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거의 완벽한 경지에 도달한다는 것을 우려해야 할 이유는 많다.
추락하는 길은 여러 가지다.
자신의 성공에 도취하기도 하고 과욕을 부리기도 하고
영광을 오욕으로 바꾸기도 한다.
성취는 쉽사리 우둔한 나르시시즘으로 탈바꿈한다.
그들 다수는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오만과
자기 확신 때문에 고통 받는다.
- 뉴욕타임스, ‘수많은 마스터 셰프들의 행보를 분석한 기사’에서


 

빌 게이츠는 자신의 저서 ‘미래로 가는 길’에서
“성공은 형편없는 스승이다.
똑똑한 사람에게 ‘너는 절대 실패하지 않을 거야’라고 속삭인다.
또한 믿을 만한 게 못 되는 미래 가이드이기도 하다.”고 말했습니다.
늘 성공을 경계하고, 기꺼이 스스로를 파괴하는 습관이
오래 성공하는 빌 게이츠를 만들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여러 함정 중 가장 위험한 것은 바로
어느 한 분야에서 ‘유능해지는 것’이다.
내가 최고이며 내가 잘 안다고 여기는 함정이야말로
더 큰 가능성에 도달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한다.
- 제레미 구체, ‘어제처럼 일하지 마라.’에서

 

 


‘전문가는 왜 그 일을 할 수 없는지 그 이유를 말해주는 사람이다.’
(알렉 이시고니시)라고 꼬집는 사람도 있습니다.
초심자의 마음에는 많은 선택이 존재하지만
전문가의 마음에는 (안되는 이유를 너무 잘 알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발견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지가 아니라 ‘안다’라는 환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필요하고, 또 바라는 부분이 진화되어 왔다.
말은 빨리 달리고 싶어 해서 빨라졌다.
새들도 날고 싶어 했기 때문에 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는 헤엄치고 싶어 했기 때문에 물갈퀴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모든 것들은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다윈과 스펜서가 주장한 창조의 원리입니다.
진실한 소망은 늘 답을 얻기 마련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정한대로 됩니다.
우리가 하는 생각과 행동이
곧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혁신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혁신은 어렵다. 그러나 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자 성공으로 가는 길이다.
과거에는 혁신을 모험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혁신하지 않는 것이 모험이다.
- 런정페이 회웨이 회장, ‘위기를 경영하라’에서



영어 속담에 ‘아는 악마가 낫다.’(better the devil you know)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은 지금 처한 상황을 그리 좋아하지 않지만
새로운 상황으로 바뀌는 것은 더 싫어한다는 뜻입니다.
그만큼 혁신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모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위험한 시대입니다.
리더는 성공 즉시, 모든 것을 파괴할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공과 실패는 불가피하게 만나는 좌절과 시련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가리켜 90대 10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인생의 10퍼센트는 우리에게 일어난 사건들로 결정되고
나머지 90퍼센트는 우리가 거기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원칙이다.
- 로드 주드킨스, ‘대체 불가능한 존재가 돼라’에서



일어나는 일의 10% 정도는
우리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불가항력의 상황들입니다.
하지만 나머지 90 퍼센트는 다릅니다.
그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결국 성공과 실패는 외부 환경이 아닌
바로 내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