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불편함이 찾아올 때면 살며시 익숙함을 빠져나와
그저 불편함을 껴안아라.
불편함과 친숙해지는 만큼 네 삶의 자유가 결정되리니.
불편과 고독은 견디는 것이 아니라 추구하는 것
불편과 고독의 날개 없이는
삶은 저 푸른 하늘을 날 수 없으니.... 
- 박노해, ‘불편과 고독‘ 시에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 잘 모르는 사람과 만나는 것은
불편함을 동반합니다.
그러나 불편함이 없이는 성장도 없습니다.
기꺼이 스스로를 불편함으로, 두려움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의지야말로 멋진 인생을 만드는 단초가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낮은 희망에 도달하지 마라.
무한한 가능성에 마음을 열어야만 삶의 진정한 기적에 참여할 수 있다.
자신이 무엇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낮은 기대를 거부하라.
너무 큰 희망에 다다르지 못하는 건 큰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너무 낮은 희망에 도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 웨인 다이어, ‘우리는 모두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에서

사람은 자신이 꾸는 꿈의 크기만큼 자랍니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하는 대신,
자신의 꿈과 목표가 너무 낮은 것은 아닌지 먼저 돌아보아야 합니다.
잠시 바쁜 일상을 멈추고, 자신의 가진 잠재력이 얼마나 큰지
맘껏 상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나는 ‘공식 P=40-70'을 자주 사용한다.
P는 성공할 가능성을 나타내며 숫자는 요구된 정보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정보의 범위가 40-70% 사이에 들면 직감적으로 추진하라.
맞을 기회가 40% 미만일 정도로 정보가 적으면 행동을 취하지 말라.
하지만 100% 확실한 정보를 갖게 될 때 까지 기다릴 수만은 없다.
왜냐면 그때가 되면 너무 늦기 때문이다.
- 콜린 파월 미국무장관

지나친 정보 수집, 즉 ’분석 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위험 부담을 줄인다는 이유 때문에
시간을 지체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증대시킵니다.
처음에 80% 옳은 것을 하는 것이
마지막 기회에 100% 정확한 것을 하는 것보다 낫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가장 못 견디는 것은 위험의 불균형(risk asymmetry)이다.
시도했다가 실패한 자는 벌하고,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고 머리를 숙이고 있으면 벌을 받지 않는다.
큰 회사들이 계속 굳어지는 이유다. 그걸 견딜 수 없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나쁜 것이다.
- 일론 머스크 테슬라 회장

세스 고딘의 실패 예찬 함께 보내드립니다.
“내가 당신보다 더 많이 실패하면 내가 이기는 것이다.
지는 사람들은 한 번도 실패한 적이 없어서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
혹은 크게 실패했을 때 다시 일어서지 않는 사람들이다.
실패의 경험은 더 큰 돈으로 돌아온다.”

반응형
반응형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가능한 많이 도와라.
보답을 바라지 않고 진심으로 누군가를 위해 뭔가 해주는 것보다
더 행복하고 성취감을 안겨주는 일은 없다.
그렇게 얻는 기쁨은 물질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것과는 비교조차 불가능하다.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 성공으로 향하는 길이다.
성공하고 싶다면 타인을 도와라.
- 나빈 자인

사람들은 자신을 위해 돈을 쓰면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쓸 때보다
행복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사실은 그와 정반대입니다.
심지어 마지못해 한 일이라 하더라도 남에게 베풀고 나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타인에게 많이 베풀수록 더 행복해집니다.
더 많이 베풀수록 건강도 더 좋아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분노로 남을 해치는 것은 벌과 같다.
벌은 성이 나면 다른 것을 쏜다.
쏘인 것은 약간 아프고 말지만, 벌은 목숨을 잃는다.
- 성 스테파노

“분노는 잠깐 동안 미쳐버리는 것이다.
술에 취하는 것과 분노에 취하는 것은 한가지다.
분노했을 때 한 행동은 분노가 풀리고 나면 반드시 후회한다.
그러므로 분노했을 때는 마땅히 스스로를 꽉 눌러서 생각하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아야 한다.
또 성낼 일을 행해서도 안 되고, 성나게 한 사람을 나무라서도 안 된다”
예수회 신부 판토하가 지은 칠극에 나오는 분노를 이기는 법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