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변화는
막을 수도
외면할 수도 없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라. 아침마다 우리를
침대에서 일어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면,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면 삶의 의미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 찰스 핸디의《삶이 던지는 질문은 언제나 같다》중에서 -


* 세월은
사람의 몸을 변화시킵니다.
생각도 마음도 함께 변화를 겪습니다.
문제는 그 변화가 어떤 방향이냐는 것입니다.
어제보다 더 나은 변화, 건강한 변화, 행복한 변화가
아침마다 당신을 잠깨우게 하십시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엄마는 캄캄해도 잘 보여요'  (0) 2022.02.25
홍도 흑산도 여행  (0) 2022.02.23
당신의 내면세계  (0) 2022.02.21
당신은 충분히 아름답다  (0) 2022.02.21
마음에도 운동이 필요하다  (0) 2022.02.18
반응형

시간은 굉장히 짧았지만 머릿속은 엄청 복잡했다.
이 샷을 선택할지, 아니면 안전하게 벌타를 먹고 공을 필드에 드롭(drop)하고 쳐야 할지.
오래 고민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단 한 가지는 알았다.
‘도전해봐야겠다’는 것.
도전하지 않으면 기회도 생기지 않고, 내가 뭘 잘하는지 못하는지 알 수 없다.
앞으로 살면서도 새로운 기회가 찾아오면 주저 없이 도전할 거다.
- 박세리, 골프 선수


1998년 IMF 당시 실의에 빠졌던 국민들에게 큰 희망을 선사한
US 오픈 연못 속 맨발 샷에 대한 박세리 선수의 답입니다.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실패가 두려워서는 성장할 수 없다. 일단 해보면 성공하건 실패하건 내 자산이 된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골프도 마찬가지다. 많이 쳐보고 많이 실수해봐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젊은 직원들 중 거의 3분의 2는 자신의 능력을
비영리 조직에 기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다른 조건들이 똑 같다는 가정 하에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좋은 인상을 받은 직원이
계속해서 그 회사에 남아있을 확률은 그렇지 않은 직원에 비해 5배 높다.
- 마크 베니오프, ‘최고 혁신기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서


딜로이트 그룹에서 진행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기업의 구성원은 기업이 ‘무언가에 공헌하고, 남에게 봉사하며,
세상을 좋게 바꾸는 일’에 열광합니다. 고객과 투자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익보다 의미와 목적이 우선인 세상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당신 내면을
다른 사람의 외면과 비교하지 마세요.
세상에는 틀림없이 당신을 보면서
완벽한 삶이라고 부러워할 사람도
있어요. 아무도 당신의 내막을
모르니까요.


- 에이다 칼훈의 《우리가 잠들지 못하는 11가지 이유》 중에서 -


* 알 수 없는 것이
사람 마음이라 하지요.
자기 자신도 자기 마음을 잘 모릅니다.
하물며 남이 상대의 내면을 어떻게 알겠습니까.
자격지심에 스스로 자책하거나 낙심할 것 없습니다.
자존감을 스스로 높여야, 당신의 내면세계도
더 큰 빛을 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능력주의는
처음에 매우 고무적인 주장으로 출발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믿으면 신의 은총을
우리 편으로 끌어올 수 있다는 주장 말이다. 이런 생각의
세속판은 개인의 자유에 대한 유쾌한 약속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우리 운명은 우리 손에 있고,
하면 된다'라는 약속 말이다.


- 마이클 샌델의《공정하다는 착각 》중에서 -


*'하면 된다'는 능력주의 풍조가
만연한 지금,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고
스스로 자책하지 마세요. 눈앞에 보이는 풍경과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소중한 사람을 가만히 바라보세요.
어릴 적 원했던 꿈을 이루지 못했더라도, 돈을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사회적으로 존경받지 못해도 당신은
충분히 아름다운 사람입니다. 소소하지만 온전한
행복을 오롯이 누릴 자격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조직 구성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사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은 더욱 더 빈번해진다.
그러나 인사문제에 관한 성급한 의사결정은
대체로 잘못된 의사결정이 될 확률이 높다.
- 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 경영 키워드 365


의사결정의 핵심 키워드는 신속 정확입니다.
그러나 인사결정에 있어서는 신속과 정확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어렵습니다.
인사결정이 너무 중요하다는 점, 수많은 변수,
사람은 이성보다는 감성에 의해 움직인다는 점 등이 그 이유입니다.
인사문제에 소홀한 조직과 리더는 바람 앞의 등불과 같은 존재로 전락하기 쉽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