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불가능하다고
핑계만 대고 살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아요. 도전할 때
꿈은 현실에 가까워지지만, 도전하지 않으면
꿈은 머나먼 달나라 이야기에 불과합니다.


- 고도원의《위대한 시작》중에서 -


* 손을 뻗지 않고 바라만 보는 나는,
달나라를 여행하는 '이방인'일 뿐입니다.
나의 이야기, 나의 미래를 위해서 발을 떼고,
한 걸음씩 내딛으려 합니다. 앞으로 나아가면
내가 꾸는 꿈도 내게 손을 내밀어 현실로
바뀔 것입니다. 오늘 하루도 낭비없는
행복한 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공기를 빼야...  (0) 2016.04.05
어떻게 사랑에 빠지게 되나요?  (0) 2016.04.04
침묵을 배우려면  (0) 2016.04.01
우리의 특별한 인연  (0) 2016.03.31
흐름과 함께 가라  (0) 2016.03.30
반응형
훌륭한 인물은 덕을 쌓되 명예를 양보하며
이익은 나눠준다.
또한 잘난 척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마음은 늘 행복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윗자리에 설수 있는 사람은 한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사람이다.
- 나카지마 다카시, ‘리더의 그릇’에서

 

명성이란 두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교만하면 화를 부르고, 겸손하면 복이 따릅니다.
명예와 이익을 멀리하고 늘 겸손하고
먼저 나눠줄 수 있는 것, 이는 인격 수양의 문제를 넘어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결단코
침묵을 허물지 말아야 할
인생의 길목들을 파악하는 것.
일단 침묵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는
모든 대목에서 단호함을 유지하는 것.
그런데 이 모든 것은 깊은 숙고와 밝은
혜안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바로 그렇기에
옛 현인들은 이렇게 말한다. "말을 배우려면
인간에게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침묵해야 하는지를 깨치려면
신을 따라야 한다."


-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의《침묵의 기술》중에서 -


* 침묵을 배우려면
고요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고요함이 주는 힘을 깨달아야 합니다.
신은 가장 고요할 때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내면이 고요한 사람에게만 신의 음성이 들립니다.
지혜로운 사람만이 침묵할 줄 알고,
침묵 속에 신을 만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사랑에 빠지게 되나요?  (0) 2016.04.04
  (0) 2016.04.02
우리의 특별한 인연  (0) 2016.03.31
흐름과 함께 가라  (0) 2016.03.30
네가 나를 길들이면  (0) 2016.03.29
반응형
미래에는 한 기업의 사회적 목적이
소비자의 마음 속에서 다른 경쟁기업과
구별되는 유일한 기준이 될 것이다.
사회적 목적보다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은
인재를 영입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기대를 무시한 대가로
존립 자체가 어려워질 것이다.
- 제임스 캔턴, ‘퓨처 스마트’에서

오늘날 소비자의 90% 이상이 수익보다 사회적 목적과
사람을 중시하는 기업의 가치를 지지합니다.
수익과 사회적 목적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빈곤, 불평등, 질병과 같은 세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기업은 소비자, 미디어, 직원들에 의해
좌절을 맛보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
인연이 되지 않았으면
어찌할 뻔했을까요? 며칠 밤을
새워도 모자라는 그대의 많은 얘기들,
누가 귀 기울여 주었을까요? 나 아니면
그 어떤 누가 감히 그대를 이처럼
로맨스 영화의 주인공처럼
애틋하게 사랑할 수
있었을까요?


- 김현의《고맙다 사랑, 그립다 그대》중에서 -


* 사람은
저마다 많은 인연 속에 살아갑니다.
그 중에서도 정말 특별한 인연이 있습니다.
새로운 문이 열리고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되는 만남입니다.
우리의 특별한 인연, '특별한 사랑의 시작'이기도 한
그 이야기가 훗날 소설과 영화도 되고,
불멸의 역사도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4.02
침묵을 배우려면  (0) 2016.04.01
흐름과 함께 가라  (0) 2016.03.30
네가 나를 길들이면  (0) 2016.03.29
믿음과 행동의 일치  (0) 2016.03.28
반응형
가장 많은 동기를 부여하고 생산성을 높이려면
목표를 크게 세우는 것이 최선의 결과를 낳는다.
큰 목표는 작은 목표나 중간 크기의 목표에 비해
상당히 더 높은 성과를 냈다.
목표가 크면 주의를 더 집중하게 되고,
더 끈기있게 매달리게 된다.
실패하더라도 기꺼이 일어나 다시 도전하게 된다.
- 심리학자 개리 레이섬(토론토 대학 교수)

 

목표설정 만으로도 성과와 생산성이
11-25% 높아진다고 합니다.
큰 목표가 더 큰 결과를 낳습니다.
큰 목표를 작은 목표로 쪼개면 자신감이 배가되어
더 크게 동기부여 된다는 연구결과도 주목할 만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