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말라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 2023.05.02 |
|---|---|
| '아, 내가 이걸 놓치고 살았구나' (0) | 2023.05.01 |
|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 (0) | 2023.04.28 |
| 아무리 가져도 충분하지 않다 (0) | 2023.04.27 |
| 자기 가치 찾기 (0) | 2023.04.26 |
잊지 말라

|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 2023.05.02 |
|---|---|
| '아, 내가 이걸 놓치고 살았구나' (0) | 2023.05.01 |
|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 (0) | 2023.04.28 |
| 아무리 가져도 충분하지 않다 (0) | 2023.04.27 |
| 자기 가치 찾기 (0) | 2023.04.26 |

이야기의
가장 본질적인 속성은,
그것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다리가
되어준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를 찾을 수 있는
첫 장소는 바로 여러분의 기억 뒷마당입니다.
각자 살아온 인생 말입니다. 나는 이것을
'과거에서 금광을 발견하는 방법'이라고
부릅니다.
- 더그 스티븐슨의《명강의 무작정 따라하기》중에서 -
* 인간에게는, 특별하게도
'기억'이라는 뒷마당이 있습니다.
무궁무진한 이야기의 금광입니다.
내가 살아온 삶의 기억이 반짝이는 이야기를 만들고
그 이야기가 더러는 전설이 되고 신화가 됩니다.
때로는 불멸의 역사가 됩니다.
|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0) | 2023.02.13 |
|---|---|
| 감동과 행복의 역치가 낮은 사람 (0) | 2023.02.11 |
| 깨달음 (0) | 2023.02.09 |
| 살아야 할 이유 (0) | 2023.02.08 |
| '우리편'이 주는 상처가 더 아프다 (0) | 2023.02.07 |

'억울하다'라는 말은
일본어에는 물론 영어에도 없다.
한 영어사전은 '억울하다'를 'feel victimized'라고
설명했는데, 딱 맞아떨어지는 느낌이 아니다. 한국
사람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유독 억울해하면서
이 단어가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사람들을
억울한 상황으로 몰아넣는 구조나 문화로 인해
억울한 경우가 다른 사회 보다 더 자주
발생해왔다고 봐야 한다.
- 백우진의《단어의 사연들》중에서 -
* 일본어에도 비슷한 말이 있습니다.
'悔しい쿠야시이'(분하고 한탄스럽다), 하지만
우리의 '억울하다'와는 뉘앙스가 좀 다르긴 합니다.
분해서 복수의 칼날을 갈기보다는 왠지 눌러 참는 듯한,
삭이고 수용하고 인내하며 견디어 내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단어에는 어원이 있습니다. 그 어원을 더듬어
보면 오래전의 역사와 풍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견디고 삭여야 하는 일들이 그만큼
많았다는 뜻입니다.
| 회의 시간은 1시간 안에 (0) | 2023.01.19 |
|---|---|
| 뿌리 깊은 사랑 (0) | 2023.01.18 |
| 조금만 더 (0) | 2023.01.16 |
| 나를 넘어서는 도전 정신 (0) | 2023.01.15 |
| 외로움을 덜기 위해서 (0) | 2023.01.15 |

우리 인간은 참 편을 가르고
상대편에게는 빗장 걸기를 좋아하네
경계를 짓고 울타리를 치는 일들이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아마
인간 삶의 자리 태초부터
아니었을까?
- 김성호, 류해욱 신부의 연작시집 《햇살 속 그리움 그리고
영성》에 실린 시 <고개 숙인 벼들을 바라보며> 중에서 -
* 인간의 역사 속에
'내 편' '네 편'은 언제나 존재했습니다.
오늘도 편가르기는 피할 수 없는 인간사입니다.
그러나 너도 나도 하나가 되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큰 어려움을 당했을 때입니다. 일단 뭉쳤다가
다시 갈라서도 늦지 않습니다.

(나치 강제수용소인)
비르케나우에 있을 때
한 여자가 죽어가면서 내게 손짓했다.
그러고는 손에 쥐고 있던 곰팡이가 핀 작은 빵
네 조각을 주며 들릴 듯 말 듯 작은 소리로 내게
말했다. "먹어. 넌 젊잖아. 살아남아서 여기서
일어난 일을 증언해. 꼭 얘기해. 앞으로는
이런 일이 세상에서 일어나지 않게."
- 마그다 홀런데르-라퐁의《빵 네 조각이 전해준 살아갈 이유》중에서 -
* 곰팡이가 핀 작은 빵 네 조각.
한 사람이 죽어가면서 건네준 그 작은 선의가
다른 한 사람을 살리고, '역사의 산 증언자'가
되게 했습니다. 작은 빵 한 조각이 때로는
생명줄이 됩니다. 사랑의 증표가 되고,
역사의 증언자로 만듭니다.
| 꽃잎만 할 수 있는 사랑 (0) | 2022.10.12 |
|---|---|
| '첫눈에 반한다' (0) | 2022.10.11 |
| 일상 탈출을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0) | 2022.10.11 |
| 그대를 만난 뒤... (0) | 2022.10.07 |
| 혼자 걷는 사람들 (0) | 2022.10.06 |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라는
명제를 내건 가운데 민족사관을 수립했다. 일제 36년의
만행을 일본 스스로 부정하고 왜곡할 때마다 우리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뜻을
가슴에 새긴다. 역사는 반복될 수 있다는
역사의 준엄함을 일깨우는 이 짧은 문장은
우리를 두드려 깨우는 힘이 되었다.
- 강병인의《나의 독립》중에서 -
* 역사는 단지 과거의 것이 아닙니다.
오늘을 비춰보고 내일을 내다보는 거울입니다.
지나간 역사, 현재 진행형의 역사 속에 미래의 모습이
보입니다. 역사는 그 나라 그 민족의 혼(魂)이며 정신입니다.
사람이 정신을 잃으면 혼미해지듯, 민족이 역사를 잊으면
갈팡질팡 미래가 혼돈에 빠집니다. 지나간 통한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부릅뜬 눈으로 직시해야 합니다.
역사를 되새겨야 미래가 보입니다.
| 아름다운 풍경 하나 (0) | 2022.10.05 |
|---|---|
| 행복의 언어 (0) | 2022.10.04 |
| 지금 잘 살고 계시나요? (0) | 2022.10.04 |
| 말과 글, 뜻과 일 (0) | 2022.09.30 |
| 성장을 지속하는 사람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