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어릴 때부터
만족이라는 것이 물질에서 온다는
광고를 많이 보며 자랐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죠?"
"광고에서 떠드는 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물건을 사고
있는 것 같아요."
나는 어깨를 으쓱하며 말했다.


- 존 스트레리키의《세상 끝의 카페》중에서 -


* 광고는 요술 방망이 같습니다.
사람의 마음에 은근히 파고드는 힘이 큽니다.
오래전 '소공녀'라는 동화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면
"~셈 치고..." 넘어간다는 문장이 있었습니다.
산 셈 치고, 먹은 셈 치고, 가진 셈 치고...
어릴 적, 소공녀의 주인공처럼 마법의
주문을 외웠습니다. ~셈 치고...
신기하게 그 순간을 넘기면
평화로웠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넬슨 만델라의 위대한 결단  (0) 2023.03.15
절벽에도 길은 있다  (0) 2023.03.14
아침지기 수칙의 첫 마음  (0) 2023.03.11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2023.03.10
그냥 들어주자  (0) 2023.03.09
반응형

누군가를 마음 깊이 섬길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이미 성공의 길로 접어든 것이다.
누구나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다.
모두가 봉사를 할 수는 있기 때문이다.
봉사는 대학학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존 맥스웰의 '성공이야기'에서


다른 사람을 섬기는 삶은 학력과 관련이 없습니다.
남을 섬기는 데에는 사랑으로 가득한 마음만이 필요합니다.
성공의 비법은 먼저 주고, 나중에 받는 것입니다.
Take & Give가 아닌, Give & Take를 실천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에이비스(AVIS)에서 나를 CEO로 오라고 했을 때,
나는 렌터카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고 거절했다.
그러자 “당신은 사람과 관련된 비즈니스를 할 겁니다.
당신은 사람을 경영하기 위해 고용되는 것이지요.
당신이 렌터카 업계의 전문가처럼 생각하기 시작하면
바로 그 순간 해고될 것입니다.”라는 답이 돌아왔다.
- 로버트 타운센드(Robert Townsend), 전 AVIS CEO


모든 비즈니스는 사람 비즈니스(People Business)입니다.
기업은 사람에 의한, 사람을 위한, 사람의 조직입니다.
이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데서 실패가 싹트기 시작합니다.
피터 드러커 역시 ‘경영의 목적은
사람들이 성과를 내는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데 있다’고 강조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치명적인 사람은 책임을 떠넘긴 채
자신만 빠져나가는 사람이다. 그런 이를 상사로
만나면 직장은 울분의 고해소가 되고, 어쩌다
그런 이를 연인으로 만나게 되면 연애는
연애가 아니라 거래로 변한다. 무서워서
피하는 것이 아니라 더러워서 피한다.
치명적인 사람을 만나면
피하는 것이 답이다.


- 김재진의《바람에게도 고맙다》중에서 -


* '치명적인 것'은
처음엔 잘 모릅니다. 독버섯처럼
화려하고 아름다워서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그래서 먹는 순간 위기가 닥치고 그 정체를 알게
됩니다.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사람의 관계에서
치명적인 독소와 같습니다. 그런 독소를 품은
사랑은 연애가 아닙니다. 거래도 아닙니다.
피하는 게 상책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이 곧 회사다. 언제나 사람이 먼저다. 사람이다.
사람을 성장시키면, 사람이 사업을 성장시킨다.
단순하다. 이것이 제 1 법칙이다.
직원들이 더 나은 인간이 된다면, 그들은 회사에도 더 나은 파트너가 될 것이다.
- 워드 베하, 스타벅스 전 사장


회사의 목적은 이익 추구가 아닙니다.
그것은 그저 숫자적인 목표일 뿐, 회사의 진정한 목표는
‘전 직원이 인생의 승리자’가 되는 것입니다. 우선적으로 직원이 만족하고,
그들이 삶에 자신감을 갖고 승리하지 않으면 결코 회사도 승리할 수 없습니다.
“사람은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 아닙니다. 사람이 곧 회사입니다.
그 밖의 모든 것은 자산이고요.” RLG 인터내셔널, 창업자
에이드리언 래비의 주장 함께 보내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 간의 거리는
공간의 밀도를 결정한다.
공간의 밀도는 그 공간 내 사회적 관계를 결정한다.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간격을
바꾸었다. 가까웠던 사람들도 멀리 떨어지게
만들었다. 사람 간의 간격이 바뀌자
사람 간의 관계가 바뀌었고,
사람 간의 관계가 바뀌자
사회도 바뀌고 있다.


- 유현준의《공간의 미래》중에서 -


* 사람 사이 간격에는
'몸의 거리'와 '마음의 거리'가 있습니다.
이 둘은 서로 깊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지고, 마음이 멀어지면
몸은 더 멀어집니다. 코로나가 몰고 온 예기치 못한
현상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코로나에 끌려다닐 수는
없습니다. 사람 사이 몸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리움, 간절함은 더 커져 코로나 이전보다
더 사랑할 수 있습니다. 더 뜨거운
사랑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8
명상이 뇌를 바꾼다  (0) 2022.10.25
어떻게든 살아가는 법에 관해서  (0) 2022.10.24
애를 쓰지 않아도 좋다  (0) 2022.10.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