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뭔가를 원한다면,
먼저 상대와 눈을 맞추십시오."
그의 말대로 한 다음부터 좋은 일만 생겼습니다.
세상의 어떤 소통 방식도 눈을 맞추는 것보다
나은 것은 없습니다.


- 파울로 코엘료의《흐르는 강물처럼》중에서 -


* 사랑은
눈맞춤으로 시작합니다.
그래서 "눈이 맞았다"고 하지요.
0.1초 사이에 서로를 읽어냅니다. 상대가
나에게 호의적인지 아닌지 눈빛만으로도 압니다.
눈은 거짓이 없습니다. 속일 수도 없습니다.
가장 정직한 소통이기 때문에 잘 통하고
좋은 일도 많이 생깁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실수  (0) 2021.05.10
자기 인생을 공유하는 사람들  (0) 2021.05.07
예수는 왜 어린이를 품에 안았는가  (0) 2021.05.06
책임을 지는 태도  (0) 2021.05.04
행복의 치유 효과  (0) 2021.05.03
반응형

상대의 진솔함에 끌리는 것은 당연하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완벽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진정성 있고 자신을 드러내는 모습에 끌린다.
오래 지속되고 의미 있는 인간관계의 열쇠는 우리가 있는 그대로의
연약한 모습을 솔직하게 내보일 수 있는 사람들을 찾는 것이다.
기꺼이 연약한 모습을 드러내라.
- 더글러스 홀러데이, ‘여덟가지 인생 질문’에서


우리는 겸손하고 차분하게 자신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사람에게 끌리게 됩니다.
어렵고 힘들어하는 점을 타인과 솔직하게 공유하는 것이 진정성으로 다가오고
이로 인해 타인은 그 사람을 더 존경하게 됩니다.
취약성의 힘입니다. 연약함을 드러낼 수 있는 사람이 진정 강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다, 잘 될 거야."
이 말에, 진심으로 위로받아본 적이 있을까?
나는 그 말에 한 번도 안도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리어 조금 상처가 됐던 적은 있었다.
'지금 내 말 다 들었어? 대충 듣고 아무렇게나 말하고
있는 거 아니지?' 그 말이 너무 공허하게 들려서 좀
억울했달까. '내가 그동안 너의 얘기를 얼마나
성심성의껏 들어줬는데, 너는 어쩌면 그렇게
쉽게 다. 잘. 될. 거. 야. 한마디로
퉁칠 수 있는 거니?'


- 강세형의《희한한 위로》중에서 -


* 무심히 던진 위로의 말이
때로는 상대에게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딴에는 진정을 담은 말이었는데도 그렇습니다.
하물며 입에 발린 말, 마음이 실리지 않은 말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위로가 될 턱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
진심을 담아 말을 건네는 노력!
이렇게요. '다 잘 될 거야'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가 돌멩이의 '기분'  (0) 2020.09.26
75년 인생에서 얻은 것  (0) 2020.09.25
엄마를 잃고  (0) 2020.09.23
기쁨과 치유의 눈물  (0) 2020.09.22
누구나 숨을 쉰다  (0) 2020.09.21
반응형

상대가 기분이
상하지 않게하기 위해
'어떻게 말하지' 고민한다는 것
자체가

그 관계를 위해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는 증거고

그 노력이 당신을 큰 사람으로 만들어준다.

 

반응형
반응형

원망은 당신이 미워하는 상대를 해치는 것이 아니다.
그로 인해 상처받는 사람은 바로 당신 자신이다.
원망을 내려놓지 못하면
수많은 부정적인 감정이 자신에게 무거운 짐이 된다.
결국 상대가 당신의 몸과 마음을 통해 당신에게 계속 상처를 주는 셈이다.
- 페이융, ‘법화경 마음공부’에서 

이어지는 내용 함께 보내드립니다.
‘하지만 원망을 내려놓는다면 그 누구도 당신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내려놓으라. 내려놓지 못하면 세상은 당신의 적이 될 것이다.
내려놓으면 세상이 당신의 일부가 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도 바닷가재처럼 자세와 겉모습으로 상대를 평가한다.
따라서 패배자의 자세를 하고 있으면 사람들도 당신을 패배자로 취급한다.
반대로 당신이 허리를 쭉 펴고 당당한 자세를 하고 있으면
사람들 역시 당신을 다르게 보고 그것에 맞게 대우한다.
- 조던 피터슨, ‘12가지 인생의 법칙’에서 

실험에 의하면 슬픈 표정을 지으면 더 슬퍼지고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 더 행복해진다고 합니다.
자세를 반듯하게 하고 생각을 거침없이 말하고,
바라는 것을 당당하게 요구하면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나를 유능한 실력자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불안감이 줄어들고 좋은 일이 일어날 확률도 따라서 커집니다.
자신감도 따라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