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간의 모습에는
대략 네 가지 면이 있었다.
그 가운데 두 가지가 결점이고 나머지
두 가지가 장점이라면 괜찮은 인물이지만,
결점 셋에 장점 하나인 사람이 많다. 그렇다고
장점이 하나도 없는 인간은 없으며, 장점이 없어
보이는 것은 상대가 장점을 발견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기 때문으로 믿고 있었다. 따라서
사람과 사람의 싸움은 그 결점의 충돌로
시작되고 사람의 화합은 장점이
만나는 곳에서 생겨난다.


- 야마오카 소하치의 《대망 4》중에서 -


* '결점과 결점이 만나면 싸움이,
장점과 장점이 만나면 화합이 된다.'
무릎을 치게 하는 명언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문제는 '제 눈의 안경'이라는 점입니다. 같은 사안도
보는 눈에 따라 달리 보입니다. 때문에 사람의 장단점을
섣불리 판단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됩니다. 서로의
장점과 장점이 만나 화합을 이루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뿐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요리, 세계 요리  (0) 2025.04.02
모든 생명은 소중하고 아름답다  (0) 2025.04.01
양심과 공정이 이끄는 세상  (0) 2025.03.28
혼자 떠드는 이야기  (0) 2025.03.27
역사를 지닌 동물  (0) 2025.03.27
반응형

겉으로는
마냥 밝고, 씩씩하고, 늘 웃고,
당차 보이는 사람일수록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걸 알게 된 경우가 많았다.
그럴 때마다 반전처럼 놀라기도 했다. 그런 경험들이
누적되다 보니 아, 사람이란 결코 단면 같은 존재는
아니구나, 누구나 복잡하구나, 누군가 단순하게만
보인다면 그것은 내가 그에 대해 빙산의
일각밖에 모른다는 뜻이구나, 하는 걸
뼛속 깊이 알게 되었다.


- 정지우의 《사람을 남기는 사람》 중에서 -


* 사람은 결코 겉만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의 내면은 복잡하기 짝이 없습니다. 참으로
많은 다양성이 내면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타고난
성품도 있지만, 자라 온 환경과 주변 인물들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을 단편적으로
판단하면 큰일납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 말고
그 안의 깊은 호수까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사람을 판단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모와 목소리  (0) 2025.01.22
아파트 부부 싸움  (0) 2025.01.21
제 발등 찍기  (0) 2025.01.20
산책이 사람을 똑똑하게 만든다  (0) 2025.01.17
가장 적대적인 요소  (0) 2025.01.16
반응형

왜 책을 읽어야 할까?
1년에 책 한 권 안 읽는 사람이
성인 10명 중 6명이라고 한다. 정보가
흘러넘치는 디지털 시대에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는 제대로
읽고 판단하는 능력, 즉 문해력 때문이다. 문해력은
그저 글을 읽거나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다양한 맥락으로 연결된
자료를 통해 정보를 발굴하고 이해하고
새롭게 해석하여 소통까지 이르는
능력을 뜻한다.


-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 문해력은 실력입니다.
세상을 헤쳐가는 막강한 무기입니다.
문해력의 출발은 독서입니다. 그러나 단지 책을 읽고
해독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 대화를
하면서도 소통의 부재를 느낍니다.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갑니다. 왜일까요?
문해력, 청해력의 부족 때문입니다. 문해력은 단숨에
늘어나지 않습니다. 어릴 적부터 훈련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래서 독서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건강해 행복해, 그러니 감사해'  (0) 2024.08.30
'아, 좋다!' 하는 기분  (0) 2024.08.29
빛과 어둠  (0) 2024.08.27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솔밭  (0) 2024.08.26
반응형

타인이 어리석고 둔감하며
무례하고 거만하며 경솔하고 아둔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고 나면 그 사람의
행동에 당신의 기분이 상하고 화가 날 수 있을
겁니다. 당신의 마음속에서 타인을 판단하는
행위가 일어난다고 칩시다. 그 판단으로
그들이 규정되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당신 자신을 타인을 판단할 수 있는
사람으로 규정하는 셈이 되지요.


- 웨인 다이어의 《웨인 다이어의 인생 수업》 중에서 -


* 살면서 조심할 것이
타인에 대한 섣부른 판단입니다.
특히 남 탓을 하는 것은 절대 경계해야 합니다.
바람이 분다고, 햇살이 뜨겁다고, 날이 춥다고
날씨 탓하며 일일이 불평해 봐야 소용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탓하는 일이 이와
같습니다. 그 시간에 자신을 돌아보아
스스로를 갖추는 것이 내공이고
어른이 되는 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학자 주시경('주보따리')  (0) 2024.06.24
대죄(大罪)  (0) 2024.06.24
평화의 길  (0) 2024.06.20
가장 사랑한 '막내딸 용혜'  (0) 2024.06.19
내게 맞는 책  (0) 2024.06.18
반응형

무심코 내뱉은
말 한마디, 작은 행동 하나로도
알 수 있다. 사람을 판단할 때는 가장
먼저 그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지 살펴야 한다.
무슨 말을 하고, 또 무엇을 하는지 유심히 보면
그가 약속을 지키는 사람인지, 타인에게
인색하고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인지
가늠할 수 있다.


- 가오위안의 《모두에게 좋은 사람일 수 없다》 중에서 -


* 약속은
지키자고 맺는 것입니다.
약속을 지킨다는 것은 말을 지킨다는 뜻이고
말을 행동으로 옮겨 언행일치를 보이는 것입니다.
약속은 그 사람의 삶의 태도뿐만 아니라 믿음과
신용의 수준도 드러냅니다. 약속을 지키는지
하나만 봐도 그의 모든 것을 쉽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세 번 변한다  (0) 2023.06.08
'내가 왜 사는 거지?'  (0) 2023.06.07
우주의 자궁  (0) 2023.06.05
좋은 여행  (0) 2023.06.03
자신에 대한 탐구  (0) 2023.06.02
반응형

좋은 심리치유자는
'마음을 분석하는 사람'이 아니라
'마음을 함께 체험하는 사람'입니다.
심리 치유는 언어만큼이나 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깊은 상처는 몸에 저장되어
있고, 치유란 처리되지 못한 몸의 기억을
의식화하고 통합해 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문요한의《이제 몸을 챙깁니다》중에서 -


* 심리치유 과정에서
매우 조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잘잘못을 분석하고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입니다.
쉽게 충고를 하고 심지어 지도를 하려 드는 것도
경계해야 합니다. 치유의 출발은 공감입니다.
마음을 함께 하고 경험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음의 상처가 몸의 어떤 부분에
저장되어 흔적을 남겼는지 살펴보고
사랑으로 어루만져 주는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