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겨울이 없으면 봄이 오지 않는다.
겨울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감춘다.
그러나 봄은 꽃을 피우며 세상에 자신을 활짝 드러낸다.
그러나 꽃을 피운 것은 봄뿐만이 아니다. 겨울도 내내 봄에
피울 꽃을 준비하고 있다. 한 알의 씨앗은 땅속에 묻혀
한겨울을 지나고 나서야 마침내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는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다. 고통스럽고 힘들지만
땅속 깊이 묻혀서 한겨울을 지내고 나면
봄이 오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 이진희의《광야를 읽다》중에서 -


* 자연의 역할은 명확합니다.
그리고 한 치의 오차도 없이 흘러갑니다.
봄에 꽃을 피우는 것은 한 겨울 몸을 웅크리고
추운 날씨를 견뎌내고 있기에 가능합니다. 우리가 지금
지내고 있는 시간도 겨울만큼 힘들고 어렵습니다. 우리가
힘든 시간을 좀 더 버티는 것은 살아내기 위함이고
언젠가 좋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날씨가 추울수록 더 화려하고 예쁜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겨울이지만 곧 봄이 올 것을 느끼기에
참고 견디고 이겨내고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0) 2022.01.19
'아름다운' 넘어짐  (0) 2022.01.18
춥지요?  (0) 2022.01.17
헌신의 대상  (0) 2022.01.17
감춰진 과녁  (0) 2022.01.13
반응형

갑작스런 날씨
한파, 폭설.
눈 폭탄 거기다가 강풍까지
발이 눈에 푹푹 빠진다

이른 아침 택시를 탔다
버스터미널 직원으로 보이는
노인이 인사를 건넨다.

- 춥지요?
눈을 치웠더니 땀이 다 나네요.
쫙 편 어깨 하얀 웃음이 눈보다 더 희다


- 심재숙의 시집《장미, 기분이 너무 아파요!》에 실린
  시〈하얀 웃음〉중에서 -  


* 한파에 눈 폭탄이 터진
강추위에도 땀을 흘리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눈을 치우느라 수고했기 때문입니다. 춥다고
몸을 움츠리면 더 추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밖으로 나가 눈을 치우면 어깨도 펴지고,
하얀 이가 드러나는 미소도
절로 나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넘어짐  (0) 2022.01.18
꽃을 피울 준비  (0) 2022.01.17
헌신의 대상  (0) 2022.01.17
감춰진 과녁  (0) 2022.01.13
오산천의 추억  (0) 2022.01.12
반응형

사실 인간은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누구나 어떤 궁극적 '헌신의 대상'을 찾는다.
자기 삶에 의미와 목적을 제공할 궁극적 가치,
지고선 같은 것이다. 그것이 신이든, 사랑이든,
사회정의든 혹은 한 국가나 정당이나 사회단체든,
또는 돈, 명예, 쾌락, 스포츠, 심지어 도박 같은
것이든, 우리의 궁극적 관심과 헌신의 대상이
되는 것은 모두 '종교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 길희성의《종교에서 영성으로》중에서 -


* 사람은 누구나
사랑의 대상, 헌신의 대상이 필요합니다.
부모, 자녀, 배우자, 멘토, 스타, 신(神) 등등.
그 대상을 위해 모든 것을, 심지어 목숨까지도
바칠 수 있습니다. 나를 텅 비워야 가능한 일입니다.
나를 불태울 수 있어야 하고, 온몸을 풍덩 내던질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랑하고 헌신하는 것은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아픔과 상처와 희생을
각오하는 것이며, 그 안에서 평화와 기쁨을
얻는 것입니다. 헌신의 대상을 통해
내가 성장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을 피울 준비  (0) 2022.01.17
춥지요?  (0) 2022.01.17
감춰진 과녁  (0) 2022.01.13
오산천의 추억  (0) 2022.01.12
구십이 넘도록 글을 써야지  (0) 2022.01.11
반응형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그 삶에 변화가 없다면
그의 인생은 이미 녹슬어 있는 것과 다름없다.
녹은 어디서 생기는가?
물론 쇠에서 생긴다.
쇠에서 생긴 녹이 쇠 자체를 못 쓰게 만든다.
- 법정스님


‘나이를 더해가는 것만으로 사람은 늙지 않는다.
이상을 잃어버릴 때 비로소 늙는다.
세월은 피부에 주름살을 늘려가지만
열정을 잃으면 영혼이 시든다.
그대는 가지고 있는 믿음만큼 젊고, 의심만큼 늙는다.
자신감만큼 젊고 두려움만큼 늙는다.
희망만큼 젊고 실망만큼 늙는다.’ (새뮤얼 울먼의 ‘청춘’)

꿈과 희망, 열정을 잃지 않으면서 끝없이 변화를 즐기고 있다면
귀하는 나이와 관계없이 영원한 청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window.onload vs $(document).ready()

 

Two syntaxes can be used for this:

$( document ).ready(function() {
   console.log( "ready!" );
});

Or the shorthand version:

$(function() {
   console.log( "ready!" );
});

주요 사항 $(document).ready():

  • 이미지가 로드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습니다.
  • DOM이 완전히 로드되었을 때 JavaScript를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에 이벤트 핸들러를 넣습니다.
  •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교체 $로 jQuery당신이받을 때 "$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 이미지를 조작하려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window).load()대신 사용하십시오 .

window.onload()기본 JavaScript 함수입니다. window.onload()는 DOM (문서 객체 모델), 배너 광고 및 이미지를 포함하여 페이지의 모든 내용이로드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둘의 또 다른 차이점 $(document).ready()은 하나 이상의 onload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하나의 기능 만 가질 수 있다는 것 입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698200/window-onload-vs-document-ready

 

window.onload vs $(document).ready()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JavaScript's window.onload and jQuery's $(document).ready() method?

stackoverflow.com

 

반응형
반응형

메리 셸리와 조앤 롤링,
그리고 파블로 피카소는 모두
감춰진 과녁을 맞힌 공상가였다. 그런데
공상가visionary와 상상력imagination이라는
단어에는 상상vision과 이미지image라는 말이
각각 들어 있다. 피카소는 이미지 속에서 자기가
바라보고자 하는 것을 봤고, 롤링은 이미지가 동반된
어떤 서사를 봤고, 셸리에게는 문자로 표현되는
어떤 상상이 있었다.

- 크레이그 라이트의《히든 해빗》중에서 -


* 미켈란젤로는
"나는 조각하지 않았다. 대리석 속에 숨어 있는
인물을 보며 돌을 쪼아냈을 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것에는 '감춰진 과녁'이 있습니다. 이미지 속에
숨겨진 그 과녁은 보통의 눈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공상가의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예술, 과학 등의
영역에서 세계적인 성취를 이룬 위인들은
대리석 속에 감춰진 과녁을 제대로
발견한 사람들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춥지요?  (0) 2022.01.17
헌신의 대상  (0) 2022.01.17
오산천의 추억  (0) 2022.01.12
구십이 넘도록 글을 써야지  (0) 2022.01.11
겨울꽃, 고드름  (0) 2022.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