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찍이 괴테는 말했다.
'좋은 시는
어린이에게는 노래가 되고,
청년에게는 철학이 되고,
노인에게는 인생이 된다.'

-나태주, 이영문의 《시가 내 마음에 들어오면》 중에서 -


* 좋은 시 한 줄에
잠들었던 영혼이 깨어납니다.
잃었던 노래가 터져 나오고,
무뎌진 감성이 살아나고
지치고 목마른 삶에
생기를 줍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바람이 좋아  (0) 2024.08.19
퇴고(推敲)  (0) 2024.08.19
마음의 평온함을 찾는 법  (0) 2024.08.19
막다른 골목에 섰을 때  (0) 2024.08.19
치유산업의 미래  (0) 2024.08.13
반응형

세상 모든 것은
우연한 힘의 작용으로 형성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가늠할 수조차
없는 고차원의 지성체에 의해 창조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후에는 이 위대한 지성체를
신뢰하는 법을 배우게 되고, 아주 오래전에
나를 존재하게 한 그 힘은 지금도 나와
함께 있으며, 앞으로도 언제나 영원히
나와 함께 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윌리엄 워커 앳킨슨의 《그대, 아직도 '나'를 찾고 있는가?》중에서-


* 한 치 오차도 없이 운행되는
우주 질서를 생각하면 '고차원의 위대한 지성체'가
존재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신묘막측함,
그 자체인 생명 순환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 창조주, 또는 조물주라 불리는 그 지성체가
있음으로 '나'라는 존재도 있고, 내 안에
영원히 소멸되지 않는 영혼도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이 좋다  (0) 2024.08.08
엄마에게 딸이 외치는 소리  (0) 2024.08.07
'잘했어', '멋져요', '대단해요'  (0) 2024.08.05
더위  (0) 2024.08.05
24시간 스트레스  (0) 2024.08.02
반응형

고통의 순간에도
분명 기쁨과 즐거움이 존재한다.
행복의 시간이 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할 이유다. 아주 잠깐, 사진 한 장 찍을 시간도
안 되는 동안만 곁에 머물다 떠나는 그 기회들이 내일
다시 온다면, 그땐 그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지금의
나를 포기해서는 곤란하다. 단테는 말한다.
자기 몸을 함부로 하는 선택은 죽어서도
스스로 고통을 더하는 행위라고.


- 김범준의 《지옥에 다녀온 단테》 중에서 -


* 고통의 시간이
고통으로만 남는 것은 아닙니다.
그 고통의 시간이 시인에게는 시(詩)의 원천이 되고
자신의 영혼을 성장시키는 선물이 됩니다. 기쁨과 행복은
깊은 고통의 우물에 고여있습니다. 그것을 길어 올릴 수 있는
두레박이 필요합니다. 기쁨과 행복을 길어 올리는 두레박!
그 두레박만 있으면 잘 살 수 있습니다. 수없이 상반되는
감정들 사이에서도 평화를 누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들의 감정 변화  (0) 2024.07.29
도토리 떡잎  (0) 2024.07.25
통찰력 있는 질문  (0) 2024.07.23
자기 존엄  (0) 2024.07.22
요즘 세상  (0) 2024.07.22
반응형

진주의 의미는
'눈물'이라고 한다. 진주알이
또르르 구르는 눈물방울처럼 영롱하니
누가 그리 갖다가 붙여놓았나? 진주를 닮은
순백의 눈물이라면 날마다 흘린다해도 무슨
큰 탈이 나겠는가. 조심조심 살얼음 위를 디뎌도
때가 묻는 세상인데. 영혼의 정화를 위해서라면
이따금 눈물을 펑펑 쏟은들 해롭지 않은
일인 것이다.


- 안윤자의 《사대문 밖 마을》 중에서 -  


* 진주는
상처와 눈물의 결정체입니다.
조개 속 여린 속살에 이물질이 파고 들어와
고통스러울 때 그 아픔을 감내하면서 진주질을 분비,
이물질을 감싸서 만들어진 것이 진주입니다. 그야말로
조개의 눈물입니다. 그 눈물이 너무도 아름답고 영롱해서
예로부터 왕족, 귀족들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감추어진 영혼'이라고 불렸던 진주처럼,
지금 나에게 어떤 이물질로 들어와
아픔을 주고 있는지 조용히
살필 일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노화의 모범 답안  (0) 2024.07.10
모래 한 알에서 세상을 보라!  (0) 2024.07.09
위험  (0) 2024.07.08
무엇이 우리 학생들을 멍들게 하는가  (0) 2024.07.05
해우소(解憂所)  (0) 2024.07.04
반응형

주시경은 35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이런저런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그때는 1910년 불행하게도 나라가 일제에 패망한
해였다. 하지만 그는 절망에 빠지지 않고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기 위한 국어 운동, 국어 연구와 교육을 통한
계몽 운동을 더욱 활발히 전개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그를 두고 사람들은 '주보따리'라고 불렀다.
가방이 없던 시절, 보자기에 책을 싸서 우리말
한글을 가르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마다하지 않고 찾아갔기 때문이다.


- 김슬옹의 《길에서 만나는 한글》 중에서 -


* 민족정신을 되찾는 길은
그 민족의 혼이 담긴 말과 글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시경 선생님같은 위대한 분들이 계셨기에 우리가
한글이라는 빛나는 문화유산을 잃지 않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말과 글이 혼탁해지고 정체를 알 수
없는 신조어가 난무해, 세대간 소통조차 어려운
오늘날, 주시경님과 그분의 별명인
'주보따리'를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 접촉, 장년층에 더 좋다  (0) 2024.06.26
내면의 평온함을 유지하는 방법  (0) 2024.06.25
대죄(大罪)  (0) 2024.06.24
남 탓, 날씨 탓  (0) 2024.06.21
평화의 길  (0) 2024.06.20
반응형

중고 거래는
물건과 관계 맺는 방법을 배우기에
적절한 수단이다. 언제 물건을 놓아주어야
하는지, 내게 꼭 필요한 물건의 양은 어느
정도인지, 새 물건이 한 번 사용되었다는
이유로 얼마나 빨리 값어치가 하락하는지
배우려면 중고 거래를 해봐야
한다는 게 나의 지론이다.


- 최다혜, 이준수의 《지구를 구하는 가계부》 중에서 -


* 어느 고인이 남긴
그림과 부엉이 등 소중한 유품을
평소 가까이 지낸 지인들에게 선사하는 자리에
함께 한 적이 있습니다. 비록 육신은 소멸되었지만  
그분의 영혼이 담긴 물건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의
인연이 맺어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눈가에
감동의 눈물도 맺혔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싱(earthing)  (0) 2024.06.10
더 가까워져야  (0) 2024.06.10
쾌식, 쾌면, 쾌변  (0) 2024.06.05
'학교가 그렇게 좋아?'  (0) 2024.06.04
여름에 마시는 차  (0) 2024.06.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