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핵심근육(Core Muscle).
핵심근육이란 몸통을 둘러싸는 근육인데,
위로는 횡격막(주호흡근), 앞과 옆으로는 복횡근,
뒤로는 척추의 작은 근육(감자탕에 붙어 있는 작은 근육),
척추 앞의 장요근 아래의 항문과 요도를 수축하는
근육을 말한다. 평소에 이 근육을 강화시키면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다.


- 이승원의《의사가 말해주지 않는 건강하게 장수하면서 행복하기》중에서-


* 그렇습니다.
핵심근육을 강화하면
정말이지 여러 가지가 좋습니다.
무궁무진합니다. 그 핵심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운동이
스쿼트입니다. '굴슬운동'으로도 불리는 하체운동입니다.
사람은 남녀를 막론하고 하체가 단단해야 건강합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하루 10분만 투자해도 됩니다.
도전해 보세요. 인생이 달라집니다.
좋은 일이 많이 생깁니다.

 

 굴슬운동(屈膝運動)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0) 2025.02.21
떼쓰는 아이 달래는 법  (0) 2025.02.20
구조선이 보인다!  (0) 2025.02.18
감정이 잘 흐르게 하라  (0) 2025.02.17
갈림길에서  (0) 2025.02.17
반응형
아삼육
둘도 없이 친한 사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친구 사이가 많으나 선후배 사이도 많다.
 
서로 꼭 맞는 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아삼육’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 단어가 현대에 와서는 뜻이 잘 맞아 친한 사이라는 의미로 축소되었다. 지금의 표현으로 ‘단짝, 절친(切親), 베프(best friend)’쯤으로 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삼육’은 두 명뿐만 아니라 서너 명도 ‘아삼육’이라고 불린다. 그나마 중년(中年)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아직도 불리기에 그 단어가 살아있지, 21세기에 태어난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도 모르기 때문에 곧 사라질 운명에 처한 딱한 단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아삼육’이란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인 ‘골패놀이’에서 ‘쌍진아(雙眞兒 2·2), 쌍장삼(雙長三 3·3), 쌍준륙(雙?六 6·6)’ 이 세 쌍의 끝수를 말하는 것이다. 세 쌍이 한꺼번에 들어오면 ‘쌍비연(雙飛燕)’이라고 하여 끗수를 세 곱으로 친다. 만약 ‘고스톱’이라면 ‘홍단, 청단, 초단’이 한꺼번에 들어왔을 때 같은데, ‘골패놀이’ 자체를 모르는 요즘 사람으로서 당최 이 용어들을 이해할 수도 없다. ‘쌍진아, 쌍장삼, 쌍준륙’이 ‘2땡, 3땡, 6땡’인가?하고 웃음밖에 안 나온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의미를 모른 채 사용하고 있을 것 같다.

골패놀이는 중국에서 유입되었는데 마작(麻雀)하고는 다른 놀이로, 납작하고 네모진 작은 나뭇조각 32개에 각각 흰 뼈를 붙이고 여러 가지 수효(數爻)의 구멍을 판 골패(骨牌)를 도구로 하는 노름이다. 골패라는 이름은 재료를 뼈로 사용하는 데서 왔으나 뼈로만 만든 것은 민패라 하고, 뒤에 대나무 쪽을 붙인 것은 사모패(紗帽牌)라고 한다. 재료가 이리 고급지니 투전(鬪牋)만큼 대중화되지 못했고 지금의 사람들에게 낯설게 느껴진다. ‘아삼육’에 대해 쓰기 위해 ‘골패놀이’를 배우고자 했으나 그 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웠다. 골패놀이는 도박 중에서도 중독성이 강해서 골패를 생명처럼 여기는 사람을 ‘골귀(骨鬼)’라고 부르기까지 했다고 한다. 



이렇듯 골패놀이는 게임의 규칙이 어렵고 복잡한데도 중독성을 갖고 있으며, 도구인 골패의 값은 비싸 양반이나 기생들만 놀 수 있는, 여러 가지로 불편한 게임임에도 ‘아삼육’이 최고로 좋다는 것을 언중(言衆)들이 알고 있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그리고 그 최고를 ‘서로 믿을 수 있고 의리 있으며 마음이 잘 맞는 사이’에 붙여 준 것도 고마울 따름이다.
 
 



반응형
반응형

끝없이
고독한 싸움을 이어가며
홀로 폭풍우 치는 밤에 항해를 하고 있는 것
같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다 보면 언젠가 극복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내 힘으로 어떻게든 이겨냈다' 라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여러 사람이
도와준 덕분이라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신기하게도 구조선은 고독을 견뎌 낸
후에만 보입니다.


- 마쓰우라 야타로의《울고 싶은 그대에게》중에서 -


* 캄캄한 망망대해에서,
죽음 같은 고독 속에서 표류할 때
구조선이 보이면 드디어 살아날 수 있습니다.
구조선이 나타나는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살아난
셈입니다. 내가 내 인생을 개척하며 살아가지만
위기에서 나를 살리는 것은 '구조선'입니다.
큰 위기일수록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생명을 건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떼쓰는 아이 달래는 법  (0) 2025.02.20
스쿼트와 핵심근육(Core Muscle)  (0) 2025.02.19
감정이 잘 흐르게 하라  (0) 2025.02.17
갈림길에서  (0) 2025.02.17
영혼이 폭삭 늙는 기분  (0) 2025.02.14
반응형

jQuery를 사용하여 pageSeq 배열에서 pageseq:7보다 작은 것 중 가장 큰 값7보다 큰 것 중 가장 작은 값을 찾는 함수

 

function findClosestPageSeq(data) {
    var pageSeq = data.data.pageSeq;
    
    var smallerMax = null; // 7보다 작은 것 중 가장 큰 값
    var largerMin = null; // 7보다 큰 것 중 가장 작은 값

    $.each(pageSeq, function(index, item) {
        var seq = item.page_seq;
        
        if (seq < 7) {
            if (smallerMax === null || seq > smallerMax.page_seq) {
                smallerMax = item;
            }
        } else if (seq > 7) {
            if (largerMin === null || seq < largerMin.page_seq) {
                largerMin = item;
            }
        }
    });

    return {
        smallerMax: smallerMax,
        largerMin: largerMin
    };
}

// 사용 예시
var jsonData = { 
    "msg": "", 
    "data": { 
        "pageSeq": [
            {"page_seq":1, "lm_lec_seq":"1"},
            {"page_seq":2, "lm_lec_seq":"2"},
            {"page_seq":3, "lm_lec_seq":"3"},
            {"page_seq":4, "lm_lec_seq":"4"},
            {"page_seq":5, "lm_lec_seq":"5"},
            {"page_seq":6, "lm_lec_seq":"6"},
            {"page_seq":7, "lm_lec_seq":"7"},
            {"page_seq":8, "lm_lec_seq":"8"},
            {"page_seq":9, "lm_lec_seq":"9"},
            {"page_seq":10, "lm_lec_seq":"10"},
            {"page_seq":11, "lm_lec_seq":"11"},
            {"page_seq":12, "lm_lec_seq":"12"}
        ]
    }
};

var result = findClosestPageSeq(jsonData);
console.log("7보다 작은 것 중 가장 큰 값:", result.smallerMax);
console.log("7보다 큰 것 중 가장 작은 값:", result.largerMin);
반응형
반응형

젊었을 땐
나를 지키려면 강해져야
한다고들 생각한다. 지위나 재력에
먼저 관심이 가는 이유도 마찬가지일 테지.
그러나 살아갈수록 알겠더구나. 힘을 키우는
것만큼이나 마음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며, 마음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경직되지 않고 부드러워지는
거라고. 그러니 딸아, 온 마음을 다해 울고 웃으렴.
모든 감정을 흐르도록 둠으로써 생이 선물하는
다채로움을 가능한 많이 경험하렴. 어떤 시련이
오더라도 마음을 돌보는 일에 인색해지지
말기를 엄마는 진심으로 바란다.


- 한성희의《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중에서 -


* 아침 감정이 다르고
대낮과 저녁 감정이 다릅니다.
젊었을 때 흐르는 감정과 나이 들어 흐르는
감정이 다릅니다. 중요한 것은 감정이 돌처럼
굳거나 뭉치지 않도록 돌보는 것입니다.
들고나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도록
내 마음을 내가 지키는 것입니다.
강한 사람은 내가 나를 돌보고
지키는 사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쿼트와 핵심근육(Core Muscle)  (0) 2025.02.19
구조선이 보인다!  (0) 2025.02.18
갈림길에서  (0) 2025.02.17
영혼이 폭삭 늙는 기분  (0) 2025.02.14
가슴으로 듣기  (0) 2025.02.13
반응형

갈림길에서

 

내가 선택한 길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선이 보인다!  (0) 2025.02.18
감정이 잘 흐르게 하라  (0) 2025.02.17
영혼이 폭삭 늙는 기분  (0) 2025.02.14
가슴으로 듣기  (0) 2025.02.13
당신은 당신인 채로  (0) 2025.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