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한 가지 기본적 진실이 있는데,
이를 몰라 무수히 많은 아이디어들과
멋진 계획들이 무산되고 만다.
온몸을 바치기로 결심하는 순간 섭리도 작용한다.
평소라면 결코 일어나지 않았을 온갖 일들이 일어나
그 사람을 돕는다.
그런 결심을 하는 순간 아무도 일어나리라고 꿈도 꾸지 못했던
온갖 종류의 예상치 못한 만남, 물질적 지원들이 그에게 도움을 준다.
- 어거스트 투랙, ‘수도원에 간 CEO’에서

 

 

괴테도 같은 주장을 합니다.
헌신하기 전까지는, 진취적이고 창조적인 모든 활동에서
언제나 실효성을 명목으로 망설이거나 물러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확신하고, 헌신하면 불가능해 보이던 많은 것들이
현실로 이뤄지는 기적을 맛보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훌륭한 판매원이라면 누구나 자기 자신과 자신의 제품,
자신이 받을 수수료를 잊어버리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에
귀 기울이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을수록
판매실적은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안다.
수수료는 알아서 따라오게 되어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이기적 동기를 마음에 두지 않으면 않을수록
더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 어거스트 투랙, ‘수도원에 간 CEO’에서

 

 

마찬가지로, 조직 전체가 자신을 비우고
고객을 모시는데 억척스레 매달린다면
이익은 알아서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최고의 리더들은 다른 사람들을 성공으로 이끄는데 매달릴수록
그들 자신이 더 큰 성공을 거둔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고객 상담을 통해 사고를 분석해 본 결과,
노동 재해가 발생하는 과정에 중상자 한명이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또 운 좋게 재난은 피했지만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상해자가 300명이 있었다.
즉 ‘1대 29대 300의 법칙’이 발견되었다.
- 1930년대 초 미국 한 보험회사 관리, H.W. 하인리히
(다시는 대형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2007년 6월 21일자 행경을 다시 보내드립니다.)

 

오늘날 경영은 숨겨진 지뢰밭을 걸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단 한번의 치명적 실수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큰 사고가 있기 전에는 반드시 전조가 있게 마련입니다.
큰 재앙을 불러올 작은 징후를 무시하지 말아야 합니다.
잘 나갈 때일수록 오만을 주의하고 사소한 문제라도
그냥 넘기지 않고 철저하게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사람들은 보고 싶지 않은 것을 보지 않으려는 본성 때문에
큰 실패에 대비하지 못한다.’

도쿄대 하타무라 요타로 교수의 말을 새겨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2014. 5월호, 상식 밖의 경제학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국내도서
저자 : 댄 애리얼리(Dan Ariely) / 이경식역
출판 : 청림출판 2012.07.27
상세보기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 5월호
국내도서
저자 : 마소인터렉티브편집부
출판 : 마소인터렉티브(잡지) 2014.04.30
상세보기


상식 밖의 경제학
국내도서
저자 : 댄 애리얼리(Dan Ariely) / 장석훈역
출판 : 청림출판 2008.09.05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위태로운 것은 그 자리에 안주하는 것이요.
망하게 되는 것은
그 생존을 유지하려 함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혼란해지는 것은 그 다스림을 그대로 두게 함이다.
- 주역              


역설적이게도 안정을 추구하면 더 위험해 집니다.
오늘의 안정을 주는 조건이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에 잘 적응할수록 미래의 적응력은 떨어진다 할 수 있습니다.
위대한 리더들은 안정을 두려워합니다.
조직이 흔들리면 일거에 안정시켜야 하지만,
안정적인 조직을 의도적으로 흔들 수 있는 리더가
훌륭한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이 역경에 처했을 때는 그를 둘러싼 환경 하나 하나가
모두 불리한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사실은 그것들이 몸과 마음의 병을 고칠 수 있는
힘이요 약이 된다.
약이 몸에 쓰듯이 역경은 잠시 몸에 괴롭고 마음에 쓰지만,
그것을 참고 잘 다스린다면 많은 소득을 기약할 수 있다.
- 채근담

 

역경과 고난에 대한 경구들을 함께 보내드립니다.


‘고뇌를 경험해 보지 않고는 행복을 이해할 수 없다.
황금이 불로 정제되는 것처럼 이상도 고뇌를 거침으로써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


‘나는 ’문제가 좋아’라고 말하는 사람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고통 속에서 가장 값진 소득을 얻었다고 하는 사람은
많이 알고 있다.’
(존 맥스웰)

반응형

+ Recent posts