 망할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목적'에 있습니다. 이문을 남기는 것이야말로
장사의 기본이지만 궁극의 목표가 돈이 아니라
사람이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할 때 더 큰 성공,
더 의미 있는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가장 적대적인 요소  (0) 2025.01.16
달맞이꽃  (0) 2025.01.14
부끄러움  (0) 2025.01.13
힘(力)  (0) 2025.01.13
반응형

이따금 신은
자유로울 수 없는
액체의 감옥을 만든다.
신의 사랑이 있는 곳에는
빗소리 하나에도 신의 언어가 있다.
젖은 꽃잎 하나에도 신의 손길이 있다.


- 최요한의 《시를 쓰고 커피를 볶는 것은 운명이 아닐까요?》 중에서 -


* 신이 깃들지 않은 곳이 어디 있을까요?
사람이 보기에 어두워 보이는 구석에도, 방향 없이
흘러가는 것 같은 역사의 강물에도 신이 계십니다.
신은 어둠과 빛을, 불과 물을, 차가움과
따스함을 모두 만드셨습니다.
올바른 방향을 위해서.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를 마시며 '나'로 향한다  (0) 2025.01.10
잠을 자려고 '애쓰지 않기'  (0) 2025.01.09
'좀 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다'  (0) 2025.01.08
오고 가고  (0) 2025.01.06
연줄  (0) 2025.01.06
반응형

'안목'의 반대말은 선입견이다.
나는 사람을 볼 줄 모른다고 생각했다.
한두 번 본 사람을 쉽게 오해하기도 하고
반대로 쉽게 마음을 주기도 한다. 오래 두고 봐야
선입견의 흑막이 걷혀 제대로 그 사람을 보게 된다는
걸 알지만 이게 말이 쉽지, 나이를 더 먹으면 나아질
거라고 눙친다. 이왕이면 그림 그리다가 덤으로
사람 볼 줄 아는 안목까지 생기면 좋겠다.
선입견 같은 건 없는 진짜 어른이
되고 싶으니까.


- 이기주의 《그리다가, 뭉클》 중에서 -


* 사람을 대할 때
가장 위험한 것이 선입견입니다.
지레 짐작하고 섣불리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매우 어리석은 일입니다. 나의 눈에 색깔을 입혀
본래 모습을 보지 못하고 왜곡하는 일이 없도록 그냥
그대로 바라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진짜 어른'이
되려면, 역설적이게도 순수한 어린아이의 눈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어린아이와 진짜 어른은 통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하수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종이책의 향기  (1) 2024.12.18
밥맛, 차 맛이 돌아왔다  (0) 2024.12.17
'역사의 신'은 살아 있다  (0) 2024.12.16
반응형

눈 코 입 손발 다 지우고
이름과 목소리도 몸이 되어 실루엣만 남은 사람
보지 못해도 걷지 못해도 어디로 가는가

아무리 멀어도 꿈이라면 닿으려나
아무리 지워도 꿈이라면 보이려나


- 이운진의 《당신은 어떻게 사랑을 떠날 것인가》 중에서 -


* 실루엣만 남은 사람인데
너무도 그리워 다시 보고 싶은 사람이 있고,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꿈에 나타날까 겁나는 사람이 있고
꿈에도 그리운 사람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받았던 타인의 사랑  (0) 2024.12.13
임종을 목격한 사람  (2) 2024.12.12
아름다운 마침표  (0) 2024.12.10
꼬리 자르기, 다리 자르기  (0) 2024.12.09
위기  (0) 2024.12.09
반응형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설지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식을 추출하고
미래를 예측합니다. 반면에 인간은 창의적인 사고로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적절한 판단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러한 면에서 인공지능은 인간을 넘어서기
어려워 보입니다. 단, 데이터는 감정이 없습니다. 모든
상황에서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인간은 감정에 치우치며 종종 일을 그르치곤
합니다. 인공지능과 공존하기 위해서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 김용대의 《데이터 과학자의 사고법》 중에서 -


* 시대가 변하고 있습니다.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세상이 열리고 있습니다.
인류가 경험하지 못했던, 한 번도 걸어보지 않은 길을
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사람 일을 대신하고 있고,
모든 것은 데이터로 남아 스스로 공부하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에는 온기가 없습니다.
사랑과 감사, 따뜻한 감성, 영적 정서적 교감이
없습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일 뿐 사람은 사람과
더불어야 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종과 추수, 거대한 순환에 대하여  (0) 2024.10.16
저체온 여성이 늘고 있다  (1) 2024.10.15
뭇매  (0) 2024.10.12
서점 문화운동  (0) 2024.10.11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  (0) 2024.10.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